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세월호에 뚫린 구멍 ‘천공’이 처음 나타났다
게시물ID : humorbest_1402973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좋은연인
추천 : 59
조회수 : 6918회
댓글수 : 10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7/03/25 21:13:55
원본글 작성시간 : 2017/03/23 12:41:35

세월호 희생자 가족 문종택씨 “큰 천공 뚫려… 유실 방지막도 없어”



세월호 선체는 모든 것을 알고 있다. 침몰의 원인부터 정부의 대응책임까지 복잡하게 얽힌 의문의 실마리를 풀어낼 단서는 1073일 만에 수면 위로 꺼낸 선체에 모두 담겨 있다.세월호 희생자 유족과 미수습자 가족이 선체를 훼손하지 않는 인양을 주장했던 이유다. 세월호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 선체 표면에 뚫은 구멍, 천공(穿孔)은 가장 큰 논쟁거리였다. 천공할 경우 선체가 크게 훼손되거나 미수습자들이 유실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였다. 더욱이 일각에서 제기되는 ‘세월호 피격설’이나 화물칸에 실린 의문의 철근 246t처럼 추측만 난무하는여러 의혹들을 밝힐 결정적 증거도 사라질 수 있었다.


천공이 처음으로 수면 위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나타났다. 세월호 희생자 지성양 아버지 문종택씨는 23일 오전 전남 진도 앞바다에서 수면 위로 떠오른 세월호, 그 위로 올라탄 인양작업 인부들의 사진 4장을 페이스북에 올렸다. 그러면서 “이 4장의 사진이 대한민국”이라고 했다.


문씨는 “사진에서 (선체) 앞쪽을 보면 잘려진 초대형 천공이 있다. 유실 방지막을 치지 않은 천공이다. 우리가 반드시 풀어야 할 숙제”라고 주장하면서 울분에 휩싸인 듯 “도와 달라. 미칠 것 같다”고 호소했다.


세월호 피해자 가족들은 인양 작업을 시작할 때부터 선체의 온전한 인양, 미수습자 발견, 증거물 인멸 및 훼손 방지를 위해 인양선 승선, 유실 방지막 설치, 천공 최소화를 해양수산부에 요구했다. 


하지만 인양선 승선은 해수부의 거부로 이뤄지지 않았다. 세월호 피해자 가족들은 시험인양이 시작된 지난 22일 오전 10시부터 동거차도 언덕이나 어선에서 작업을 지켜봤다. 천공의 경우 당초 2~3개 수준으로 전해 들었지만 약 140개로 늘었다고 주장했다. 

출처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1348883&code=61121111&cp=nv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