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민주당 내 김근태계 운동권 모임인 민평련 명단과 정보
게시물ID : sisa_976136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문빠아닌안까
추천 : 28
조회수 : 9807회
댓글수 : 42개
등록시간 : 2017/08/16 10:30:40
★ 전에 19~20대 국회에서 내부 총질한 의원들 목록을 만들었는데, 그때 민평련을 비롯한 운동권들이 호남+김한길계+손학규계에 비해 활동이 덜해서 관심이 적었던지라 계파 분류가 정확하지 못했고 이 점에 대한 지적도 있어서 아쉽던 차에 다시 정리해 보았습니다.
게시물을 여러 개로 나눠서 올릴까도 생각해 보았으나, 자료가 서로 연결되지 않을 것 같아 부득이하게 통채로 올립니다.
모르는 분들이 많아서 검색하고 정리하는 게 제일 힘들었는데, 작업한 파일이 두 번이나 날아가고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다보니 이제 웬만한 분들은 외울 지경이 됐네요. 백업을 생활화 합시다 ㅠㅠ



★ 차례 ★

Ⅰ. 요약

Ⅱ. 들어가기 전에

Ⅲ. 민평련
1. 17대 국회
2. 19대 국회 이후
3. 20대 국회 상황
4. 대선 캠프 참여, 지지 선언

Ⅳ. 관련 기사
1. 17대 국회
2. 18대 국회
3. 19대 국회
4. 20대 국회

Ⅴ. 개인별 이력




Ⅰ. 요약


1. 19대 국회 이후 계속 활동

1) 명단

권미혁 기동민 김민기 김비오 김영진 김종천 김창집 김한정 김현권 노영민 박완주 박우섭 박홍근 설훈 소병훈 신계륜 신동근 심재권 오영훈 우원식 위성곤 유기홍 유대운 유선호 유승희 유은혜 윤관석 윤후덕 이계안 이기우 이목희 이인영 이철우 이춘석 이호웅 인재근 장영달 진성준 최규성 최민화 홍미영 홍의락 홍익표 홍종학(44명)


2. 20대 국회 현재 상황


1) 현역 의원

권미혁 기동민 김민기 김영진 김한정 김현권 박완주 설훈 소병훈 신동근 심재권 오영훈 우원식 위성곤 유승희 유은혜 윤관석 윤후덕 이인영 이춘석 인재근 홍의락 홍익표(23명)

◆ 선수별 분류
4선 : 설훈(1명)
3선 : 심재권 우원식 유승희 이인영 이춘석(5명)
재선 : 김민기 박완주 유은혜 윤관석 윤후덕 인재근 홍의락 홍익표(8명)
초선 : 권미혁 기동민 김영진 김한정 김현권 소병훈 신동근 오영훈 위성곤(9명)


2) 원외

김비오 김종천 김창집 노영민 신계륜 유기홍 유대운 유선호 이계안 이기우 이목희 이철우 이호웅 장영달 진성준 최규성 최민화 홍종학(18명)


3) 지자체장

인천 남구청장 박우섭, 인천 부평구청장 홍미영(2명)


4) 탈퇴

박홍근(1명)




Ⅱ. 들어가기 전에


① 민평련은 2005년 결성된 이래 시간도 많이 흘렀고 가입과 탈퇴가 자유로운데다 원외는 언론에 잘 나오지 않기 때문에 기사에 민평련이라고 나온 분들만 모았습니다.
② 2008년 18대 국회 때 대거 낙선하고 2011년 김근태 의장이 서거하면서 인적 구성에 변화가 컸기 때문에, 요약 명단은 19대 국회 이후에도 계속 활동하는 분들 중심으로 추렸습니다.
③ 명단은 언론에 나온 공식 모임, 간담회, 기자 회견, 성명 발표 등을 바탕으로 작성하였으므로 불만이 있는 분은 언론사에 항의해주시기 바랍니다.
④ 이력과 캠프 참여 여부 등은 네이버 기사 검색과 네이버 프로필, 위키백과 등을 참고하였습니다. 이 부분까지 출처를 다 밝히면 글이 끝도 없이 길어져서 부득이하게 생략했습니다.
⑤ 바쁘신 분들은 Ⅰ. 요약만 보시면 됩니다.
⑥ 잘 모르는 분이 나오면 Ⅴ. 개인별 이력를 보거나 Ctrl+F로 검색해보세요.
⑦ 제 능력의 한계로 누락된 부분이나 잘못된 부분이 당연히 있을 테니 댓글로 의견 많이 남겨주세요.
⑧ 쓰다 보니 글이 너무 길고 복잡해졌습니다. 죄송합니다.




Ⅲ. 민평련



1. 17대 국회


1) 17대 국회 이후 등장한 전체 명단

강혜숙 강흥수 권미혁 기동민 김민기 김비오 김영진 김원이 김재균 김종천 김찬 김창집 김한정 김현권 노영민 문용식 문학진 박계동 박완주 박우섭 박홍근 선병렬 설훈 소병훈 신계륜 신동근 신학용 심재권 오영식 오영훈 우원식 위성곤 유기홍 유대운 유선호 유승희 유은혜 윤관석 윤선희 윤천원 윤후덕 이계안 이기우 이목희 이부영 이상수 이인영 이철우 이춘석 이해찬 이호웅 인재근 임종석 임종인 임채정 장세환 장영달 정대철 정봉주 정선순 진성준 최규성 최만영 최민화 한명숙 허영 홍미영 홍의락 홍익표 홍종학(70명)


2) 17대 결성 당시

① 김근태 부인 : 인재근(1명)

② 국회의원
강혜숙 노영민 문학진 박계동 선병렬 신학용 오영식 우원식 유선호 유승희 이계안 이기우 이목희 이인영 이철우 이해찬 이호웅 임종석 임종인 임채정 장영달 정봉주 최규성 한명숙 홍미영(25명)

③ 원외
강흥수 김재균 김찬 문용식 박우섭 소병훈 윤선희 이부영 이상수 정대철 정선순 최민화 홍의락(13명)

④ 보좌진
기동민 김원이 김종천 유은혜 윤천원 최만영 허영(7명)

⑤ 상임고문
이부영 이상수 이해찬 임채정 장영달 정대철 한명숙(7명)

⑥ 18대 국회 이후 활동 없음
강혜숙 강흥수 김원이 김찬 문용식 박계동 선병렬 신학용 오영식 윤선희 윤천원 이부영 이상수 이해찬 임종석 임종인 임채정 정대철 정봉주 정선순 최만영 한명숙 허영(23명)

※ 2008년 18대 총선에서 김근태를 비롯해 대거 낙선했고 2011년 김근태 서거로 활동이 적었기 때문에 18대 국회는 건너뜁니다.



2. 19대 국회 이후


1) 활동 없음

김재균 문학진 장세환(3명)


2) 활동 중

① 전체
권미혁 기동민 김민기 김비오 김영진 김종천 김창집 김한정 김현권 노영민 박완주 박우섭 박홍근 설훈 소병훈 신계륜 신동근 심재권 오영훈 우원식 위성곤 유기홍 유대운 유선호 유승희 유은혜 윤관석 윤후덕 이계안 이기우 이목희 이인영 이철우 이춘석 이호웅 인재근 장영달 진성준 최규성 최민화 홍미영 홍의락 홍익표 홍종학(44명)

② 17대 국회부터 계속 등장
기동민 김종천 노영민 박우섭 소병훈 우원식 유승희 유은혜 이계안 이기우 이목희 이인영 이철우 이호웅 인재근 최규성 최민화 홍의락(18명)

③ 18대 국회에만 등장
장세환(1명)
▶ 18대 국회 때만 기사가 있고 19대 이후 없으니 18대 때 잠깐 활동한 듯

④ 19대 국회부터 등장
김민기 김비오 김영진 김창집 박완주 박홍근 설훈 신계륜 유대운 윤관석 이춘석 진성준 홍익표(13명)
▶ 19대 국회 때 민평련이라고 처음 기사가 났을 뿐 언제 가입했는지 모름

⑤ 19대 국회 때 탈퇴
박홍근(1명)

⑥ 20대 국회부터 등장
권미혁 김한정 김현권 신동근 심재권 오영훈 위성곤 유기홍 윤후덕 홍종학(10명)



3. 20대 국회 현재 상황


1) 현역 의원

권미혁 기동민 김민기 김영진 김한정 김현권 박완주 설훈 소병훈 신동근 심재권 오영훈 우원식 위성곤 유승희 유은혜 윤관석 윤후덕 이인영 이춘석 인재근 홍의락 홍익표(23명)

◆ 선수별 분류
4선 : 설훈(1명)
3선 : 심재권 우원식 유승희 이인영 이춘석(5명)
재선 : 김민기 박완주 유은혜 윤관석 윤후덕 인재근 홍의락 홍익표(8명)
초선 : 권미혁 기동민 김영진 김한정 김현권 소병훈 신동근 오영훈 위성곤(9명)


2) 원외

김비오 김종천 김창집 노영민 신계륜 유기홍 유대운 유선호 이계안 이기우 이목희 이철우 이호웅 장영달 진성준 최규성 최민화 홍종학(18명)


3) 지자체장

인천 남구청장 박우섭, 인천 부평구청장 홍미영(2명)


4. 대선 캠프 참여, 지지 선언


※ 선대위는 탕평으로 꾸려지기 때문에 뺐습니다.


1) 2012년

① 문재인
김한정 노영민 유기홍 유대운 윤후덕 이계안 이목희 홍익표(8명)
▶ 김한정, 유기홍, 윤후덕은 20대 국회부터 민평련 활동 이력이 있어서 19대 때는 가입 여부 모름
유대운은 20대 총선 경선 패배 뒤 무소식

② 손학규
김민기 김비오 박완주 박우섭 설훈 우원식 유승희 이기우 이춘석 장세환 최규성 최민화(12명)

③ 김두관
이부영 이호웅(2명)
▶ 이부영은 17대 국회 때 민평련 상임고문으로 이름 올린 뒤 특별한 활동 없음

④ 안철수
윤천원 허영(2명)
▶ 김근태 전 보좌관으로 2012 안철수 캠프→박원순 행보
윤천원은 안철수 캠프 방송통신포럼 간사위원→2016 서울시 시민감사옴부즈만위원회 위원
허영은 안철수 캠프 비서팀장→2016 19대 총선 민주당 강원 춘천 낙선→2017 박원순 비서실장


2) 2016~2017년 대선 후보 지지, 캠프 참여

① 문재인
노영민 이춘석 진성준 홍종학

② 박원순

◆ 전체
권미혁 기동민 김민기 김영진 김한정 김현권 박홍근 설훈 소병훈 신동근 심재권 오영훈 우원식 위성곤 유선호 유승희 유은혜 윤후덕 이인영 이호웅 인재근 장영달 최규성 홍의락 홍익표(25명)

ⅰ. 지지 성명 발표
권미혁 기동민 김민기 김영진 김한정 김현권 설훈 소병훈 신동근 심재권 오영훈 우원식 위성곤 유승희 유은혜 윤후덕 이인영 인재근 홍익표(19명)
ⅱ. 만찬 참여
권미혁 김민기 김영진 김한정 설훈 소병훈 신동근 오영훈 우원식 유선호 윤후덕 이호웅 인재근 장영달 최규성 홍의락 홍익표(17명)
ⅲ. 대선 캠프 참여
권미혁 기동민 박홍근(3명)

ⅰ+ⅱ+ⅲ : 권미혁(1명)
ⅰ+ⅱ : 권미혁 김민기 김영진 김한정 설훈 소병훈 신동근 오영훈 우원식 윤후덕 인재근 홍익표(12명)
: 유선호 이호웅 장영달 최규성 홍의락(5명)
ⅰ+ⅲ : 권미혁 기동민(2명)

③ 안희정
기동민 김민기 박완주(3명)

④ 이재명
김영진 문학진 유승희(3명)
▶ 문학진은 19대 국회부터 민평련 활동 기사 없음

⑤ 대선 캠프, 지지 후보 이동

◆ 2012년 문재인 캠프→2017년 문재인 캠프
노영민 (1명)
 2012년 문재인 캠프→2016 박원순 지지 성명+만찬 참여
김한정 윤후덕 홍익표(3명)
 2012년 손학규 캠프→2016 박원순 지지
김민기 설훈 우원식 유승희(4명)
 2012년 손학규 캠프→2017 안희정 캠프
김민기(1명)
 2012년 손학규 캠프→2017 이재명 캠프
유승희(1명)
◆ 2016 박원순 캠프→2017 안희정 캠프
기동민




Ⅳ. 관련 기사


1. 17대 국회


① 2005.08.21. [연합뉴스] 與 국정연, 민주평화국민연대로 `새출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1079552

열린우리당 내 재야 출신 모임인 국민정치연구회가 `경제민주화와 평화통일을 위한 국민연대(민주평화국민연대)'로 이름을 바꾸고 대중 조직으로 전환하기 위한 외연 확대를 적극 모색키로 했다.

민주평화국민연대는 21일 경북 영주에서 끝난 2박3일간의 정기총회 및 하계수련회에서 이 같이 결의하고, 내년 지방선거를 대비한 조직력 강화차원에서 기간당원 및 70~80년대 민주화 투쟁 참여인사들을 대거 회원으로 가입시킨다는 방침을 세웠다고 한 관계자가 전했다.


② 2006.05.09. [주간동아] 대선주자 싱크탱크 연구⑤ 열린우리당 김근태 의원
http://weekly.donga.com/List/Series/3/990304/11/78972/1
민평련은 이들을 포함해 열린우리당 현역의원 32명과 당 중앙위원 5명 등이 지도위원으로 참여하고 있고, 15명의 상임고문단으로 구성된 매우 정치적인 조직이다.


③ 2016.10.24. [내일신문] CEO 학자에서 재야인사까지 폭넓은 인연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86&aid=0000047200
▶ ②에서 빠진 사람들 다수 포함. 기사가 길고 복잡해서 ①~③을 취합했습니다


④ 2007.05.15. [주간경향] [커버스토리] 범여권 빅뱅 시작됐다
http://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artid=14412
한때 김근태계로 불리며 30명 이상을 차지했던 민평련은 현재 활동을 제대로 하는 의원이 10여 명에 불과하다. 특히 민평련 의원들 중에서도 정치활동을 접은 정운찬 전 총장을 대안으로 생각했거나, 손학규 전 지사 쪽과 교류하는 의원들이 있는 등 민평련도 분화의 과정을 걷고 있다. 김근태 전 의장 측은 민평련 내 지지그룹과 함께 천정배 의원 측과 개혁블록을 구축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 우원식, 이인영, 노영민, 유승희, 최규성 의원 등이 김 전 의장과 뜻을 같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파트너인 천정배 의원 측에서는 김근태 전 의장에게 당장 탈당을 요구하고 있다.

(중략)

열린우리당 김부겸, 임종석, 정봉주, 신학용 의원 등 10여 명이 손학규 전 경기지사를 지지하거나 호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김부겸 의원은 당 지도부의 묵인 아래 손 전 지사의 범여권 조직구축을 돕는 등 가장 적극적이다.



2. 18대 국회


① 2008.04.25. [한겨레] 민주 ‘우회전-좌회전’ 논쟁 가열
http://www.hani.co.kr/arti/politics/assembly/284208.html
노영민 문학진 유선호 장세환 최규성


② 2008.04.26. [연합뉴스] <민주 진로모색 물밑 접촉 `활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2061850
문학진 우원식 유선호 유승희 이인영 최규성 홍미영
▶ 4월 25일 민평련 모임 참여 : ①+② 
노영민 문학진 우원식 유선호 유승희 이인영 장세환 최규성 홍미영 포함 15명 가량


③ 2008.06.10. [뉴시스] "민주당, 대중적 소통정치 해야 살아날 수 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3&aid=0002134052
토론회 참가 : 김근태 문학진 우원식 이목희 장영달 등(5명 이상)


④ 2008.09.30. [연합뉴스] <민주, 비주류 모임 가속..세분화 조짐>(종합)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2290900
민주연대 발기인대회 참여 : 김근태 김재균 유선호 장세환 최규성(5명)


⑤ 2011.04.06. [폴리뉴스] 등록금넷·민평련, ‘반값등록금 이행 촉구’ 간담회 개최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74777
김재균 노영민 유선호 이목희 이인영 최규성(6명)



3. 19대 국회


① 2012.03.27. [뉴시스] 민주, 내일 모란공원 김근태 묘소서 총선출정식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3&aid=0004410546
고 김 상임고문의 부인인 인재근 후보(서울 도봉갑)를 비롯해 이인영(서울 구로갑), 우원식(서울 노원을), 이계안(서울 동작을), 유은혜(경기 고양 일산동구), 박완주(충남 천안 을), 김창집(경기 김포), 이목희(서울 금천), 유승희(서울 성북갑), 이철우(경기 포천 연천), 홍의락(비례대표), 진성준(비례대표), 윤관석(인천 남동을), 박홍근(서울 중랑을), 홍익표(서울 성동을), 유대운(서울 강북을), 김영진(경기 수원병), 김민기(경기 용인을) 등 총선 후보들이 출정식에 참가한다.
▶ 19대 총선 직전 전부 원외, 참가 인원 총 18명


② 2012.04.23. [뉴시스] 민주 각 계파, 당권 놓고 물밑접촉 '활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3&aid=0004460675
세미나 참가 : 신계륜 우원식 유은혜 이목희 이인영 인재근 최규성(7명)


③ 2012.08.10. [노컷뉴스] "손학규 도우러갑니다" 민평련 9人 캠프 합류
http://www.nocutnews.co.kr/news/4273536
김민기 김비오 박완주 박우섭 설훈 우원식 이기우 이춘석 최민화(9명)


④ 2012.11.01. [연합뉴스] 민평련 문재인.안철수 단일화 촉구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5908783
박홍근 선병렬 설훈 유은혜 인재근 최규성 홍의락(7명)


⑤ 2014.06.10. [뉴스1] 민평련 "여당 면죄부, 야당 유죄…檢 강력 규탄"
http://news1.kr/articles/1715425
김민기 노영민 우원식 이인영 진성준 최규성(6명)



4. 20대 국회


① 2016.04.26. [국민일보] [인人터뷰] 홍의락 당선자 “1번만 찍던 ‘대구 인력의 법칙’ 옛말… 새 날개 되겠다”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509961
1970년대 고려대 학생운동에는 커다란 두 세력이 있었다. 청년문제연구회(청연)와 민족이념연구회(민연)가 유신체제 저항운동의 양대 축을 형성했다. 대구 계성고 총학생회 간부였던 홍 당선자는 민청학련 사건이 터진 1974년 고려대 농업경제학과에 입학했다. 마산고 총학생회장을 지낸 설훈 의원과 함께 청연에 가입해 활동했다. 신계륜 의원, 문학진 임종인 전 의원, 장하성 고려대 교수 등이 당시 어울리던 친구들이었다.


② 2016.07.13. [뉴스1] 더민주 민평련계 "사드 반대" 공개 입장 표명…당내 파장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421&aid=0002164612
기동민 김민기 김영진 김한정 김현권 설훈 소병훈 심재권 오영훈 우원식 위성곤 유승희 유은혜 이인영 인재근 홍의락 홍익표 노영민 유기홍 이목희 이호웅 장영달 최규성(23명)


③ 2016.08.07. [오마이뉴스] 박홍근 "후보 조기확정? '경쟁력 있는 후보'가 중요"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_w.aspx?CNTN_CD=A0002233090
김영주 의원에 비해 뒤늦게 선거전에 뛰어든 박홍근 의원(재선, 서울 중랑을)의 경우 19대 시절에 '민평련'을 탈퇴하기도 했다.
(중략)
민평련을 계파라고 생각하지 않지만, 오해를 살까봐 민평련도 나왔다.


④ 2016.08.07. [한국일보] [뒤끝뉴스] 민평련이 ‘박원순 호위무사’로 나선 까닭
http://www.hankookilbo.com/v/a2bde9952dcf4113a7343c0396db7148
성명 참여 : 권미혁 기동민 김민기 김영진 김한정 김현권 설훈 소병훈 신동근 심재권 오영훈 우원식 위성곤 유승희 유은혜 윤후덕 이인영 인재근 홍익표(19명)


⑤ 2016.08.10. [뉴스1] 박원순, 김근태계 민평련과 만찬…우군확보 나서나(종합)
http://news1.kr/articles/?2744336
권미혁 김민기 김영진 설훈 소병훈 오영훈 우원식 인재근 장영달 최규성 홍익표(11명) 등 16~17명


⑥ 2016.08.10. [노컷뉴스] 박원순, 민평련과 만찬…우군확보 본격 나섰나
http://www.nocutnews.co.kr/news/4637126
권미혁 김민기 김영진 김한정 설훈 소병훈 신동근 오영훈 우원식 유선호 윤후덕 이호웅 인재근 장영달 홍의락 홍익표(16명) 등 20여 명
▶ 박원순 만찬 참가 : ⑤+⑥
권미혁 김민기 김영진 김한정 설훈 소병훈 신동근 오영훈 우원식 유선호 윤후덕 이호웅 인재근 장영달 최규성 홍의락 홍익표(17명)


⑦ 2016.10.25. [미디어스] 민평련 “최순실 게이트, 대통령이 직접 진실 밝혀야”
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9662
권미혁 기동민 김민기 김영진 김한정 김현권 박완주 설훈 소병훈 신동근 심재권 오영훈 우원식 위성곤 유승희 유은혜 윤후덕 이인영 인재근 홍의락 홍익표 노영민 신계륜 유기홍 이목희 이호웅 장영달 진성준 최규성 홍미영 홍종학(31명)


⑧ 2017.02.01. [뉴시스] 민주 민평련 "野 정당들, 정권교체 위해 야권연대 나서야"
http://rio2016.news1.kr/articles/?2900088
권미혁 기동민 김민기 김영진 김한정 김현권 노영민 박완주 설훈 소병훈 신계륜 신동근 심재권 오영훈 우원식 위성곤 유기홍 유승희 유은혜 윤후덕 이기우 이목희 이인영 이호웅 인재근 장영달 진성준 최규성 홍의락 홍익표 홍종학(31명)


⑨ 2017.03.21. [우원식 블로그] 우원식 의원, 민평련 주최 '사드와 한국경제' 토론회 참석
http://woowonshik.tistory.com/3075
권미혁 기동민 김민기 김영진 김한정 김현권 박완주 설훈 소병훈 신동근 심재권 오영훈 우원식 위성곤 유승희 유은혜 윤후덕 이인영 인재근 홍의락 홍익표(21명)




Ⅴ. 개인별 이력


※ 선거 당선 이력 중심으로 작성했으니 정계 입문 전 직업, 선거 불출마/낙선 등 자세한 이력은 직접 검색해 보시기 바랍니다. 전수 조사 했는데 다 적으려니 너무 길어져서요.

이름 분류 안/국당 이력
강혜숙 17대 국회 때만 활동   2004 17대 총선 비례대표 당선
2008~ 강혜숙 무용단
강흥수 17대 국회 때만 활동   2006 김근태 당 의장 비서실 차장
권미혁 초선   2005~2011 여성민우회 대표
2011~2013 한국여성단체연합 상임대표
2016 20대 총선 비례대표
2016 박원순 지지 성명, 만찬 참여
2016~2017 박원순 캠프 참여 참여
기동민 초선   성균관대 85
1991 성균관대 총학생회장
1998~1999 신계륜(민평련) 서울시 정무부시장 비서
2003 청와대 비서실 정무수석비서관실 보좌관
2004~2008 김근태 보좌관
2010~2011 박지원 보좌관
2010 5회 지선 서울 성북구청장 경선 패배
2011/2014 박원순 서울시장 후보 캠프
2011~2014 서울시 정무수석, 정무부시장
2014.07.30. 재보선 광주 광산을→동작을 출마, 야권 후보 단일화로 사퇴
2016 20대 총선 서울 성북을 당선
2016 박원순 지지 성명
2016~2017 박원순 캠프 참여→안희정 캠프 비서실장
김민기 재선   2006 5회 지선 용인시의원 당선
2012/2016 19~20대 총선 경기 용인을 당선
2012 손학규 캠프 공동대변인
2016 박원순 지지 성명, 만찬 참여
2017 안희정 지지 선언
김비오 원외   2006 열린우리당 김근태 당 의장 정무특별보좌관
2012 손학규 지지 선언
2015 정봉주 팟캐스트 <알찍> 출연
2008/2016 18대, 20대 총선 부산 중·영도 낙선
김영진 초선   2008 김진표 보좌관
2016 20대 총선 경기 수원병 당선
2016 박원순 지지 성명, 만찬 참여
2017 이재명 캠프 조직본부장
김원이 17대 국회 때만 활동   성균관대 87
김근태 보좌관
2010 김우영 은평구청장 비서실장(김원이가 성균관대 1년 선배)
2011 박원순 서울시장 정무보좌관
2014 박원순 서울시장 캠프 조직 담당
2014.06.~ 서울시 정무수석
2014.12. 감사에서 5급 별정직 공무원이 5개월 가량 1급 수준의 업무추진비 받아서 논란 되자 반납하겠다 했으나 보수단체가 고발
2015.03. 서울시 정무수석 사퇴
2016.05. 기동민 의원실 4급 보좌관
2017 안희정 캠프 참여
2017.08. 국회 홈페이지 기동민 보좌관 목록에 없음
김재균 18대 국회까지 활동   1991/1995 광주시의원
1998/2002 2~3회 지선 광주 북구청장 당선
2008 18대 총선 광주 북을 당선
김종천 원외   한양대 87, 임종석 후배
2003~ 임종석→이재정→신계륜→김근태 보좌관
2013~ 김근태재단 사무처장
2016~2017 문재인 대선 준비팀 총무, 대선 캠프 공보 담당
김찬 17대 국회 때만 활동   1984~1985 김근태가 민청련 의장 시절 집행부
2006 민평련 정책실장 
김창집 원외   1990~ 김창집치과 원장
1998 2회 지선 김포시의원 당선
2012 19대 총선 경기 김포 낙선
김한정 초선   1989~1992 김대중 총재 공보비서
2003~2005 김대중 전 대통령 비서실장
2012 문재인 대선 후보 수행단장
2016 20대 총선 경기 남양주을 당선
2016 박원순 지지 성명, 만찬 참여
김현권 초선   1998~2012 지선, 총선 경북에서 계속 낙선
2015 김상곤 혁신위 혁신위원이던 임미애 남편
2016 19대 총선 비례대표 당선
2016 박원순 지지 성명
노영민 원외   2004/2008/2012 17~19대 총선 충북 청주 흥덕 당선
2012 문재인 캠프 공동선거대책본부장, 홍보미디어 총괄본부장
2016 20대 총선 시집 강매 논란으로 6개월 징계 받고 불출마
2017 문재인 캠프 조직본부장
문용식 17대 국회 때만 활동   2003 개혁신당 온라인위원장
2004~2007 한반도재단(김근태 싱크탱크) 사무총장
2011 손학규 영입으로 민주당 유비쿼터스위원회 위원장
2012 문재인 캠프 디지털캠페인본부장
2013~ 김근태재단 부이사장
2017 문재인 캠프 가짜뉴스대책단장
문학진 18대 국회까지 활동   1988~1995 한겨레신문 기자
2004/2008 17~18대 총선 경기 하남 당선
2006 민평련 사무총장
2017 이재명 캠프 대외총괄
박계동 17대 국회 때만 활동   1992 14대 총선 서울 강서갑 민주당 당선
2004 17대 총선 서울 송파을 한나라당 당선
노무현과 긴 인연이 있으니 궁금하면 검색해보기 바람
박완주 재선   1989 성균관대 부총학생회장
2004 보좌관으로 정계 입문
2007 이기우(1989 성균관대 총학생회장, 17대 국회의원, 민평련) 보좌관
2010 안희정 충남지사 후보 대변인
2012 19대 총선 충남 천안을 당선
2012 손학규 캠프 2040본부장
2016 20대 총선 충남 천안을 당선
2017 안희정 지지 선언
박우섭 원외 국민의당 김근태의 운동권 동지
2002/2010/2016 3회, 5~6회 지선 인천 남구청장 당선
2012 손학규 지지 선언
2015 김상곤 혁신위 혁신위원
2017 손학규 따라 민주당 탈당하고 국민의당 입당
국민회의→한나라당→열린우리당→국민의당 등 철새 행보
박홍근 19대 국회 때 탈퇴   1992 경희대 총학생회장
2007 대통합민주신당 전국청년위원장
2012/2016 19~20대 총선 서울 중랑을 당선
2012 19대 총선 때 양정철에게 경선 승리
2016 전대 직전 19대 국회 때 민평련 탈퇴했다고 인터뷰
2016 박원순 지지 성명
2016~2017 박원순 캠프 참여 참여
선병렬 17대 국회 때만 활동 국민의당 2004 17대 총선 대전 동구 당선
2006 한반도재단(김근태 싱크탱크) 산하 민주평화아카데미 소장
2016.01.07. 민주당 탈당 안철수 신당 합류
2016 20대 총선 대전 동구 국민의당으로 출마해 낙선
설훈 4선   1988 김대중에게 발탁되어 평민당 입당, 동교동계
1996/2000 15~16대 총선 도봉을 당선
2012/2016 19~20대 총선 경기 부천원미을 당선
2012 손학규 캠프 공동선대본부장, 인재 영입 담당
2016 박원순 지지 성명, 만찬 참여
현재 민평련 회장
소병훈 초선   1986~ 산하출판사 대표
1998 국민정치연구회(민평련 전신) 이사, 운영위원
2006 민평련 대외협력실장
2007 정동영 대선 후보 문화체육특별보좌관
2016 20대 총선 경기 광주갑 당선
2016 박원순 지지 성명, 만찬 참여
신계륜 원외   1992/2000/2004/2012 14대, 16~17대, 19대 총선 서울 성북을 당선
1999 국민정치연구회(민평련 전신) 참여
2006.02.10. 정치자금법 위반으로 징역 8월 집행유예 2년, 추징금 5500만원 받고 의원직 상실
2016 19대 총선 입법 로비로 기소되어 컷오프되고 민평련 후배 기동민이 지역구 물려받아 당선
2017.07.11. 대법원 징역 1년 벌금 1500만원 선고
신동근 초선   1990~ 신동근치과 원장
2002.08.08. 재보선 인천 서구·강화을 낙선 포함 4회 낙선
2016 20대 국회 인천 서구·강화을 당선
2016 박원순 지지 성명, 만찬 참여
신학용 17대 국회 때만 활동 국민의당 2008/2012/2016 17~19대 총선 인천 계양갑 당선
2016 20대 총선 입법 로비 혐의로 기소되어 불출마 선언
2016.01.19. 민주당 탈당 국민의당 합류
2017.07.11. 대법원 징역 2년 6월 벌금 3100만원 선고
심재권 3선   2000/2012/2016 16대, 19~20대 서울 강동을 당선
2001 김대중 총재 비서실장
2004.03.12. 16대 국회 새천년민주당 소속으로 노무현 대통령 탄핵 표결 참여. 현역 정치인 중 표결 참여한 또 다른 2명은 이낙연, 추미애로 반대가 2표였으나 비밀 투표라 누군지 모름.
2016 박원순 지지 성명 참여
오영식 17대 국회 때만 활동   1988 고려대 총학생회장, 전대협 2기 의장
2003.03.06. 17대 국회 새천년민주당 비례대표 승계
2003.10.26. 탈당으로 비례대표 상실
2004/2012 서울 강북갑 당선
2015.02.08. 최고위원 당선
2016 20대 총선 김종인 비대위에서 컷오프
오영훈 초선   2006/2010 4~5회 지선 제주도의원 당선
2016 20대 총선 제주 제주을 당선
2016 박원순 지지 성명, 만찬 참여
우원식 3선   1995 1회 지선 서울시의원 당선
2004/2012/2016 17대, 19~20대 총선 서울 노원을 당선
2006 민평련 지방자치위원회 위원장
2012 손학규 캠프 선대위 부위원장
2015 김상곤 혁신위 혁신위원
2016 박원순 지지 성명, 만찬 참여
위성곤 초선   2006/2010/2014 4~6회 지선 제주도의원 당선
2016 20대 총선 제주 서귀포 당선
2016 박원순 지지 성명
유기홍 원외   1983~2000 민주화운동청년연합(민청련), 전국연합,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민화협) 활동
2000 대통령비서실 정책기획국장
2004/2012 서울 관악갑 당선
2012 문재인 캠프 행복한 교육 추진본부장
2016 20대 총선 서울 관악갑 낙선
유대운 원외   1995/1998/2002 1~3회 지선 서울시의원 당선
2012 19대 총선 서울 강북을 당선
2012 문재인 캠프 조직특보단장
2016 20대 총선 서울 강북을 박용진에게 경선 패배
유선호 원외 국민의당
(탈당)
인권 변호사
1996/2004/2008 15대, 17~18대 총선 경기 군포 당선
2015.09.03. 새정연 탈당해 천정배 신당 합류
2016.03.11. 국민의당 탈당해 무소속 출마 선언했으나 20대 총선 전남 목포 낙선
2016 박원순 만찬 참여
유승희 3선   1995 경기 광명시의원
2004 17대 총선 비례대표
2006 한반도재단(김근태 싱크탱크) 산하 민주평화연구소 소장
2012/2016 19~20대 총선 서울 성북갑 당선
2012 손학규 캠프 참여
2015.02.08. 최고위원 당선
2015.05.08. 최고위에서 봄날은 간다 노래 불러 봉숭아 학당 비판 자초
2015.12.11. 최고위에서 문재인 당 대표 사퇴하고 전대 다시 열자 주장
2016 박원순 지지 성명
2017 이재명 캠프 총괄본부장
유은혜 재선   성균관대 81
1998~2001 김근태 후원회 사무국장
1999 국민정치연구회(민평련 전신) 이사
2002~2003 김근태 보좌관
2003 한반도재단(김근태 싱크탱크) 사무국장
2008 18대 총선 비례대표 낙선
2012/2016 19~20대 총선 경기 고양 일산동구→고양병 당선
2016 박원순 지지 성명
윤관석 재선   2012/2016 19~20대 총선 인천 남동갑 당선
윤선희 17대 국회 때만 활동   2003 개혁신당 집행위원
2004 열린우리당 청년위원장
2006 김근태 지지
2007 이해찬 지지
윤천원 17대 국회 때만 활동 안철수 캠프 서울대 82
신기남→유선호→김근태 보좌관
2006 김근태 당 의장 비서실 차장
2009~2011 한국케이블TV 정책협력실장→국장→전문위원→이사
2012 안철수 캠프 방송통신포럼 간사위원
2016 서울시 시민감사옴부즈만위원회 위원
윤후덕 재선   1991~2001 김원길 보좌관
2003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경제1분과 전문위원
2003 해양수산부, 행정안전부 장관 정책보좌관
2003~2006 청와대 비서관
2007~2008 국무총리 비서실장
2012/2016 19~20대 총선 경기 파주갑 당선
2012 문재인 캠프 비서실장
2016 박원순 지지 성명, 만찬 참여
이계안 원외 국민의당 1997 현대중공업 입사
1998 현대자동차 대표이사
2001 현대캐피탈, 현대카드 대표이사
2004 17대 총선 서울 동작을 당선
2006~2007 김근태 당 의장 비서실장
2012 문재인 캠프 4대성장 추진본부장
2013 탈당해서 안철수 신당 합류
2016 20대 총선 국민의당 경기 평택을 낙선
이기우 원외   1989 성균관대 총학생회장(부총학생회장 박완주)
1998 2회 지선 경기도의원 당선
2004 17대 총선 경기 수원 권선 당선
2008 손학규 당 대표 비서실장
2012 손학규 캠프 유세단장
2014.12. ~ 2016.07. 민선 6기 경기도 전반기 사회통합부지사
이목희 원외   2004/2012 17대, 19대 총선 서울 금천 당선
2012 문재인 캠프 기획본부장
2016 20대 총선 서울 금천 경선 패배
이부영 17대 국회 때만 활동   1996/2000/2004 14~16대 총선 서울 강동갑 당선
2005 민평련 상임고문
이상수 17대 국회 때만 활동   인권 변호사
1988/1996/2000 13대, 15~16대 총선 서울 중랑갑 당선
2005~ 민평련 상임고문
2006 노동부 장관
이인영 3선   1987 고려대 총학생회장, 전대협 1기 의장
2006 한반도재단(김근태 싱크탱크) 산하 동북아연구소 소장
2004/2012/2016 17대, 19~20대 총선 서울 구로갑 당선
2016 박원순 지지 성명
이철우 원외   2004 17대 총선 경기 포천연천 당선
2005 선거법 위반으로 의원직 상실
2006 한반도재단 산하 동북아연구소 소속
2012 19대 총선 낙선
이춘석 3선   2008/2012/2016 18~20대 총선 전북 익산갑 당선
2012 손학규 캠프 `저녁이 있는 삶' 본부장
2017 문재인 캠프 특보단장
이해찬 17대 국회 때만 활동   다 아는 그분
이호웅 원외   2006 민평련 이사장
2000/2004 16~17대 총선 인천 남동을 당선
2016 박원순 만찬 참여
인재근 재선   김근태 부인
2012/2016 서울 도봉갑 당선
2016 박원순 지지 성명, 만찬 참여
현재 한반도재단(김근태 싱크탱크), 김근태재단 이사장
임종석 17대 국회 때만 활동   한양대 86
1989 한양대 총학생회장, 전대협 3기 의장
2000/2004 16~17대 총선 서울 성동→성동을 당선
2012 정치자금법 위반으로 기소되어 사무총장 사퇴하고 19대 총선 총선 불출마
2014 박원순 서울시장 캠프 총괄팀장, 서울시 정무부시장
2017 문재인 캠프 비서실장, 청와대 비서실장
임종인 17대 국회 때만 활동   2004 17대 총선 경기 안산상록을 당선
임채정 17대 국회 때만 활동   1992~2007 14~17대 총선 국회의원
2005 열린우리당 의장
2006~2008 국회의장
장세환 18대 국회에서만 활동 국민의당 1979~1999 전북일보, 한겨레신문, 전라일보 기자
2000~2001 전북 정무도지사
2002 노무현 대통령 후보 언론특보
2003 김근태 원내대표 언론특보
2008 18대 총선 전주 완산을 당선
2012 손학규 캠프 홍보미디어본부장
2015.09.03. 새정연 탈당해 천정배 신당 합류
2016 20대 총선 전주을 국민의당으로 출마해 낙선
장영달 원외   1983 민주화운동청년연합(민청련) 창립, 초대 부의장(의장 김근태)
1992/1996/2000/2004 14~17대 전북 전주 완산→완산갑 국회의원
2005~2006 민평련 초대 이사장
2006 한반도재단(김근태 싱크탱크) 이사장
2016 박원순 만찬 참여
정대철 17대 국회 때만 활동 국민의당 1977.06.10. 재보선 당선을 시작으로 2000 16대 총선 당선된 5선 의원
2005~ 민평련 상임고문
2016.01.13. 민주당 탈당
2016.03.02. 국민의당 합류
정봉주 17대 국회 때만 활동   2004 17대 총선 서울 노원갑 당선
2005 민평련 산하기구에서 독립한 국민정치연대 공동대표
2007.07. 손학규 캠프 합류한 이후 민평련 활동 없음
정선순 17대 국회 때만 활동   전 서울시의원
2016.06. 총선 직후 '아침을 여는 여성들의 평화모임'에서 인재근, 유은혜, 박선숙, 장정숙(국민의당 비례대표, 2007년부터 모임 대표), 홍미영(인천 부평구청장), 이인영·우원식 부인 등과 모인다는 기사에 등장. 2007년 한반도재단(김근태 싱크탱크) 내 여성 모임이 시작이라고 함.
진성준 원외   1995 장영달 보좌관으로 정계 입문
2012 19대 총선 비례대표 당선
2015 문재인 대표 때 전략기획위원장
2016 20대 총선 서울 강서을 낙선
2017 문재인 캠프 전략부본부장, 청와대 정무수석실 정무기획비서관
최규성 원외   2006 민평련 부이사장, 지역위원회 위원장
2004/2008/2012 17~19대 총선 전북 김제완주 당선
2012 민평련 이사장, 손학규 북콘서트 참석
2016 20대 총선 김종인 비대위가 컷오프
2016 박원순 만찬 참여
최만영 17대 국회 때만 활동   성균관대
김근태 보좌관, 김근태 당 의장 비서실 차장
현재 도서출판 책담 대표
최민화 원외   2006 민평련 운영위원장, 환경관리공단 감사
2012 민족민주운동연구소 소장, 손학규 캠프 공동선대본부장단
한명숙 17대 국회 때만 활동   다 아는 그분
허영 17대 국회 때만 활동 안철수 캠프 고려대 89
1992 고려대 총학생회장
14대 국회 신계륜(민평련) 보좌관으로 정계 입문
2003~2007 김근태 보좌관
2007~2008 이기우(민평련) 보좌관
2011 최문순 강원도지사 비서실장
2012 안철수 캠프 비서팀장
2016 20대 총선 강원 춘천 낙선
2017 박원순 서울시장 비서실장
홍미영 원외   1995/1998 1~2대 지선 인천시의원 당선
2004 17대 총선 비례대표 당선
2006 민평련 부이사장
2010/2014 5~6대 지방선거 인천 부평구청장 당선
홍의락 재선   2004 열린우리당 창당 발기인
2006 민평련 생활정치위원회 위원장
2012 19대 총선 비례대표 당선
2016 20대 총선 직전 혁신안에 의해 컷오프 당하자 탈당해 무소속으로 당선된 뒤 복당. 총선 직후 고대 운동권 시절부터 설훈, 신계륜, 임종인, 문학진(이상 민평련), 장하성과 같이 어울렸다 인터뷰
2016 박원순 만찬 참여
홍익표 재선   한양대
2007 통일부 정책보좌관
2012/2016 19~20대 총선 성동을→중·성동을 당선
2012년 3월 임종석이 정치자금법 위반으로 재판 중인 것이 문제 되자 사무총장 사퇴하고 총선 불출마한 뒤 홍익표가 임종석 지역구에 급하게 공천 받음
2012 문재인 캠프 운영위원
2016 박원순 지지 성명, 만찬 참여
홍종학 원외   2012 19대 총선 비례대표 당선
2016 20대 총선 불출마
2017 문재인 캠프 정책본부장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CEJ
2017-08-16 10:32:58추천 18
정리 ㅎㄷㄷ하네요 추천!
댓글 0개 ▲
2017-08-16 10:40:46추천 18/8
분리수거,재활용 가능한 인물이 섞여 있습니다.
그리고 김근태 민주저항 업적은 인정 합시다.
댓글 5개 ▲
2017-08-16 10:46:26추천 69
greenmaker▶깔 때 까더라도 민평련의 정확한 실체를 알고 까자고 정리한 것입니다. 친노친문은 진짜 친노친문과 조금만 가깝거나 우호적이거나 조금 인연만 있어도 범친노, 범친문, 범주류 등으로 분류되어 언론과 반노반문들한테 사정없이 까이는데, 민평련은 실체도 잘 알려지지 않았는데
민평련으로 뭉뚱그려 까이고 있어서요.

김근태 비판 의도 없습니다. 일부 문제 인물 제외하고 민평련에 대한 저의 의견은 전혀 넣지 않았습니다. 민평련=김근태 아닙니다. 친노=노무현 아니듯이요. 김근태, 노무현은 훌륭했어도 민평련과 친노는 욕 먹을 수 있습니다.
2017-08-16 10:49:26추천 12
정확하게 이해 되었으며, 좋은 글이라 생각 합니다.
2017-08-16 10:54:20추천 52
김대중 대통령 은퇴 이후 동교동계가 저렇게 되었듯이 김근태의원 사후 민평련은 지금 동교동계의 전철을 밟고 있습니다.
동교동계가 민주당 적폐가 되었다고 김대중 대통령의 업적이 사라지지 않듯이 민평련이 지금 저런다고 돌아가신 김근태 의원의
업적이 폄하되는건 아닙니다.
2017-08-16 13:08:35추천 9
김근태의장의 민주화 신화와 민평련은 아무상관 없습니다 분리수거 재활용....뭐있을수있지만 그것이 선행되어서는안됩니다 무슨 히드라같은 조직같네여
2017-08-16 13:08:49추천 2
히드라 ㄴㄴ 하이드라
2017-08-16 10:52:23추천 14
허다하게 투입된 시간과 집요한 노력 그리고 정성에 추천과 박수!!!
댓글 0개 ▲
2017-08-16 11:19:28추천 9
추천밖에 드릴게 없네요...
댓글 0개 ▲
2017-08-16 11:22:21추천 12
초창기에는 운동권 출신은 모두 민평련으로 분류 되었고 또한 김근태의원이 자리도 마련해 준 걸로 보입니다.  정치입문의 과정이었겠지요. 그런데 어느 시점 부터는 민평련이라는 계파로 자리 잡게 되는 것 같습니다. 계속 주목합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0개 ▲
2017-08-16 11:55:28추천 8
명단만 놓고 판단하는 건 좀 위험하고... 실제 발암유발 언행 여부를 함께 봐야 할듯..
댓글 0개 ▲
베스트 게시판으로 복사되었습니다!!!
2017-08-16 12:39:43추천 1
익산 지역인데 이춘석 의원 애매한데 판단 댓글 부탁드려요
댓글 1개 ▲
2017-08-16 13:11:46추천 5
팬더라이트▶이춘석은 2012년 7월 한 달 동안 민평련으로 활동했다는 기사가 나오고 그 이후는 없습니다. 2012년 7월에 했던 민평련의  대선 후보 간담회 대비해 활동 좀 하다가 안 하는 거 같아요. 이춘석 외에도 20대 국회 들어 민평련 활동이 없는 분들이 몇 분 있는데 아직 20대 국회가 많이 남았고. 이분들까지 다 쓰면 본문이 폭파될 거 같아 줄였습니다. 네이버에서 이춘석 민평련으로 검색하시면 2012년 6월 30일부터 7월 30일 안에 등록된 기사만 나올 겁니다.

변호사 출신으로 손학규계인데, 2008년 총선 때 원래 그 지역구 의원이던 한병도(이번에 문캠에 있다 청와대 정무보좌관으로 갔죠)가 컷오프 되고 난 뒤 공천 받았으니 손학규나 박상천 영입이 아니었을까.. 그런데 이후 손학규 캠프에 들어가고 손학규계라고 계속 기사가 나는 거 보니 손학규계 지분?이 더 큰 거 같습니다.

정봉주 팟캐에서 윈지코리아컨설팅(여론조사 기관) 박시영이 이춘석 일 잘한다고 평했던 거 들었어요. 박근혜 탄핵소추 위원으로도 활동했고 일 잘하니까 추대표가 사무총장으로 뽑았을 거 같고.. 내부 총질도 안 하고 국민의당 안 갔고..

다만 3월에 <주간조선>이랑 인터뷰 했는데, 문재인이랑 2시간 동안 독대하면서 측근들에게 패권이 있다고 말했다 하더군요. 문재인 측근이 무슨 패권을 부린다는 건지.. 주류에서 멀어지면 이런 식으로 피해의식이나 망상이 쌓여가나 싶었습니다.

2017.03.13. [주간조선] [민주당 3選 3人 내 후보를 말한다] 문재인 지지 이춘석 의원
http://weekly.chosun.com/client/news/viw.asp?nNewsNumb=002448100006&ctcd=C03

이날 문 후보는 1시간30분가량 발언했고 이 의원도 30여분간 자신의 생각을 전달했다. 이 의원은 “문 후보 개인은 좋은 분으로 평가받지만 주변에 가까운 참모들에 대해 우려하는 이들도 있다”는 직언(直言)도 했다. 민주당 안팎에서는 이를 친문 패권(覇權)으로 규정하기도 한다. 이런 비판에 대해 문 후보는 빙긋 웃으며 이렇게 화답했다고 한다. “그런 우려가 있다는 걸 안다. 내 의지가 중요한데, 반드시 그런 우려를 불식시키겠다. 나를 믿고 도와달라.”
2017-08-16 12:59:32추천 0
기사들은 어후 발암 많네요
댓글 0개 ▲
베오베 게시판으로 복사되었습니다!!!
2017-08-16 13:17:13추천 5
스크랩했습니다 ㅡ 대단하십니다 ㅡ 박홍근은 민평련같은데 우원식 밑에서 일하는거 봐도 그렇고 ㅡ 어쨋든 멋지십니다 ~~~
댓글 0개 ▲
2017-08-16 13:24:45추천 6
작성하시느라 고생하셨읍니다 머릿수는 상당한데 이렇다할만한  인재가 안보이네요
댓글 0개 ▲
2017-08-16 13:27:31추천 7
님 대단하세요;;; 완전 멋짐! 앞으로 저들의 행보를 눈여겨 봐야겠네요.
댓글 0개 ▲
2017-08-16 13:32:46추천 1/9
정치인은 기본적으로 각자 정치활동에 대해 평가받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친노패권주의라는 비판에 부당한 부분이 많듯이 민평련 출신에 대한 민평련계라는 비판 또한 지나친 면이 많은 것 같습니다.
댓글 1개 ▲
2017-08-16 13:41:29추천 5
일부 공감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발자취 또한 그들이 살아온 삶의 일부이기에 그들을 평가하고 판단하는데 참고자료는 충분히 될 수 있다고 봅니다.
민평령이라서 나쁘다는게 아니라...그들이 왜 이런 행동을 하는가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키워드라고 생각합니다.
무조건적인 비판은 지양해야겠지만, 합리적 판단을 위한 근거로서 참고는 충분히 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2017-08-16 13:37:04추천 0
진성준의원 친노인줄 알고 있었던 1인
김민기 인재근 등 요주의 인물제외하면 전부 발암은 아니네요
댓글 0개 ▲
2017-08-16 14:00:03추천 0/13
민평련 문제있나요? 전 왜 이런 글이 올라왔는지는 모르겠는데....  적어도 설훈 의원은 옛날 노무현 대통령 탄핵때 민주당에서 "유일하게" 끝까지 탄핵 반대했던 인물이라 저에겐 까방권이 있는 사람입니다. 첨부터 이미 탄핵찬성했던 쓰레기들과 끝까지 버틸듯하다 결국은 찬성으로 갈아탔던 누구와 비교되서 잊지 못하고 있습니다만?
댓글 3개 ▲
2017-08-16 14:24:18추천 12
ㅣㅏㅏ▶

1. 이 글을 왜 썼는지는 본문 맨 처음 별표 치고 파란색 글씨로 먼저 쓰고,  맨 처음 단 댓글에 에 또 쓰고 두 차례에 걸쳐 썼는데 다시 말씀드리면

①  전에 19~20대 국회에서 내부 총질한 의원들 목록을 작성해서 올렸는데 그때 운동권들 계파에 대해 잘 몰라서 계파 분류가 많이 틀려서 그에 대판 지적을 좀 받았고
②  요즘 민평련이 비판을 많이 받는데  실제 민평련 소속 정치인이 누군지 궁금했기 때문입니다.

2. 설훈은 우원식과 함께 추경 처리하려면 조대엽 날리라는 당 내 다수 의견을 관철시키기 위해 원로모임+의총 동원해서 언플하고, 그 뒤 우원식이 바로 대통령 독대해서 결국 조대엽 날렸지만 조대엽만 날아가고 누더기 추경이 되었기 때문에 안 좋게 보고 있습니다. 이 글 본문을 보면 올 2월에 민평련과 성명 발표하며 대선 때 야권 연대 해야 된다고 주장한 것도 어이없고.. 대선 때 야권 연대는 우원식도 예전부터 계속 말하던 거였죠. 저는 반대.

아무튼 조대엽 날린 걸 왜 설훈과 우원식의 작전이라고 생각하냐 하면, 중진모임은 원래부터 있던 거였고, 원내대표인 우원식이 평소 참여한다는 소식도 없었는데 갑자기 거기 참가하고, 또 본회의 열리는 날이면 원래 잡힌다는 의총에서 그런 의견이 있던 것처럼 언플을 했는데, 그런 발언 했다고 따옴표 인용돼서 실린 사람은 설훈 밖에 없었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설훈은 민평련 회장이죠.
이날 원로회의 참석했다고 기사 난 의원들 의원실에 거의 다 전화해 봤는데, 보좌관들이 모임은 비공개여서 나도 모른다. 우리 의원님 발언 기사 났냐? 안 났으면 우리 의원님이 뭐라고 했는지 어떻게 아냐? 이런 분위기였습니다. 설훈 주장만 따옴표로 온갖 언론에 인용됐고..

이날 일에 대해 이석현 의원님이 뭐라고 하셨는지 트윗 첨부합니다. 원내대표실에서 자꾸 참석하라고 전화했다네요.
https://twitter.com/lsh4u/status/895035499449958400

2017-08-17 08:13:04추천 0
그런 의도가 없다. 단순한 분류다라고 하시지만 그냥 봐도 살생부 같아서 적어본 겁니다.
글고 님은 닉넴부터 친문지지자도 아니신거 같고요.
뭐. 어차피 문지지자라고 해도 저처럼 의견이 조금이라도 다르면 이렇게 비추폭탄 맞고 비아냥거리는 소리나 듣는게 현실이니. 뭐 별로 더 할말은 없네요. 하지만 전 여전히 끝까지 탄핵반대했던 설훈을 마지막에 탄핵찬성으로 갈아탄 추미애보다  좋아합니다.
2017-08-17 10:18:32추천 0
ㅣㅏㅏ▶설훈이나 추미애에 대해서는 님 취향이나 생각 존중해 드릴게요. 동교동계 시절 어떻게 정치했는지는 모르겠고 관심도 없고 저는 설훈이 재기 성공한 19대 국회 이후  행적을 보고 현재의 설훈을 평가할 뿐이니까요.

그리고 오유 가입 오래 되셨고 방문수도 높으신데 시게 활동 별로 없으신 님이 제가 친문 지지자가 아닌 거 같다고 평가를 하시려면  제 과거 글이나 댓글 정도는 읽고 저에 대해 이렇다 저렇다 판단하셔야 되는 거 아닌가요? 님이 무슨 근거로 저한테 문재인 지지가가 아니라느니 하는지 모르겠네요. 앞으로 시게에서 자기 지지 성향 입증하려면 제가 처음 투표권 가졌을 때부터 투표했던 사람들 전부 인증이라도 해야 되나요? 그것보단 제 과거 글 보고 판단하는 게 쉬울 텐데요.

댓글로 아무리 설명해도 계파와 정파를 구분 못하고, 개인의 일탈 행위와 정파의 집단적 행위를 구분 못 하는 분과는 더 이상 말 해도 소용 없을 거 같네요. 반정부단체나 지하 단체도 아니고 정파라고 주장하고 자기 이름 걸고 공식적인 정치 행동 하는 그룹의 이름을 나열했다고 해서 살생부 운운하시니 어이가 없을 수밖에요. 민평련은 자기 이름 드러내고 떳떳히 활동하고 있는데 <문재인 지지자>라는 님이 뭐가 걱정돼서 민평련 소속 정치인들 이름 알려지는 걸 부정적으로 보시는지 이해가 안 되는군요. 찔리는 거라도 있으세요?
[본인삭제]20140416
2017-08-16 14:08:11추천 0/17
댓글 3개 ▲
2017-08-16 14:44:49추천 10
20140416▶
1. 제가 그때 글 올렸을 때 저는 절대 친문을 반문이라고 분류한 적 없습니다. 친문(계파) 중에 반문질(행동)에 동참한 사람이 있다고 했지.. 제목도 반문질이었어요. 민주연구원의 개헌 보고서의 "친문", "비문" 표현을 트집 잡아 그게 분열 행위라느니, 김용익 원장을 경질하라느니 하는 성명에 동참한 게 문재인 흔들려는 반문질이라고 했지 조응천, 김병기가 반문이라고 한 적 없어요. 분리해서 생각해 주셨으면 합니다. 그 두 분의 의도는 그게 아니었다 하더라도 결과는 그랬습니다.

2. 그리고 이동형이 ㅈㄹ하는 거 따위 신경 안 씁니다. 그 사람 의견 따위 1도 안 중요합니다. 총선 때는 김종인이 조중동 보고 정청래 날렸다고 길길이 날뛰더니, 문재인 지지자들이 이재명 비판할 때는 조중동이 이용한다고 자제하라고 하더군요.
절대로 국민의당과 합치면 안 된다고 하더니, 이재명한테 유리하니까 합쳐야 된다고 하고요. 자기 이득에 따라 말 바뀌는 사람 말 더 이상 신뢰 안 합니다. 그냥 저 사람 욕망은 저렇구나 하는 거죠.
[본인삭제]20140416
2017-08-16 17:57:20추천 0
2017-08-17 10:21:08추천 1
20140416▶오히려 제 말투가 딱딱해서 죄송합니다.  쓸데없는 말을 줄이는 게 논란을 줄일 거 같아 정보만 나열했는데 화난 말투처럼 보였던 거 같아요. 아무튼 의견 감사합니다.
2017-08-16 14:08:43추천 7
자료가 좋아서...
댓글 0개 ▲
2017-08-16 14:25:45추천 0/9
이런거 보면 일종의 블랙리스트라고 생각할 사람이 많을 것 같네요
댓글 0개 ▲
2017-08-16 14:28:51추천 1
.
댓글 0개 ▲
2017-08-16 14:34:46추천 4
김근태로 정치입문했어도 패거리정치 안하고 국민을 위한 소신정치 하길 바란다.
3년 남았다.
댓글 0개 ▲
2017-08-16 15:06:23추천 5
정치를 아는데 있어서 계파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민평련계가 누구인지만 알아도 당내 역학관계가 좀더 잘보이죠. 칼은 죄가없고
칼을 사용한 사람이 문제일뿐입니다. 솔직히 일반인들중에 민평련이 누구누구인지 아는 사람이 몇이나 됩니까?
이왕 민평련계를 밝혔으니 그외에 다른 계파도 소상히 밝히는게 좋을듯 합니다.
댓글 0개 ▲
[본인삭제]마고84
2017-08-16 15:27:10추천 6
댓글 0개 ▲
2017-08-16 16:02:18추천 2
조용히 추천..
댓글 0개 ▲
2017-08-16 16:41:34추천 0/4
의도는 알겠는데 결국 낳게 될 결과는 친문판 블랙리스트일 거라는 생각이 드네요, 실제 댓글만 봐도 그렇고.
댓글 1개 ▲
2017-08-16 17:26:24추천 1
니췌▶19대 국회 이후 민평련으로 활동하는 분들 다 훑어도 내부 총질하고 사익 추구(공천, 자리, 당직)하는 분들은 얼마 안 됩니다. 민평련 다수가 의정 활동 열심히 하시는 분들이시네요.

그리고 민평련은 결성 때부터 계파(사익 추구)가 아닌 정파(공익 추구)라고 누누히 주장해 왔습니다. 본문에도 있지만, 민평련의 풀 네임은 <경제민주화와 평화통일을 위한 국민연대>입니다. 이걸 하겠다고 정파를 만들었으니 모임의 목적에 맞게 활동을 잘 하고 있나 국민들에게 당연히 평가를 받아야겠죠. 그러니 자기들 이름 걸고 사안마다 성명 내고, 토론회, 좌담회 열고, 대선 후보도 토론회 거쳐 민평련 투표로 결정하겠다 한 거죠. 물론 2012년, 2017년 두 번 다 민평련 공식 지지 후보는 못 정했지만..

민평련의 정치 행위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분에게는 <화이트리스트>가 될 것이고, 아닌 분에게는 <블랙리스트>가 되겠죠. 저는 그냥 민평련이라는 정파의 <리스트>를 올렸을 뿐입니다. 판단은 각자 하는 거고.. 다만 민평련 중 일부가 비판 받을 행동을 하긴 했죠. 그건 나중에 기회가 되면 정리해서 올리겠습니다.
2017-08-16 17:11:04추천 1
민평련 까는 글이 아니라 계파정리했을뿐인데
뭐 제발 저린 양반들이 많네요.
작성자도 몇번이나 만든 이유를 밝혔는데
읽지도 않고..
댓글 0개 ▲
2017-08-16 17:52:34추천 0
사견임을 전제로
설훈은 동교동계 막내
심재권은 독고다이
윤후덕은 친노
권미혁은 시민사회(굳이 붙이자면 박원순계)
댓글 0개 ▲
2017-08-16 18:47:40추천 1
스크랩했습니다
댓글 0개 ▲
2017-08-16 18:58:03추천 0
민평련이건 노사모건 뭉쳐야 된다는 사실 그리구 이미 국물당으로 간시키는 이도저도 아님 건전한 비판과 충고는 권하겠지만 서로 비난하는것들은 민평도아닌 노사모도 아닌 국정원 프락치나 닭쥐레기똥바른궁물당시키들일 확률이 99프로 이상이다 지발들 그만 싸워라 김근태 노무현 두분이 하늘에서 쳐다보고 계신다 참고로 난 노동당 지지자 이다
댓글 0개 ▲
2017-08-16 20:03:58추천 0
정리 잘하셨습니다.

06년 이후 김근태계와 정동영계는   계파싸움의 비판을 듣고    움츠렸습니다.  계파 분쟁은 비판하지만 정파간 의견 대립은 내버려 둬야 하는거라는 정론이 있었고.   그에 따라   민평련과     안개모의 두 축이  다시  활동했습니다.    안개모는 민집모로 이어지고.  민평련과 안개모 외의 의견그룹들도 있었지만 이합집산에 의해  오래 지속되진 못한 편입니다.
댓글 0개 ▲
2017-08-16 20:07:30추천 0
민평련이  범친노로  규정된 이유가 있다면  친노 성향 의원들과 정치적  지향점이 꽤나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07년 노통 탈당 요구를  정동영계 일부 의원들이 물고 늘어진데 반해 김근태계는  이부분에 대해 침묵했었습니다.

07년 신당 창당시 친노를 받아들여야 하느냐란 부분에 있어서도   민평련은 당연하다는 입장이고.  안개모는   잔류민주당과의 통합을 위해  선별적으로 받아야 한다는 의원들이 꽤 있었습니다.
댓글 0개 ▲
2017-08-16 20:11:15추천 1
김근태계와 민평련은 정확하게 일치되지 않습니다.    대부분이 겹친다고는 할 수 있겠죠.

FM으로 답하자면 김근태계는 계파고.  민평련은  의견 그룹. 정파라 할수 있겠지만.    구성원이 상당수 겹치기 때문에 주류 성향이 비슷합니다.

정동영계와   민집모가  대부분 겹치는 것처럼.

민평련이 욕먹는게 있다면 이 구성원들이 본인들은 공공연하게  계파로서의  집단 행위를  의견그룹이란 명분을 통해 하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러면서 계파행위 하지 말라고 다른 당내 구성원들을 비판하니  좀 문제있긴 하죠.

친노성향 의원들은  06년 이후 의견 그룹 (의정연구센터.참정연.국참연) 조차도   해체 상태로 눈치를 본것과의 차이랄까요.
댓글 1개 ▲
2017-08-17 10:34:45추천 0
느릅▶느릅님 반가워요! 트위터랑 닉네임 같으시구나.. 저도 17~18대 국회 때는 사는 게 바쁘고 정알못 시절이라 무슨 사건이 일어났다는 것만 띄엄띄엄 알아서 자세히 모르고 파려니 엄두가 안 나서 19대 이후 중심으로 보고 있어요. 그리고 골수 민평련 중에 내부 총질 전문이 몇 명 있죠. 계파 싸움에 단체로 날뛰지는 않지만 어디에나 문제 인물은 있으니..

친노들 모이는 때야 노제랑 송년회 정도인데, 하도 패권 소리를 해대니 송년회도 취소하고, 대통령이 내년부터는 노제도 안 가신다잖아요. 속상하죠. 남들은 정파든 게파든 잘도 만들어 대놓고 활동하는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