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문재인이 검찰 개혁을 제대로 할수 있는 이유
게시물ID : humorbest_135861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박연폭포
추천 : 89
조회수 : 7070회
댓글수 : 7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6/12/29 00:14:23
원본글 작성시간 : 2016/12/28 16:07:27
이게 벌써 5년전에 나온 책이지만 전에 읽어보고 감탄했죠.
참여정부에서 법원 개혁은 어느 정도 했으나 검찰 개혁을 못하고 결국 그들에게 당했기 때문에..
그에 대한 뼈저린 반성과 함께 앞으로의 계획을 얘기하는 내용입니다.
시행착오의 원인과 검찰의 특권 카르텔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고 그 대책에 대해 오랫동안 체계적인 분석을 해왔죠.
이러한 직접적인 경험과 그에 대한 반성은 다른 사람에겐 찾기 힘든것이죠. 
개혁은 말로만 되는게 아니죠.
다른건 몰라도 검찰개혁은 확실할 겁니다.

---------------------
1322220755_00411978701_20111126.JPG

이런 역사적, 구조적 과오 자체에 대해 성찰하지 않는 검찰을 어떻게 고쳐야 할까? 검찰의 정치적 중립성을 확고히 하고 동시에 민주적으로 통제해 검찰의 독점 권력을 분산시키고 견제하는, 당연하지만 이뤄지지 않고 있는 해법이 유일한 방책이라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고위공직자비리조사처의 신설 △검경 수사권의 조정 △법무부의 탈검찰화 △검찰의 과거사 정리 등을 개혁 방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지은이들은 역사상 처음으로 참여정부가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검찰개혁을 실시했지만 성과보다 실패가 많았다고 평가한다. 4부로 구성된 이 책의 절반은 참여정부가 어떻게 검찰개혁을 진행했으며 어떤 부분에서 실패했는지를 강금실·천정배 전 법무장관, 문희상 전 대통령 비서실장 등 참여정부 고위 관계자들의 생생한 증언으로 설명하고 있다. 문 이사장은 “당시 검찰의 저항은 상상 이상이었고 엘리트 의식으로 뭉친 특권집단으로 검찰은 개혁의지가 박약했다”고 회고한다. 또 참여정부가 검찰개혁이라는 목표는 있었지만 종합적인 계획이 부족했으며 정당과 행정부가 이런 과제를 서로 공유하지 못한 점을 실패 원인으로 꼽는다.

결국 개혁을 둘러싼 검찰의 저항은 참여정부가 끝나고 나서 노무현 전 대통령의 비극적인 죽음으로 이어졌고, 검찰의 꼼수는 한명숙 전 총리 수사로 이어졌다고 지은이들은 주장한다. 그래서 민주주의와 인권을 위해서라도 더이상 검찰 개혁을 미룰 수는 없다는 것이다.

출처 http://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507267.html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