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Crop와 FF 바디의 화각 비교 (D300, D700)
게시물ID : deca_755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無念無想]
추천 : 14
조회수 : 1376회
댓글수 : 2개
등록시간 : 2011/01/28 23:22:52
크롭 바디와 FF 바디의 화각을 비교하고, 그 차이에 대해서 대충 한 번 알아보고자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딱히 왜 올려본다기 보다는 그냥 올려보고 싶어서..... _(__)_ 보여주고 싶은 것은 두 가지가 있는데, 첫번째는 크롭바디와 FF 바디의 화각 비교이며 두번째는 조리개의 변화에 따른 배경 흐림의 차이입니다. 아래 사진에서 왼쪽이 1.5배 크롭인 D300이고, 오른쪽이 FF 바디인 D700입니다. 모델은 샤아 전용 자쿠II 2.0께서 수고해 주셨네요. D300과 D700은 모두 쩜사에 셔속 1/60초에 SB-600 TTL 모드를 사용하였으며, 사진기에서 피사체까지의 거리는 양 바디가 똑같습니다. 첫 번째는 두 바디의 화각 비교입니다. 사진들을 봐도 알겠지만 동일한 초점거리에서 사진의 범위가 확연히 다르다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FF바디인 D700에 비해 크롭 바디인 D300은 배경이 좁게 나오고 피사체가 더 크게 보이는데, 즉 더 확대되어 보인다는 것입니다. 사실, 크롭바디나 FF바디나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빛은 같은 범위로 들어오게 되어 있습니다. 바깥의 원은 렌즈를 통해 빛이 들어오는 범위입니다. 사진의 바깥쪽인 푸른 범위는 FF 센서에 찍히는 사진의 크기이며, 가운데 붉은 범위는 크롭센서에 찍히는 사진의 크기입니다. 디지털 카메라에서 동일한 초점거리에서 찍었을 때, 그 사진이 같은 크기의 화소를 가지고 있다면 크롭 바디에서 찍은 피사체가 더 크게 보이는데, 이것이 바로 크롭바디의 망원 효과라고 부릅니다. 다시 한 번 읽어봅시다. "망원효과" 두번째는, 조리개의 차이에 의한 배경 흐림입니다. 위에서부터 조리개를 f1.4부터 f16까지 찍은 것인데 배경을 보면 조리개의 수치가 커질수록(조리개를 조일수록) 배경이 선명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조리개를 조이게 되면 심도가 깊어지면서 피사체의 뒤쪽까지 선명하게 보이게 되는 것이죠. 이것이 조리개의 수치에 따른 심도의 변화입니다. 일반적으로 전체적으로 선명하게 보이고 싶으면 조리개의 수치를 높여 더 조여주고, 배경을 흐리게 하고 싶으면 조리개의 수치를 낮추어 조리개를 열어주면 됩니다. 이번에는 피사체를 비슷한 크기로 맞추게 되면 아래와 같은 사진이 나오게 되는데요, 왼쪽은 위에 있는 D300의 사진을 그대로 다시 쓴 것이고, 오른쪽은 D700에서 초점거리를 75mm로 조정하여 찍은 사진입니다. 대략 두 사진에 보이는 피사체의 크기가 비슷한 것을 볼 수 있는데, 1.5배 크롭인 D300에서는 50mm로 찍은 사진의 범위로 찍기 위해서는 D700에서는 75mm의 초점거리로 찍어야 비슷한 크기가 나오게 된다는 것입니다. 여기서 보면 간단하게, 50mm × 1.5배 = 75mm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1.5배 크롭 바디는 렌즈에 표시된 원래의 초점거리에 1.5를 곱하면 35mm FF 바디 기준의 사진이 나오게 되며, 이것을 환산화각이라고 합니다. 뭐라고요? "환산화각" 니콘이나 다른 대부분의 메이커의 크롭 바디는 1.5배 크롭 센서를 사용하고, 캐논은 조금 독특하게 1.3배 크롭과 1.6배 크롭을 사용합니다. 1.3배 / 1.6배 크롭 바디도 똑같이 초점거리에 1.3 또는 1.6을 곱하면 환산화각이 나오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크롭바디로 사진을 찍고 초점거리를 보게되면, "50mm (35mm 기준 75mm)"라고 나오는데, 이게 아까 말한 환산화각입니다. 이제 여기서 두 사진을 유심히 살펴보죠. 차이점을 알 수 있나요? 모르겠다면 배경의 흐림 정도를 유심히 살펴봅시다. 뒤쪽 책들의 제목 글씨를 보면, 오른쪽 사진이 더 흐려져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같은 조리개 수치에서 망원일 수록 배경 흐림이 더 많이 나타나게 됩니다. 사진 속의 피사체의 같은 크기로 찍는다면 FF바디가 심도가 더 얕게 표현되는 것입니다. 이런 이유로 FF바디가 심도가 더 얕으며, 이로 인해 심도 표현에 유리하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원래 같은 초점거리로 찍는다면 FF나 크롭이나 같은 심도를 가지게 됩니다. 그러나, 크롭은 주변부가 잘려나가기 때문에 실제로 보이는 심도는 더 깊게 보이게 되는데 이런 것도 FF가 심도가 더 얕다 또는 심도 표현에 더 유리하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FF와 크롭 바디의 화각과 심도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끗.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