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한국사의 실전(失傳)된 사서(史書)들
게시물ID : history_1356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늑대와호랑이
추천 : 14
조회수 : 1282회
댓글수 : 8개
등록시간 : 2014/01/15 02:30:38

유기(留記) - 삼국사기(三國史記)에 기록된 고구려 초기의 사서.

서기(書記) - 백제 근초고왕(346 ~ 375)때 박사 고흥이 편찬한 사서.

백제기(百濟記) - 일본서기(日本書紀)에 인용된 백제의 사서.

백제신찬(百濟新撰) - 일본서기(日本書紀)에 인용된 백제의 사서. 삼국사기(三國史記)와 연대가 서로 맞지 않는 부분이 있음.

백제본기(百濟本記) - 일본서기(日本書紀)에 인용된 백제의 사서. 백제 성왕의 죽음이 자세히 묘사되어 있음.

국사(國史) - 신라의 대아찬 거칠부가 545년에 편찬. 

신집(新集) - 고구려의 태학박사 이문진이 600년에 편찬. 유기(留記)의 편집본. 삼국사기(三國史記) 고구려본기의 원전으로 추정.

한산기(漢山記) - 신라의 김대문이 편찬.

화랑세기(花郞世記) - 신라의 김대문이 성덕왕(702 ~737) 연간에 편찬. 삼국사기(三國史記)가 인용. 화랑의 역사를 서술. 

계림잡전(鷄林雜傳) - 신라의 김대문이 성덕왕(702 ~737) 연간에 편찬. 설화를 수록. 삼국사기(三國史記)가 인용.

발해국기(渤海國記) - 당나라의 장건장(806~866)이 1년간 발해에 머문 경험을 바탕으로 편찬한 책. 신당서(新唐書) 등이 인용.

제왕연대력(帝王年代曆) - 통일신라 말기 최치원(857 ~ ?)이 편찬. 삼국사기(三國史記)가 인용.

구삼국사(舊三國史) - 고려 초기에 편찬. 삼국사기(三國史記)가 인용.

고기(古記) -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가 인용. 단군고기(檀君古記)의 약칭이라는 설이 있음.

본국고기(本國古記) - 삼국사기(三國史記)가 인용.

해동고기(海東古記) - 삼국사기(三國史記)가 인용.

가락국기(駕洛國記) - 고려 때 금관지주사의 문인이 편찬한 금관가야에 관한 사서. 1075~1084년 경 편찬. 삼국유사(三國遺事)가 인용.

고금록(古今錄) - 고려 때 박인량(? ~ 1096년)이 지은 사서.

고려왕조실록(高麗王朝實錄) - 고려의 왕조실록. 임진왜란 때 화재로 전소.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 - 조선의 비변사의 활동에 대한 기록. 임진왜란으로 1617년 이전의 기록을 소실.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조선의 승정원에서 왕명의 출납을 기록. 임진왜란과 이괄의 난으로 인해 영조 즉위(1623년) 이전의 기록을 소실.

----------------------

순서배치는 대략적인 (최종)편찬연도를 따른 것입니다. 물론 이것 외에도 기록조차 남기지 못하고 사라진 사서가 있겠지요.

빠지거나 틀린 부분이 있으면 지적해 주시기 바랍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