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베스는 죽이는게 맞아요
게시물ID : rivfishing_1374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스윗민트
추천 : 4/6
조회수 : 3087회
댓글수 : 25개
등록시간 : 2014/07/16 15:39:23

 아래 베스를 죽여달라는 글의 댓글을 보니 

[ 베스가  자연스럽게 그 강 그 저수지에 알맞게 개체수 조절이 된다] 라고 주장하시는 분이 있네요.

어디서 이 댓글이 주장하는 논문 자료가 나왔는지 모르겠는데, 이건 다시 한번 알아보세요. 크게 잘못된 정보입니다. 
그리고 이게 진실인 것 처럼 주장하면, 우리나라 강고기는 조만간 다 죽어요. 이 사람아.

단순히 물고기만이 아니라 짐승, 곤충 모든 종의 개체수는 그렇게 쉽게 자동조절이 되지 않습니다. 

가우즈법칙이라는 거 다들 아실겁니다. 이게 뭐냐고요? 먹이사슬 피라미드[energy pyramid] 를 설명한 이론을 말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초등 교육과정에서 배우고 있는 부분이라 다들 아실겁니다.
그런데, 초등 교육과정에서는 [최상위 포식자가 적어지면 그 하단위의 포식자의 개체수가 늘어나 생태계가 파괴된다, 또는 그 반대.] 
이정도로 교육이 되고 있습니다. 뭐 사실 이정도만 알아도 충분합니다.

그런데 이 에너지 피라미드는 사실 우리가 배운 자동개체수 조절이 아닌 경쟁배제설에 입각해서 만들어진 이론입니다.
으앙, 복잡하게 설명하지마. 어려워.. 라고 하신다면.

우리가 배운 것 : 초식동물이 늘어나면 육식동물도 늘어나서 초식동물이 줄고, 초식 동물이 줄면, 육식 동물도 줄어든다.
실제 가우즈법칙: 초식동물이 늘어나면 기존 잡식성종이 육식성으로 업그레이드 되고, 이 잡식성동물이 기존 육식성 동물과 최상위 레벨을 놓고 전쟁.

이때 기존 잡식성 종이 식성을 탈바꿈 하는 것을 ... 아 뭐 더이상의 불필요한 지식글은  이하생략함.

 
최상위의 포식자가 변경되면, 이하 하위 포식자의 종도 변화됩니다.  
종이 변경된다는 것은, 자세히 말하면 [멸종, 변종, 대체] 된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이 과정을 수십년, 수백년동안 반복하는 이 기간을 통틀어  얼추 피라미드 같은 형태로 보이는 겁니다. 
단순히 한 몇년 있으면 개체수가 자동 조절되겠지.. 라는 말은 어불성설입니다.
또 하나 중요한것은 이 피라미드처럼 안정된 생태계의 조건 중 하나는 외부의 침입이 없을수록 높다는 것도 의미가 큽니다.
기존 수백년동안 형성된 피라미드 하나 깨지는데는 많은 것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단 한종만 들어와도 됩니다. 

현재 베스는 안정된 우리나라 강의 생태 피라미드를 파괴하고 있는 어종이 맞습니다. 

아마도 [ 베스가  자연스럽게 그 강 그 저수지에 알맞게 개체수 조절이 된다] 라고 주장을 하는 인터넷 글들은 
위의 가우즈 이론의 초딩버전을 바탕으로 생각했기에 가능한 일일겁니다 

주장: 베스 들어옴(육식동물 늘어남) -> 토종 물고기 개체 폭망(초식동물 줄어듬) -> 베스 줄어듬 (초식 줄었으니 육식동물 줄어듬) 

자, 이젠 우리는 초등버전 보다 높은 가우즈 이론의.. 그 아주 간단한  심화반으로 가보죠. 
여러가지 갈래가 있는데 위와 같이 베스가 줄어드는 한갈래의 경우로 가봅시다.

1 베스 들어옴(신상위종 출현. 외래종으로 천적이 없는 상태) 
2 토종물고기 폭망 ( 멸종, 일부 변종으로 심화, 이미 소형 갑각류, 패, 어류 망망망.)
3 기존 육식성 토종과 베스와 줄어든 먹이를 놓고 생존경쟁 시작 (ㅜㅜ 잉어 이 순둥한 놈...)
4 베스 먹이사슬 최상위 올라감(그러나 개체수를 조절할 천적이 발견되지 않음)
5 뜬금없어 보이지만 이 단계까지 오면 물고기를 먹는 조류 일부가 식성을 잡식으로 업그레이드. ->여기 피라미드도 이제부터 파장
6 베스 또한 여기까지 오면 식성을 물고기에서, 개구리, 새 등으로 식성을 업그레이드. 
7 먹이부족으로 아사,동족포식이 시작.( 이 정도까지 되면 소형 토종어류는 거의 남아있질 않음)
8 파이널 데스티니 상황발생 베스의 서식지 이동 ( 끄리 이주설)
9 레지던트 이블 상황 발생, 베스의 토종외래어화 가 시작 ( 토종 외래어가 된다는 의미는 이미 기존의 먹이사슬이 완전 파괴됐다는 것도 의미합니다. 단순히 우리나라 강에 맞게 물고기가 진화했다는 게 아님요. 끄리 사건이 이 대표적입니다.)

자, 정말로 베스가 줄었습니다. 강에 맞춰서 줄긴 주네요. ㅋㅋㅋ 
아 근데 정말 이게 과연 베스가 줄어든다고 안심해야 하는 그런 상황일까요?
전 모르겠는데요?


티비같은데서 베스가 줄었다! 라고 보도한다면, 어떤 생태학자도 베스의 자연도태설을 말하는 분은 없어요.
7번 8번 까지, 갈때까지 갔다는 뜻입니다. 
물론 이 사실을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의 기반에 맞춰서 받아들이는 것 또한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만...


그래도 [ 베스가  자연스럽게 그 강 그 저수지에 알맞게 개체수 조절이 된다] 이 말 앞에는
[토종 어류 다 도태되고 남은 거 없어서 동족 포식을 하면 그때 ] 라는 말이 숨겨있고


그래도 [ 베스가  자연스럽게 그 강 그 저수지에 알맞게 개체수 조절이 된다] 이 말 뒤에는
[먹이를 찾아 다른 강의 생태계를 파괴하러 이동했기 때문에 ] 라는 말도 있다는 것을  알아주세요.

 [ 베스가  자연스럽게 그 강 그 저수지에 알맞게 개체수 조절이 된다이게 정말 조사를 통해 견과가 나온 사실이라면  
[베스 낚시꾼들이 열심히 낚아 줘서 다행히 줄어들고 있다 ] 전 이걸로 생각하고 싶네요 ㅎㅎ


많이 많이 낚아주세요. 베스. 싱싱할 때 그...고..고양이 밥으로 주세요...멋쟁이들... 수줍수줍. 
한사람이 한두마리 뭐가 효과 있겠냐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베스는 알을... 이하생략,  한마리가 크게 도움 됩니다. >ㅅ<b 

베스 잡이 도..동호회 원츄! 사랑합니다!  

뭐 올해에는 이전처럼 납자루나 각사붕어 치어 좀 봤으면 좋겠네요. 
베스서식한다는 곳의 물가에 가면 정말 동사리치어 한마리 보기도 힘들어요 진짜..
뭐.. 납자루나 각사가 너무 큰 욕심이라면.. ㅜㅜ 아니 돌마자도 아니고 가시고기도 아닌데 납자루나 각사 붕어 치어 못본다는게 말이 됩니까!



 

ps 그.. 이전에 어떤 분이 여기 글을 올리셨었는데.. 무슨 물고기냐고 묻는 질문이였는데.. 눈이 위로 향해 있고 물가에 있다고 한..
그게 아마 동사리 치어일 가능성이 큰데.. 사진도 없고 무엇보다 제가 로그인이 귀찮아서... 동사리 육식에 가까운 잡식이에요.. 어항 키울때 좀 드넓어야 할겁니다..  애들 궈엽게 사나워서요.. 크흠...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