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SuperBot
게시물ID : humordata_725098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imchrg
추천 : 1
조회수 : 522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1/02/01 23:22:01
-다중 로봇 시스템 로봇 만화영화를 보면 ‘합체(合體)’ ‘변신(變身)’ 같은 용어가 자주 등장한다. 최근 과학자들은 작은 로봇이 서로 결합해 다양한 모양과 기능을 연출하는 ‘다중(多重) 로봇 시스템 개발’에 한창이다.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 변신 로봇들이다. -자유로운 합체·변신 다중 로봇 시스템은 이동이 가능한 2대 이상의 로봇들이 서로 연결된 것을 말한다. 한 로봇으로는 수행할 수 없는 복잡하거나 어려운 작업을 하기 위해 개발됐다. 지난 2000년 미국의 제록스 팔로알토 연구센터의 교포 2세 과학자 마크 임 박사가 개발한 ‘폴리봇(PolyBot)’이 대표적인 예. 폴리봇는 24개의 상자형 로봇(모듈)이 붙었다 떨어졌다 하면서 수백 가지 모습으로 변신한다. 땅에선 탱크 바퀴 같은 모양을 만들어 굴러가다가 계단을 만나면 뱀처럼 길게 늘어져 기어오른다. 각각의 모듈은 자체적으로 모터와 컴퓨터, 센서를 갖고 있어 상황에 맞춰 스스로 붙었다 떼어졌다 하면서 변신했다. 다중 로봇 시스템은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변신할 수 있는 자율성과 유연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언제 어떤 상황이 닥칠지 모르는 재난 현장이나 우주 탐사에 적합하다. 예를 들어 뱀 모양으로 건물 붕괴 현장을 들어갔다가 조난자를 만나면 둥근 모양으로 변신해 건물 잔해로부터 사람을 보호하는 식이다. 지난 2월 미 사우스캘리포니아대 웨이 민 센 박사팀은 ‘우주기술 및 응용에 대한 국제포럼’에서 최첨단의 다중 로봇 시스템을 선보였다. 역시 상자 형태로 된 ‘수퍼봇(SuperBot)’은 컴퓨터와 센서, 전후좌우 이동과 뒤집기가 가능한 운동능력, 다른 로봇과 통신할 수 있는 능력 등을 갖추고 있다. 각각의 수퍼봇은 서로 결합, 뱀·거미·지네·탱크바퀴 모양으로 자유자재로 변신할 수도 있다. 또 줄에 매달려 이동하거나 사람처럼 두 다리로 일어선 모양도 구현할 수 있다. -곤충형 집단지능 보유 다중 로봇에서는 각각의 모듈이 서로 다른 일을 한다. 벌레처럼 구부렸다 폈다 하며 이동할 경우 한 모듈은 위로 올라가고 다른 모듈은 앞으로 미는 일을 해야 한다. 따라서 전체적인 움직임에 맞춰 각 모듈에 역할을 할당하는 분산 제어 능력이 있어야 한다. 모듈 간 통신이 필요한 것도 이 때문이다. 그렇다고 개개의 모듈이 엄청난 컴퓨터 능력을 보유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개별 모듈은 경사로를 인지하는 센서와 다른 로봇을 불러오는 통신 능력만 갖추면 된다. 각 로봇은 자신에 주어진 행동만 하며 이것이 모여 전체적인 움직임으로 나타난다. 이 점에서 곤충의 집단지능과 흡사하다. 개미나 꿀벌은 개개의 지능은 매우 낮지만 각자 맡은 일에 충실함으로써 복잡한 사회를 유지한다. 먹이를 찾은 개미는 한 마리지만 정보가 공유되는 순간 수많은 개미들이 한꺼번에 달려들어 자신보다 수십~수백 배 큰 먹이를 처리해 낸다. 홍수가 났을 때도 각각의 개미들은 옆의 개미만 보고 발을 내밀어 서로의 몸을 연결한다. 이런 방식으로 수백만 마리가 연결되면 마치 큰 덩치의 동물처럼 한 덩어리가 돼 물살을 견뎌낼 수 있다. 같은 원리로 집단지능을 갖춘 로봇을 화성에 뿌려 놓았다고 하자. 각 로봇의 성능은 고성능 탐사 로봇에 크게 뒤질 것이다. 하지만 그들이 수집한 정보를 한데 모으면 그 내용은 고성능 탐사 로봇에 비해 훨씬 정확하고 풍부하게 된다. 스위스에서 개발한 스웜봇(swarmbot)은 바로 곤충의 집단지능을 구현하기 위해 개발된 다중 로봇이다. 스웜봇은 집게로 다른 로봇과 결합한다. 결합 여부는 빛 신호로 결정한다. 한 로봇이 다른 로봇과 결합됐을 때는 발광다이오드(LED)로 적색광을, 혼자일 때는 청색광을 낸다. 로봇은 내장 카메라로 상대가 내는 빛 신호를 보고 결합할 수 있는 상대를 찾아낸다. 그 결과 개미들이 서로 결합돼 홍수를 이겨내는 것처럼 혼자 건너가지 못하는 길을 만났을 때도 동료들을 불러모아 길게 뱀 모양을 만들어 건너갈 수 있다. 세줄요약하면 SuperBot은 다중로봇시스템을 이용한 로봇인데 객체가 하나하나 따로 있을때는 따로따로 각자 움직이다가 합체를 하면 각자가 서로 통신을 해서 그 합체한 로봇 자체가 한 동작을 수행한 그런 로봇?? 객체로 나뉘어져있기때문에 작업을 하다가 한 부분이 파손이 되어도 크게 지장을 받지 않는다는 그런 좋은 시스템을 가진 로봇이라는건데 걍 좋은 시스템임 이게 세줄요약인가!?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