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이 스펙으로 미국 재료공학 상위권 박사 가능할까요?ㅠㅠㅠ
게시물ID : outstudy_138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Cu2ZnSnSe4
추천 : 0
조회수 : 995회
댓글수 : 4개
등록시간 : 2017/03/18 22:31:55
옵션
  • 베스트금지
재료공학 전공으로 태양전지관련 랩 들어가려고합니다.

서울중상위권대학
학부(물리학): GPA 3.73/4.5 (Upper GPA 4.3/4.5) 하.. 왜 1,2학년때 공부열심히안했을까 ㅠ
석사(물리학): GPA 4.5/4.5

어학성적
 토플 (R:30, L:27, S:23, W:22) <-5월달부터 토플 다시공부해서 점수 높여두려고요.. W는 오프토픽해버려서 점수 낮은데 너무 안타까워서..
 GRE (V:153, Q:164, W:4.0) 

연구경력
 국내 공기업 연구직 10개월 (태양전지쪽이 아니고 센서쪽이라서 유학결심하고 바로 그만뒀습니다)
 대기업 인턴 4개월 (학부산학협력인턴쉽한건데 정규직전환오퍼 거절하고 대학원갔습니다)
 연구조교 (석사과정 동안)

저널출판
 Current Applied Physics 1저자 2편 (2편 모두 저자 총 2명)
 Physica Status Solidi B 1저자 2편 (1편은 저자 총 2명/다른한편은 저자 총 5명)
 JKPS를 포함한 SCIE급 저널 1저자 2편 (2편 모두 저자 총 2명)

학회경력
 국내학회1회 공동저자 (공기업때라 저자가 많음)
 해외학회1회

수상경력
 석사기간 전체 전액 성적장학금 (이것도 인정되나요?)
 학부동안 3학기 연속 성적장학금 (이것도 인정되나요?)

기타 경력
 군생활 (좀부풀려야할까요??)

대충 제 스펙은 이정도입니다.

SOP는 일단 잘쓸자신은있습니다. 회사다니면서 연구주제에 대한 트랜드를 미리 꾸준히 공부해왔고 어느부분연구가 필요한지 내가 하고싶은건 뭔지 왜 그 대학을 지원해야하는지 등을 미리 어느정도 틀을 짜놔서요..
추천서는 지도교수님, 논문디펜스 봐주신 2분 포함 총 3분이 써주실거같아요
아마 다른교수님들 수업에서도 좋은인상 많이 드렸고, 지도교수님이 넌좀꼭미국가라고 하신거라 저희교수님도 다른교수님도 잘써주실거같긴합니다.

좀 마음에걸리는게 좀 낮은 GRE점수랑 1,2학년성적때문에 망쳐놓은 GPA인데.. 그리고 저널도 하필 Current Applied Physics라.. 
다른 IF 높은 태양전지저널에 싣고싶어도 스코프가 안맞다고하고 해서 Thin Solid Film이랑 고민하다 더 IF높은 CAP로 골랐는데
국내에서 발간하는 국제저널이라 미국에서는 평가를 잘 안해줄수도 있다는 말이 있더라고요.. 그래서 좀 불안합니다..

혹시몰라 지금은 GRE 다음달에 한번 더 봐두려고하고있고,
가을학기 지원하기전에 교수님 랩에서 연구도 더 해서 논문도 더써두려고합니다.. 제가 프로포절 내서 연구비 딴 과제 실험들 마무리짓는김에요..


그런데 지금 스펙으로는 재료공학으로 미국상위권대학 박사과정에 지원하는데 가능성이있긴할까요?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2017-03-19 09:01:16추천 1
학부 성적은 전혀 관계 없습니다.  그냥 요식행위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왜냐하면 나라마다, 학교마다 성적을 주는 분위기가 다 다르거든요.  예를 들어 유럽 어느나라에서는 성적을 짜게 주고, 아시아 어느 나라에서는 성적을 무척 관대하게 준다면, 성적 비교가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  미국 대학 졸업이라면 분위기를 어느정도 아니까 영향이 좀 있는데, 외국 대학 학위는 성적을 전혀 안 본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토플이나 GRE 는 그 학교 학과가 기대하는 기본 점수만 충족하면 됩니다.  높을 수록 합격확률이 높아지는 것은 아닙니다.   가시고자 하는 학교 학과에 문의하셔도 돼요.  GRE 가 조금 낮다고 하셨는데, 학교에 물어보세요.  어느 정도 기대하는지.

추천서도 기본 요건으로 교수님이 성실하게만 써주시면 됩니다.  미국 교수들 입장에서는 외국 대학 분위기를 모르기 때문에, 추천서도 외국인 입학 시킬때 크게 고려 안합니다.   만약 지도교수님이 그 학교 교수와 친분이 있다든가 하면 많이 도움이 되지만, 그런 경우는 아니죠?

박사 입학생에게 가장 중요하게 보는 것은 연구실력입니다.  작성자님 전공에 대해서 제가 잘 모르지만, 이공계 상위권 대학에서는 거의 연구 능력이 입학 여부를 90% 좌우합니다.  그러니까 연구 업적 (페이퍼)가 다른 지원자보다 뛰어난 사람을 뽑는 것이죠.  학회 참여도 연구 업적으로 보기는 하지만 중요성이 페이퍼보다는 많이 떨어지죠.  페이퍼는 미국 학회에서 인정 받는 수준이어야 그 학교에서도 인정하겠죠?  한국에서만 인정되는 저널이면 별로 인정 안할겁니다.  한국에서만 인정되는 저널보다는 미국에서 인정되는 학회 참가가 더 인정받을 것 같습니다.

제 전공이 아니라서 작성자님 연구 업적이 어느 수준인지 전 가늠할 수가 없군요.  연구 업적의 수준에  대해서는  전공분야 교수님들과 선배님들이 가장 잘 아실겁니다.  학교 사정과 그 전공분야 사정은 항상 변하는 것이라 교수님과 선배님들 말씀이 100% 맞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래도 여러 조언을 듣다보면 경향, 추세 정도에 어느정도 감이 오실 겁니다.

아, 그리고 궁금한 것이 있으면 가고 싶은 학과에 연락을 해보세요.  성실하게 잘 대답해주는 학교도 있습니다.  특히 관심분야의 교수에게 연락하면 그 교수가 친절하게 설명해주는 경우도 많이 있어요.  그 교수의 입장에서는 자기 밑에 학생이 들어오는 기회일 수도 있으니까요.  그리고 그 지원자 학생이 맘에 들면 그 교수가 입학 과정에서 푸시해줄 수도 있어요.  (한국 문화에서는 좀 이해하기 힘드려나?  그런데 실제로 그래요)

SOP 잘 쓰실수 있다고 하셨는데, 좋습니다.  그거 중요해요. 연구 업적과 더불어서 앞으로 연구 가능성을 보는 거니까요.

그리고 윗문단 쓰다보니 생각났는데, 연구하고 싶은 분야가 전문가인 교수님을 그 학교에서 찾으세요.  그 교수가 멘토가 될 것이라고 가정하고, 그 교수를 컨택해보세요.  이런 분야에 관심있고 지원하려고 한다.  뭐 이런 식으로요.  구체적으로 그 학교, 학과, 프로그래, 연구 분야에 대해서 질문해보세요. 너무 복잡한 것은 말고 (귀챦게 하지 말고), 너무 단순한 것 말고, 붙임성 있게요.  제가 이공계는 잘 모르는데, 대부분의 분야에서는 교수들이 잠재적 학생에게 반응 해주는 경우 많습니다.  답장이 없어도 걱정은 마시고요. 그냥 바빠서 그런 거니까.  만약 답장해주면 일단 인맥을 쌓는 것이고 정보통이 생기는 것이라 좋습니다.  그런게 친해진(?) 교수가 실제 입학과정에서 푸시를 해 줄 수는 있다고 했는데 너무 기대는 마세요.  만약 학생이 자격이 된다면 푸시를 해주는 것이지, 자격이 안 되는 학생을 푸시해주지는 않으니까요.  (이거 정말 고급정보예요 (생색) 한국 사람들 이런 거 잘 몰라요.)

행운을 빕니다.   전 20여년전에 조언해주는 사람 하나 없이 맨땅에 헤딩하느라 많이 고생했던 생각이 나네요.  나도 그때 누가 도와주었더라면 좋았을텐데 ㅎㅎ  (아, 너무 생색내고 싶다)
댓글 3개 ▲
2017-03-19 09:28:11추천 0
성심성의껏적어주신 답변감사합니다. 정성이느껴지네요ㅠㅠ
논문도 이제부터는좀 미국저널로 포커스해야겠어요.. 생각없이 임팩트팩터높다고 CAP저널고른건데 이제와서후회해도 늦은거니까요ㅠㅡ
일단 지원할 연구실이랑 랩도 9군대로 추려둔상태입니다. 슬슬 해당랩 담당교수들한테 컨택해봐야겠네요.
2017-03-19 09:28:53추천 0
*지원할대학이랑 랩

오타네요
2017-03-19 09:47:56추천 0
인턴, 직업 경력 같은 것은 해당 연구분야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면 고려를 하겠지만, 큰 관련이 없으면 신경 안 쓰겠죠?
군대 경험은 미국군대가 아니면 아무 크레딧이 없습니다.

경험, 성적, 다 필요없고, 오로지 연구 실력이 중요하다고 보면 됩니다.
잘 되시길 바랍니다.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