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질문)본삭금)mmf에 대해서 궁금해용:)
게시물ID : economy_13775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웃어요그대:)
추천 : 0
조회수 : 819회
댓글수 : 4개
등록시간 : 2015/07/22 09:37:31
옵션
  • 창작글
  • 본인삭제금지


네이버에 cma에 대해 검색하니 아래처럼 장점만 나오는데요~ 
cma가 은행계좌처럼 수시 입출금이 가능하고 심지어 이자마저 높다면 
왜 많은 사람들이 cma를 안만들고 은행계좌만 쓰나요?

네이버 정보대로라면 저는 오늘 당장 cma를 만들어 앞으로 cma만 쓰게 될 것 같은데 
다른 단점같은게 있나요?? 



편의성과 높은 금리로 무장한 CMA

김 대리는 얼마 전에 은행 급여통장을 증권사의 종합자산관리계좌 CMA(Cash Management Account)로 바꾸었다. 평소CMA 금리가 은행 금리보다 높은 것은 알고 있었지만, 높은 연봉을 받아 통장에 넣을 돈이 있는 사람들에게만 해당되는 상품이라고 생각했다. 또 각종 공과금 지급 문제 때문에 은행을 계속 이용하는 것이 여러 모로 편리했다. 그런데 김 대리는 갑자기 CMA의 어떤 점에 끌리게 된 것일까?

CMA는 자본시장법의 여부와 상관없이 인기가 높은 상품이다. 단기간을 예치해도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고, 자동이체, 인터넷뱅킹 등 은행의 부가서비스를 함께 이용할 수 있는 것이 오랫동안 인기를 얻을 수 있었던 비결이다. 특히 자본시장법의 시행으로 기능 면에서 수시입출금 상품과 거의 비슷해져 상품의 경쟁력이 계속해서 업그레이드되고 있다.

CMA의 큰 장점은 금액과 상관없이 하루만 맡겨도 보통예금보다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다는 점이다. 이자가 연 2.8%로 연 0.1%에 불과한 은행의 보통예금의 이자보다 훨씬 높은 편이어서, 많은 직장인들이 월급통장으로 은행계좌 대신 CMA를 이용하는 추세이다. CMA의 장점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자.

1 입출금이 자유롭다.
2 단기금융상품에 투자하여 운용되는 만큼 하루를 맡겨도 이자가 지급된다.
3 공과금자동납부, 급여이체, 인터넷뱅킹 등 은행업무가 가능하다.
4 회사에 따라서 가입시에 공모주 청약이 가능하다.
5 월급을 비롯한 일시적 여유자금, 비상금, 투자용 대기자금, 모임회비 등을 넣어두는 통장으로 두루 활용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신용카드 기능을 겸비한 상품도 출시되어 활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는 추세다.

[네이버 지식백과] 단기간 자금을 운용하는데 좋은 CMA와 MMF (펀드투자 제대로 하자, 2009. 8., 전국투자자교육협의회)

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0646&cid=42106&categoryId=42106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