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잘 찌그러지는 차가 안전한 차인가?
게시물ID : car_1368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강하루76
추천 : 5
조회수 : 2210회
댓글수 : 22개
등록시간 : 2010/12/20 16:26:17
오늘 자방의 최고 인기글(?)은 폭스바겐 파사트(Volkswagen Passat)의 사고사진에 대한 글이군요.

 

그 글에 달린 댓글들을 보면서, 또 예전에 다른 사고사진 차량의 사진들에 대한 자방의 글들을 보면서 느꼈던 점이 있어서 글을 올립니다.

 

자방에서 흔히 논란이 되는 것으로,

"잘 찌그러지는 차가 안전한 차인가?" 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 문제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서는 차량의 '크럼플 존(Crumple Zones)'에 대한 이해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Crash Zones이라고도 불리우는 Crumple Zones는 자동차 충돌사고로 발생한 충격으로부터 차량 탑승자의 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설계상 특성, 또는 그러한 설계에 의해 '잘 찌그러지도록' 고안된 차체부위를 의미합니다.

 

Crumple Zones의 작동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 Crumple Zones는 차량충돌사고 발생시 그 형태의 변형을 통해, 즉 찌그러짐을 통해 발생한 충격에너지를 차체에 전달되도록 하여 탑승자의 신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합니다.

- Crumple Zones은 차량충돌시 차량의 실내공간의 변형이 최소화되도록 설계됩니다. 이를 위해 차량실내골격을 구성하는 차체구조의 강성은 보다 강화되는 반면, 차량 외부의 충격과 직접적으로 맞닿는 차체부분의 강성은 상대적으로 약하게 설계됩니다.

- 대개의 경우 Crumple Zones은 엔진룸 정가운데에서 실내공간 방향으로 약간 치우친 부분, 그리고 실내공간 골격구조 바깥으로 트렁트 앞부분 정도 위치를 중심으로 설계됩니다. 그 이유는 차량 앞부분 또는 후미부분 까지의 찌그러짐을 통해 차량충돌사고로 발생한 충격을 되도록 많이 흡수하여 탑승자가 위치한 실내공간으로 사고의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고자 하기 위함입니다. 

 

이제 원래 문제로 돌아가보겠습니다.

그렇다면 "잘 찌그러지는 차가 안전한 차일까요?" 

 

제가 볼 때 이 질문은 처음부터 잘못된 질문입니다.

이렇게 설명해보겠습니다.

 

1. 상당한 충격이 발생할 정도로 심각한 자동차 정면 충돌사고가 발생했는데 사고차량의 전면부와 엔진룸 부분이 대부분 파손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탑승자가 타있던 실내공간의 변형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탑승자는 사고로부터 경미한 신체적 손상만을 입었다. 

===> 이렇다면 해당 사고차량의 Crumple Zones 설계는 매우 성공적이었고, 해당차량의 안전도는 매우 양호하다고 할 수 있을 겁니다.

 

2. 상당한 충격이 발생할 정도로 심각한 자동차 정면 충돌사고가 발생했는데 사고차량의 전면부와 엔진룸 부분이 대부분 파손되었고, 엔진룸이 실내공간으로 많이 침범하여 탑승자가 사고충격으로 인해 치명적인 신체적 손상을 입었다.  

===> 이렇다면 해당 사고차량의 Crumple Zones 설계 및 안전성은 해당사고에 대비 성공적이지 못했고 부족했다 라고 해야 할 것입니다.

 

3. 차량 탑승자에게 그다지 위험을 주지 않을 것으로 보여지는 경미한 자동차 충돌사고가 발생했는데, 차량 충돌부위나 엔진룸 등이 예상 외로 많이 파손되었다.

===> 최근 자동차회사들이 고민하고 있는 'Soft Crumple Zones' 문제입니다. 이 경우, 사고의 경미한 위험에 대비하여 너무 과다한 수리비의 발생이 우려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경미한 사고에는 Crumple Zones이라도 너무 쉽게 찌그러지지 않도록 하는 'Hard Crumple Zones'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압니다.

 

결론적으로 말씀드리자면,

자동차 충돌사고시 차체의 변형, 즉 찌그러짐과 파손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미약하고 탑승자도 무사했다면 최선의 결과라고 하겠습니다.

자동차 충돌사고시 차체의 변형, 즉 찌그러짐과 파손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심각했지만, 실내공간의 형태가 온전히 유지됨으로써 탑승자의 안전이 지켜졌다면 매우 훌륭한 차량 안전성이라고 하겠습니다.

 

하지만, 동일한 충격으로 충돌한 상대차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찌그러짐과 파손의 정도도 심각하면서, 실내공간의 심각한 변형 또는 침투로 인해 탑승자의 안전도 지켜지지 않았다면, 그 차의 안전성은 매우 열악한 것입니다.

 

그럼 어떤 차가 안전하냐구요?

그건 공신력 있는 차량충돌 테스트 기관의 평가결과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한가지만 더 말씀드리자면, 전 우리나라 국토해양부인가에서 최근 실시한 차량 안전성 테스트 결과는 그다지 신뢰하지 못하겠습니다...

좋은 글 같아서 퍼왔습니다.
http://bbs2.agora.media.daum.net/gaia/do/kin/read?bbsId=K157&articleId=48887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