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배그용 가성비 50만원대 견적
게시물ID : computer_348757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빠삐콩
추천 : 0
조회수 : 2701회
댓글수 : 8개
등록시간 : 2017/08/06 21:22:48

요새 핫한 배틀그라운드 견적을 짜보았습니다.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본 견적은 배틀그라운드를 플레이 하기 위해 맞춤으로 짜여졌습니다. 
 타 게임과는 밸런스가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ed330ea5e6d54aa2b74cc6d632cc55f7_1501161960_0001.jpg

50만원대

- 견적 포인트

 아무리 저예산 컴퓨터라지만 FPS는 평균 프레임이 60프레임 이상 나와주어야 합니다. 
개인차가 있지만, 일반적인 모니터의 주사율이 60hz임을 감안할때 최소한 60프레임이 평균 프레임은 되어야 모니터의 성능을 다 끌어 쓸 수 있으며 부드러운 느낌을 받으실 겁니다.


- 주의사항

 아무래도 저예산 컴퓨터이기 때문에 게임 이외에 다른 작업을 백그라운드에 놓고 플레이 하기엔 조금 버겁습니다. 배틀그라운드, 디스코드 등 말고는 사용하지 않는 프로그램은 전부 종료하고 플레이 해주세요 

제목_없음.png


부품별 설명

1. CPU  

최초로 하이퍼쓰레딩이 탑제된 펜티엄 코어인 G4560입니다. i3 와 클럭차이(성능차이)가 10% 정도 밖에 나지 않는데 반해 가격차이가 30% 이상납니다. 

G4560 + GTX1050ti 조합은 유투브에서 가장 많이 보이는 조합중 하나이기도 하죠.

2. 램 

PC방처럼 노하드가 아닌 이상 8기가면 충분합니다. 

CPU는 노동자, 램은 컨베이어 벨트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컨베이어 벨트가 아무리 많아도 노동자가 적으면 일정 수량의 컨베이어 벨트 이상부터는 생산량은 똑같듯이 CPU에 비해 램이 너무 많으면 돈낭비가 됩니다.

3. 메인보드

비록 3페이즈의 적은 전원부이지만, G4560의 TDP 정도는 거뜬하며, 동급 3페이즈중 방열판이 붙어있어 안정적입니다.

메인보드의 수명을 결정하는데 있어 방열판의 존재는 매우 큽니다. 메인보드 부품중 외부의 충격이 없을때 이론적으로 가장 빨리 수명이 다하는것이 캐페시터입니다. 

캐페시터는 온도가 10도 낮을때 2배의 수명을 가집니다.
일반적으로 캐페시터는 설계상 이점을 위해 발열량이 높은 모스펫 옆에 두는데 저가형 메인보드들은 원가절감을 위해 모스펫에 방열판을 붙이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원가절감 이외에도부품의 수명을 떨어트려 부품 회전률을 높여서 이득을 취하기 위해 일부러 붙이지 않는것 같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 메인보드는 저가형임에도 불구하고 방열판을 달고 나왔습니다. 아주 인상적인 부분이네요.

저렇게 허접한 방열판을 모스펫에 붙여놓기만 해도 플라워 형의 기본쿨러 덕분에 10도 이상의 온도차가 납니다.

4. SSD
기존 MLC의 자리를 몰아내고 3D TLC가 장악하는 추세입니다. 물론 MLC가 TLC에 비해 4배 이상 오래갑니다. 하지만 이는 공정이 같을때의 이야기 입니다.

낸드는 공정이 미세해지면 미세해질수록 부품원가, 전력소모는 줄어들지만 수명이 급격하게 줄어듭니다.

3D TLC 기술은 공정을 미세화 하지 않고도 원가를 줄일 수 있게 개발되었습니다.
즉 기존 보급형 MLC와 현재 3D TLC의 낸드 수명은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요새 SSD들은 낸드 수명보다 컨트롤러의 수명이 다해서 죽는 경우가 많습니다.
해당 SSD는 컨트롤러를 마벨 컨트롤러를 사용해 저가형중에선 가장 좋아보이기에 선택했습니다.

5. 그래픽카드

보조전원이 없고, 저렴하며 쿨링성능도 나쁘지 않습니다. 
성능은 벤치를 참고하면 될것입니다. 딱히 더 설명할게 없네요

6. 파워

액티브 PFC, 85%의 효율의 CWT OEM 제품입니다. CWT는 OEM 파워로 유명한 제조사 중 하나이고, 스파클텍 유통사는 FSP 파워의 유통사입니다. 유통사가 크고 제조사가 분명하니 가성비 최고의 파워입니다.

한가지 걸리는 부분은 낮은 용량의 메인 캐페시터인데, 이 부분은 현재 견적이 요구하는 전력 소모량이 크지 않아 넘어갈 수 있는 수준입니다.

7. 케이스

저렴한것으로 골랐습니다. 부품들이 큰 발열이 없는 부품들이고, 큰 케이스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후면 쿨러 하나만 붙어있는 이런 저렴한 케이스들에선 오히려 상단파워가 좋습니다.

케이스 내부의 통풍역할을 도와주기 때문입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