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BGM) 자연계 속에 존재하는 인셉션 TOP10
게시물ID : bestofbest_136099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creed
추천 : 285
조회수 : 45663회
댓글수 : 28개
베오베 등록시간 : 2013/11/26 15:49:49
원본글 작성시간 : 2013/11/25 19:51:50

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KliO0

출처는 리스트버스입니다.
http://listverse.com/2013/11/22/10-ways-nature-acts-like-the-movie-inception/

꿈 속의 꿈,트릭 속의 트릭.
기발한 상상력으로 사람들의 눈을 사로잡았던 영화 인셉션과 같은 일은 비단 영화 속에서만 일어나는 일이 아닙니다.
오늘은 자연이 이미 갖고 있는 기상천외한 상상력의 세계에 대해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10위 : 모방자의 모방자


자연계 속에서 흉내는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는 생존 방식이지만,그 중에서도 흉내쟁이 문어의 것이야말로 가장 으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문어는 무려 15종의 다른 외양의 생물로 변장이 가능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더더욱,이 흉내쟁이 문어를 흉내내는 죠피쉬의 발견은 놀라운 것이었습니다.
2011년 독일 연구자에 의해 발견된 이 물고기는 문어의 촉수로 자신을 위장하여 먹이나 은신처를 찾아다닐수 있습니다.

9위 : 입 속의 입

4_78433512.jpg

입 속의 입이란 개념은 영화 에일리언을 통해 많은 사람에게 친숙한 개념이 되었습니다.
실제로 자연계에도 이런 이중 턱 구조(pharyngeal jaw)를 가진 생물이 존재하고 있는데 그건 바로 해저의 사냥꾼 곰치입니다.
곰치의 내부 턱은 입 밖으로 튀어 나와 사냥감을 끌고 들어가는 역할을 함으로서 곰치를 해저의 효율적인 포식자로 만드는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8위 : 호수 속의 호수

9_100631722.jpg

매니투 호수는 섬 속에 존재하는 세계 최대의 호수입니다.
이 호수는 미대륙에서 가장 큰 호수 중 하나인 휴론 호수 안의 매니툴린 섬 안에 자리잡고 있으며,그 자신 또한 내부에 자식 섬을 여럿 품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 자식 섬은 대륙 속의 호수 속의 섬 속의 호수 속에 있는 섬이 되는 것입니다!(섬셉션!)
이런 예는 매니투 호수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필리핀의 타알 화산은 보다 큰 화산 안의 호수 속에 자리잡고 있는 화산으로서 세계 유일의 화산 속의 화산이라는 진기한 타이틀을 갖고 있습니다.

7위 : 내부 공생 속의 내부 공생

10_185948533.jpg

생물학에서 공생이란 서로 다른 두 생물이 서로의 이득을 위해 조화롭게 어울리는 삶의 형태를 뜻합니다.
내부 공생이란 더 작은 생물이 보다 큰 생물의 체내에서 공생하는 형태를 뜻하며 
한 예로 곤충의 세포 속에서 거주하는 박테리아의 경우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어떤 미생물들은 이렇게 다른 생물의 체내에서 공생하는 미생물의 체내에 거주하기도 합니다.
이를 2차 내부 공생(Secondary Endosymbiosis)이라고 부릅니다.

이렇게 다른 생물의 체내에서 생활하는 미생물들은 오랜 기간이 지나면 그 자신의 정체성을 잃고 숙주 세포 속에 정착할수도 있습니다.
사람이 갖고 있는 미토콘드리아 또한 이런 2차 내부 공생이 그 기원이 아닐까 추정되고 있습니다.

6위 : 기생체 속의 기생체

8_Euproctis_chrysorrhoea.jpg


지구상에는 많고 많은 기생 생물이 존재하며,어쩌면 이들이 지구 상 생물체의 대다수를 차지할지도 모릅니다.
사람에게 기생 가능한 생물체도 100여종에 이르며 이들 중에는 우리의 건강에 유익한 것도 있으나 건강에 해로운 것들도 존재합니다.
그러나 지금 소개할 갈색 꼬리 나방에게 기생하는 기생 벌레들에 비하면 다른 기생체들의 행태는 그저 귀엽게 보일지 모릅니다.

이 나방에 기생 가능한  Apanteles lacteicolor 에게는 또 다른 기생 벌레 Monodontomerus aereus 이 기생 가능하며,
이 Monodontomerus aereus 에게는 또 다른 기생 벌레 Pteromalus egregius 이 기생 가능한데 
다시 이 기생 벌레에게도 또 다른 기생 벌레 Entedon albitarsis 가 기생 가능합니다.
즉 마지막에 소개한 이 기생 벌레는 기생체의 기생체의 기생체의 기생체로 살아가는 셈입니다.
이쯤 되면 숙주인 나방이 나방인지 기생 셔틀인지 불쌍해질 지경입니다.

5위 : 진화 속의 진화

7_200207241-001.jpg

학자들은 생물들이 그저 수동적으로 진화하는데만 그치는게 아니라 
진화하는 능력을 갖춘 형질까지 진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즉 진화하는 능력을 진화시키는 것입니다.
과학자들은 라임병을 일으키는 박테리아를 대상으로,
생존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지는 않으면서 미래 세대에 유익한 단백질 변이를 일으키는 DNA 에 대한 실험을 통해서
자연선택은 어떠한 외부 압력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도 다양성을 추구한다는 결과를 발견했습니다.
다만 이러한 효과는 보다 대형의 동물들을 대상으로는 적용되기 힘들수 있습니다.

4위 : 고리 속의 고리

6_ST002426.jpg

우리 태양계의 가장 큰 행성 목성은 태양계에서 가장 크고 아름다운 고리를 갖고 있는 것으로도 유명합니다.
목성은 또 많고 많은 위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는데 카시니 탐사선의 관측에 따르면
그 중에서도 두번째로 큰 위성 레아의 경우 수십cm 크기의 암석들로 이루어진 고리를 적도에 두르고 있다고 합니다.

3위 : 둥지 속의 둥지

3_93707356.jpg

딱따구리는 상당히 독특한 집짓기 습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딱따구리의 주식 중 하나는 나무의 공동 속에 집을 짓고 사는 곡예 개미인데,이들 딱따구리는 자신의 둥지를 이 개미의 집 가운데에 
지어버린다고 합니다.
그러면 이들 개미는 어째선지 이런 딱따구리의 행동을 별 저항 없이 그냥 받아들이며,이후 딱따구리는 자신의 새끼를 이곳에서 키운다고 합니다.

참새 또한 추운 겨울을 버티지 못하고 떠난 말벌의 집 속에 자신의 둥지를 만듬으로서,
다른 포식자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위장하는 생존 전략을 갖고 있습니다.

2위 : 크레이터 속의 크레이터

2_AA053565.jpg

온통 크레이터로 뒤덮인 달의 표면에는 크레이터 속의 크레이터도 수없이 많습니다.
대표적으로 달 표면의 가장 큰 크레이터인 남극의 에이트킨 분지 또한 직경 500km가 넘는 아폴로 분지를 내부에 갖고 있습니다.
과학자의 비유에 따르면 이는 우리가 집 안에 지하실을 만든 후 또 다시 그곳에 구멍을 파는 일과도 비슷하며,
이런 깊은 구멍의 존재는 장래 인류가 달의 심층 지각을 연구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1위 : 우주 속의 우주

1_159150619.jpg

코네티컷주 뉴 헤이븐 대학의 이론물리학자 Nikodem Poplawski 교수의 이론에 따르면,
새로운 블랙홀이 탄생할 때마다 그 안에서는 새로운 우주가 태어나며
우리의 우주 또한 이런 식으로 모 우주의 블랙홀에서 탄생한 자식 우주일수 있습니다.
그의 이론은 어렵기로 악명높은 상대성 이론과 양자 역학 간의 조율 문제를 해결할 실마리가 될 수도 있으며,  
잠재적으로 우리 우주의 존재가 시작도 끝도 없는 고리 우주 속의 연쇄 우주일수도 있단 사실을 암시하고 있습니다.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