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중 옳은 것은?
1. 개와 늑대는 완전히 같은 종(種)이다.
2. 늑대는 개의 조상이고, 현재 둘은 다른 종이다.
3. 늑대와 개는 공통조상에서 갈라져 나온 것일 뿐, 어느 하나가 다른 것의 조상은 아니다. 그리고 현재 둘은 다른 종이다.
.
.
.
.
.
.
.
정답은 1번입니다.
애견 커뮤니티에서 이 문제가 출제됐는데, 정답률이 20%에 불과했다네요. (대부분 2번을 골랐다고 합니다)
애견인이라면, 특히 개의 공격성을 저평가하시는 분들은 꼭 알아두셨으면 합니다.
개와 늑대는 분류학적으로 완벽하게 같은 종(種)입니다. 따라서 학명도 같습니다
즉, 개와 늑대의 학명은 모두 Canis lupus(우리 말로는 '말승냥이', 또는 '회색늑대'라고 부름)입니다.
요컨대 개는 원래 맹수입니다.
더 쉽게 설명하면, 개와 늑대의 관계는 벵골 호랑이와 시베리아 호랑이의 관계와 같습니다.
벵골 호랑이와 시베리아 호랑이는 외형적으로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명백히 같은 종(학명: Panthera tigris, 우리 말로는 '호랑이')이고,
서로 교배도 가능하며, 둘 사이에 낳은 자식은 다시 자식을 낳을 수 있죠. 아래는 관련 기사입니다
--------
[마리 톡톡]늑대와 개는 얼마나 가까운 사이일까요?
완전히 같은 종으로 시베리아 호랑이와 벵골호랑이 정도 차이뿐
[아시아경제 이현우 기자]"개의 조상이 늑대이기 때문에, 개는 늑대의 습성을 많이 가지고 있다"는 얘기를 한번 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이런 얘기를 들으면 개와 늑대를 '친척'인 별개의 종으로 생각하기 쉽다.
사실 개와 늑대의 진화적 관계에 대해선 이견이 있다. 늑대가 개의 조상인지, 아니면 늑대와 개가 공통조상에서 분화됐는지는 이견이 있다. 하지만 늑대와 개가 완전히 같은 종(species)이라는 것에는 이견이 없다.
같은 종인지 아닌지 여부는 보통 양자 사이에 2세가 태어날 수 있는지, 태어난 2세가 생식능력이 있는지가 가장 중요하다. 같은 고양이과 동물이라도 서로 다른 종인 사자와 호랑이의 교배종인 라이거나 타이곤은 생식능력이 없다. 서로 다른 종인 말과 당나귀 간의 교배종인 노새 역시 생식능력이 없다.
그러나 개와 늑대 간 교배종인 늑대개(wolf dog)는 생식능력이 있으며 늑대개와 개의 교배, 늑대개와 늑대의 교배, 늑대개와 늑대개끼리의 교배도 가능하다.
늑대새끼 모습
사실 늑대와 개의 관계는 다른 동물로 비교하면 시베리아 호랑이와 벵골 호랑이의 관계 같은 것이다. 학문적으로는 이러한 관계를 아종(亞種 ·subspecies)이라고 한다. 한때는 백인종, 흑인종, 황인종 역시 아종 관계에 있다고 보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