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가치 서열화된 사회
게시물ID : phil_1401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luvsic
추천 : 10
조회수 : 531회
댓글수 : 6개
등록시간 : 2016/05/17 11:24:14

지금까지 살다 보니 우리는 참,

삶에서 좋다고 여겨지는 것들이 많이도 겹친다는 걸 알게 되었다.

그래서 어느 순간

"어떤 사람으로 살고 싶어요?

"어떤 사람과 결혼하고 싶나요?"

하는 질문을 받았을 때,

너와 나, 우리가 그다지 많이 다른 답을 내지 못할 것이라는 것도 알게 되었다.


돈, 권력, 외모, 지적 능력, 누구나 좋다고 할 만한 이 가치들,

이는 우리나라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한데, 왜 유독 나는 한국 사회가 가진 많은 문제들,

청년 문제, 부동산 문제, 정당 문제, 한탕주의, 빈부 격차, 과거사 문제, 경쟁사회, 획일화 등등이

어쩌면 우리의 다양하지 못한, 몇 가지 내의 가치만을 좇은 삶과 무관하지 않다는

생각이 자꾸 드는 것일까.


그리고 이러한 생각은 자꾸 한국을 떠나고 싶다는,

이러한 환경을 대물림하고 싶지 않다는

생각으로 이어진다.


나와 같은 생각을 하고 계시는 분들도 있을 터이고,

세상을 바꿔 보자며 이미 활동하고 계시는 분들도 있을 터이나,

그게 가능할까?

우리는, 과연, 사회를 바꿔 보자는 어떠한 움직임의 성공을 경험해 보았는가?

과거 경제 성장 및 민주화 운동의 성공 이후 태어난 세대들에게.


더 문제는 우리가 몇 가지 안 되는 그 가치들을,

그나마도 서열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아마 '돈'이 정점에 있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그렇다고 돈이라는 게 나쁘다고 생각지는 않는다.

다만, 너와 내가 생각하는 제1가치가 '돈'이 되는 사회가 무서운 것이다.

이어 제1가치가 '돈'이 아닌 사람이 있을지언정,

'다른'이 아닌 '이상'한 사람으로, 현실적이지 못한,

어쩌면 이 세상을 살아가는 데 미숙한 사람으로 비추어지는 게 무서운 것이다.


이것은 교실 안에서 시험을 잘본 1등 학생을 불러 칭찬하는 선생님과 같다.

이제 그 교실 안은 시험 잘보는 게 최고인 공간이 된다.

시험 잘보는 건 좋은 대학과 이어질 것이다. 

이는 선순환이 아닌 악순환이다.


다른 것을 잘하는 학생들은 어쩔 것인가?

공부는 못해도 웅변은 잘하는 학생은 어쩔 것인가?

공부는 못해도 종이접기를 잘하는 학생은 어쩔 것인가?

공부는 못해도 운전을 잘하는 학생은 어쩔 것인가?

교실 안에선 공부 아래로 웅변과 종이접기와 운전이 서열화된다. 피라미드처럼.

공부 잘하는 학생보다 웅변과 종이접기와 운전을 잘하는 학생은 행복하지 못하게 된다.


다양성이 존중되지 않는 사회는 무섭다.

너와 나의 연대가 불가능하리라는 생각을 갖게 만드는 사회는 무섭다.

서로를 이상하게 여기고, 부족한 점을 채우는 게 아니라 경쟁해야만 하는 사회는 무섭다.

어차피 소통해 봤자 해결되지 않으리라고 생각하게 만드는 사회는 무섭다.

내가 생각하는 제1의 가치가 다른 사람에게 "그럴 수 있다"는 다양성 존중으로 받아들여지지 못하는 사회는 무섭다.

내가 이상한 사람이거나 상대가 이상한 사람이 되는 사회는 무섭다.

건전한 비판이 아니라 '이상'하다 판단하는 사회가 무섭다.


(미완)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