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저도 낮은 자존감을 지닌 사람을 위해 쓰는 글
게시물ID : gomin_1413894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익명Z2Rna
추천 : 10
조회수 : 592회
댓글수 : 64개
등록시간 : 2015/04/22 07:35:58

1.

 결과나 자신의 어떤 것과 자기자신을 분리할 줄 알아야합니다

예를 들면, 수학 35점 맞았다고 내가 35점짜리 인간은 아닌거에요.

2.

낮은 자존감은 사실 어린시절 부모님의 양육방식과 밀접하게 관계되어있습니다. 
따라서 갑자기 단시간내에 자존감이 높아지는건 굉장히 힘든일입니다.

사실 자존감이 무조건 높다고 좋은것은 아닙니다. 연쇄살인범들이 굉장히 자존감이 비정상 수준으로 높죠. 또한 자존감이 많이 높으면, 자신의 연인이나 배우자에게 만족을 잘 못한다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하지만 뭐 이 글을 보시는 분들은 낮아서 고통받는 분들이시니 해당사항이 없겠죠.

3.

 모든걸 위계적(수직적)으로 보는 대신 수평적으로 보면 도움이 됩니다. 누가 잘났고 누가 못났고.. 그냥 다 잘났다~ 하고 받아들여주세요. 그럼 자신도 그렇게 받아들일 수 있게됩니다.

사실 열등감의 뒷편은 우월감이거든요. 많은 열등감을 느끼는 사람들은 반대로 우월감도 느낍니다. 정말 열등감만을 느끼는 사람은 매우 극소수이며 희귀케이스입니다.

 원래 부처 눈엔 모두가 부처로 보인다고..

4.
그리고 세상 사람들이 생각만큼 당신에게 관심이 없다는 것을 받아들이세요. 

당신이 누가 " 걔 성공했대 " 하면 뭐라고 합니까. " 아 그래? 잘됐네?" 이러고 말죠?
또 누가 " 걔 쫄딱 망했대." 하면 " 에고 안됐네." 하고 잊어버립니다. 

사람들은 자기일로 꽉 차있기 때문에 남의 일,  특히나 친하지도 않은 사람들의 일엔 관심도 없고 기억도 잘 못합니다. 당신도 마찬가지죠?

말은 이렇게 해도 항상 남이 날 어떻게 볼까 하는 생각으로 꽉 차게 될겁니다. 하지만 그 순간 상대도 그렇게 느낀다는걸 기억하세요.
상대가 자신의 가치관이나 대화주제엔 별로 관심없고 '얘가 날 어떻게 볼까'만 신경씁니다. 대화하기 피곤하고 부담스럽죠? 
상대가 날 어떻게 볼까, 보단 상대가 어떤걸 좋아하는지, 어떤 얘기를 하는지 받아주세요. 남을 받아주면 나도 받아들이기 쉬워집니다. 

5.

 제일 중요한 말인데.. 사실 자기효능감이란 말을 하고싶습니다.

자기효능감은 어떤 일 앞에서 '나도 할 수 있어'라는 건데요.. 자존감과 조금 다른 개념입니다.
전 오히려 자기효능감이 자존감보다 더 중요하다고 봅니다.

 낮은 자존감으로 고통스러워 하시는 분들께 꼭 드리고 싶은 말씀이 있습니다.

뭔가 하세요.

사실 좋은 글귀보고 이런거 보고 '아 나도 이제 나 자신을 사랑해야지.' 영화의 감동적인 장면 보고 '그래 나도 이제 나를 받아들여야지.' 그거 얼마나 가나요? 솔직히 오래 못가지 않나요?

 뭔가 하세요. 그리고 뭔가 이뤄내세요. 
자기효능감에서 제일 중요한건 뭔가 이룬 경험입니다.

 막 대단한 성공을 하라는게 아니고요.

 목표를 만들고 (시시하고, 내 인생과 상관없어보일지라도) 도전하고 또 거기서 몇개는 실패하고 몇개는 성공할겁니다.
너무 높게 잡지 마시고요.

 예를 들면 토익 850점! 이렇게 잡아놓고 열심히 해서 이뤄보세요. 성취감을 느끼세요. 
전혀 상관없지만 그래도 관심있던 자격증 분야? 책 사서 필기시험 쳐보세요. 떨어지는 그 슬픔도 극복해보고, 합격하면 또 그 성취감을 느껴보세요.

 아니 꼭 이런 것 뿐만 아니더라도

 알바해서 30만원 모아서 ~~하기. 이런거라도요. 사람마다 관심분야니 좋아하는게 다르니 제가 거기까지 조언은 못해드리겠지만
현실적이면서도 뭔가 이룰만한 일, 낮은 목표부터 시작해보세요. 꼭 지금 인생과 지금 하는일과 관련이 있어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 관련이 있으면 더 좋겠지만요...



사실 제가 이렇게 쓴 이유는..
저도 낮은 자존감으로 고통받는 오징어이기 때문입니다..............
허구헌날 공부해도 고통받네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래도 예전보단 나아진거같아요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