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경찰 신변보호 중 피살…위치추적기 제 기능 못해
게시물ID : sisa_978141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악멸
추천 : 7
조회수 : 943회
댓글수 : 4개
등록시간 : 2017/08/25 11:16:39
첫 신고 7분 후 범행 발생, 경찰은 11분 만에 도착
경찰 "차량 정체·위치추적기 한계" 토로 

(부산=연합뉴스) 차근호 기자 = 헤어진 동거남으로부터 위협을 느낀 50대 여성이 경찰의 신변보호를 받았지만 나흘 만에 동거남에게 살해됐다.

이 여성은 경찰이 준 위치추적기(스마트워치)로 긴급신고했지만 위치추적기 표시 반경이 넓어 경찰이 엉뚱한 곳으로 출동하기도 했다.

24일 부산 강서경찰서에 따르면 지난 21일 오후 6시 35분께 부산 강서구의 한 민속주점 앞 거리에서 업주 A(57·여) 씨가 흉기에 찔려 숨졌다.

범인은 A씨와 11년간 동거하다가 올해 7월 중순 헤어진 배모(58) 씨다.

배씨는 사건 발생 7∼8분 전쯤 민속주점을 찾아왔다.

배씨는 A씨에게 집착하며 돈을 내놓으라고 강요하다가 A씨가 주점 밖으로 달아나자 뒤쫓아가 길거리에서 목과 배를 수차례 찔렀다.

A씨는 나흘 전부터 경찰의 신변보호를 받고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헤어진 뒤에도 배씨가 아파트를 3차례 찾아와 욕설하고, 일주일 전에도 아파트 현관문 비번을 누르며 침입을 시도해 경찰에 도움을 요청한 것이다.

A씨는 배씨와 헤어질 때도 접근금지 신청을 할 정도로 두려움을 느꼈다고 유가족들은 말했다.

A씨는 신변보호 대상자에게 지급된 스마트워치를 항상 차고 다녔다.

버튼만 누르면 112로 긴급신고가 접수되고 위치추적도 가능한 장비다.

A씨는 배씨가 주점으로 찾아오자 긴급신고 버튼을 눌렀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때가 오후 6시 28분 21초다.

하지만 범행이 발생하기까지 7분 동안 경찰은 오지 않았다.

이후 3∼4분이 더 흐른 뒤 신고 11분(오후 6시 39분) 만에 경찰이 현장에 왔다.

경찰은 A씨 주점으로 가지 않고 A씨 아파트로 신고 9분 만에 출동했다가 다시 450m가량 떨어진 범행 현장으로 왔다.

위치추적기가 있었지만 A씨처럼 건물 내부에서 버튼을 누를 경우 피해자의 위치가 정확히 표시되지 않고 반경(기지국 표시)으로 넓게 표시되는 경우가 있다고 경찰은 말했다.

표시된 위치 반경 내에 A씨의 집과 주점이 모두 있었지만 112상황실은 집 주소만 알고 있었던 터라 집으로 순찰차를 먼저 보냈다.

하지만 범행 2시간 전 신변보호대상자 주변 지역 순찰 업무를 하는 지구대 경찰관은 A씨가 주점에 있는 것을 확인하고 간 사실이 드러나 부서별 공조에 허점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경찰은 늑장 출동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당시 퇴근길 차량 정체 때문에 경찰차가 중앙선을 넘고 신호위반을 하며 달려갔지만 범행 현장으로 가는 길목에 있는 A씨의 집까지도 시간 내 당도할 수는 없었다고 말했다.

유가족들은 "신변보호를 요청할 때는 그만큼 절박하다는 것인데 너무 안일한 것 아니냐"면서 "경찰이 대처만 잘했어도 죽지 않아도 될 목숨이었다"고 분통을 터트렸다.

전국에는 신변보호대상자가 600명가량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이 소지하고 있는 위치추적기는 A 씨의 것과 같은 종류다.

위치표시기능이 향상된 신형기기는 오는 9월부터 교체가 시작될 예정이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8/24/0200000000AKR20170824149600051.HTML?input=1179m


신변보호를 받을 정도면 누구나 위험한 상황임을 알텐데. 예정된 참사라고 해야할까요. 안타깝네요.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2017-08-25 11:19:54추천 1
무능의 끝
댓글 0개 ▲
2017-08-25 11:38:33추천 3
오토바이를 늘려라.
긴급출동에 왠 자동차.
막힐줄 뻔히알면서.....
댓글 0개 ▲
2017-08-25 13:32:57추천 1
헤어진 남자한테 집착과 협박등으로 죽임당하는 여성 기사를 하루멀다하고 보네.. 진짜 심각하다
별일 아닌 취급하며 집으로 보내질않나 경찰들 무능도 끝을 보여주는거 같고
댓글 0개 ▲
2017-08-25 15:40:06추천 0
위 글에서 경찰은 “경찰차가 중앙선을 넘고 신호위반을 하며 달려갔지만 ... 시간 내 당도할 수는 없었다”고 말했습니다.

요즘 한국인들은 경찰서/경찰지구대/소방서 등을 혐오시설로 인식해서 자기 동네에 그런 혐오시설이 들어오는 것을 결사적으로 반대합니다. 먼 곳에서 출동하다보니 시간이 더 걸릴 수밖에 없습니다.

게다가 요즘은 여경의 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데, 그 결과 현장에 출동하는 남자 경찰관의 비율은 점차 낮아지고 있습니다. 사건은 점점 더 많아지는데, 남자 경찰관의 수는 한정되어 있으니까, 출동에 시간이 더 걸릴 수밖에 없습니다.

생각해 보세요. 만일 경찰지구대가 더 가까운 곳에 있었고, 남자 경찰관의 수가 넉넉했다면, 저 여자를 살릴 수도 있지 않았을까요?
댓글 0개 ▲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