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의 ‘전쟁론’과 국무장관의 ‘대화론’이 동시에 터져 나와 혼선을 빚었던 미국의 대북 기조가 하루 만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좇아 강경론으로 정리됐다. 부통령과 백악관 고위관계자는 물론이고 전날 입장에서 선회한 국무부도 일제히 ‘강력한 압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나섰다. 북한과의 대화를 원한다고 한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은 결과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강경 대북기조 코드를 맞추지 못한 셈이 돼 체면을 구겼다. 미국 언론들은 정부에서 갈수록 장악력을 잃어가는 틸러슨 국무장관의 대북 외교에 대한 우려를 쏟아냈다.
마이크 펜스 부통령은 2일(현지시간) 미국이 북한과 직접 협상에 나서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에 맞서는 모습까지 연출하며, 전날 북한과의 대화를 주장한 틸러슨 국무장관의 발언을 ‘권력서열 2위’인 부통령이 직접 나서 일축한 것이다.
펜스 부통령은 동유럽 순방을 마치고 워싱턴으로 돌아오는 기내에서 진행된 언론과의 질의 응답에서 “북한 핵ㆍ미사일 문제와 관련한 미국의 전략에 ‘북한과의 직접 대화’는 포함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대신 “중국이 북한에 영향력을 행사하도록 압박하면서 경제ㆍ외교적 압력을 가하는 것을 선호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미국은 북한에 대한 군사행동을 배제하지 않으며, 모든 옵션이 테이블 위에 남아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러시아와 이란을 포함해 북한을 제재하는 법안에 서명하면서 “이 법은 북한 등의 행동을 용인하지 않겠다는 메시지이다”라며 미국의 대북정책이 강경노선에서 벗어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