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공지영 “JTBC 뉴스를 보며 경악했다!”
게시물ID : sisa_102146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오유청암
추천 : 128
조회수 : 7505회
댓글수 : 19개
등록시간 : 2018/02/09 11:09:51
공지영 “JTBC 뉴스를 보며 경악했다!”
<문단 내 성폭력 징계가 유명무실하다고 7일 보도했던 JTBC 뉴스룸>

[굿모닝충청=서울 정문영 기자]  최영미 시인의 성추행 폭로 파문과 관련, 한국작가회의는 징계위원회까지 꾸렸지만 흐지부지됐다는 JTBC 보도에 대해, 8일 소설가 공지영 씨가 정면 반박하고 나섰다.

공 씨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전날 JTBC 뉴스를 보며 경악했다”며 “아침에 전화가 와서 기자에게 자초지종을 이야기했는데도, 메인 타이틀은 경로는 다 무시한 채 「문단 성폭력 징계 '흐지부지’」라고 나왔다”고 불쾌감을 나타냈다.

그는 특히 “(오보라고) 항의했더니 ‘시간이 모자라서 그런다’고 했다’며 “시간이 모자라 우리가 징계를 안 했다고 보도를 하는 것, 이게 뭐냐”고 따져 물었다.

그러면서 ‘JTBC에 묻는다’는 글로 운을 뗀 뒤, “아침 10시부터 모두 7통의 전화통화에 세 번의 대화를 거쳐 취재를 해놓고, ‘작가회의 징계 0명’이라는 명백한 오보를 냈다”며 정식 해명을 요구했다.

그는 이어 “언론은 징계위원장이었던 제 이름과 함께 (오보를) 계속 퍼 나르고 있는데, 그렇게 악의적으로 쓰면 안 된다”며 “이것도 권력을 가진 거대 언론에 의한 폭력이 아니냐”고 퍼부었다.

공 씨는 "성폭력 가해자 8명을 간추려 징계를 했다"며 "이 가운데 6명은 모임에서 자진탈퇴했고, 2명은 현재 재판이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그리고는 민족문학 작가회의가 구성한 자체 징계위원회에서, 자신이 위원장을 맡으면서 문학계 성폭력 고발문제를 다룬 사실을 다음과 같이 소개했다.

“저희는 피해자들이 SNS 상에서 지목한 8명의 성폭력 피의자들을 추려, 피해자 진술과 피의자 해명을 시한을 두고 제출 받아 심의 처리했습니다. 

아시다시피 민족문학 작가회의는 정부에 보조금을 받는 기관도 아니고, 작가들의 권익을 위해 회비를 납부하며 가입하는 권익 단체입니다. 이곳에서 무슨 징계를 한들 무슨 실효가 있을지 의문이었지만, 징계하면 당사자들은 회비를 절약하게 되지요. 

저희는 일단 피해자들을 정서적으로 위무하고, 피의자들에게 명예적 상징적 타격을 주기 위해, 저를 수장으로 하는 징계위원회를 열어 모두 징계했습니다. 각기 그 피해 정도에 따라 ‘영원한 가입금지부터 1년 정도의 자격정지’까지 다양했습니다. 

여기에서 한 가지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이걸 직접 언론에 공표하면, 명예훼손으로 피소될 수 있다는 거지요. (이 명예훼손 제도는 지금도 악인들의 명예를 지키는데 엄청 악용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일단 이사회에 넘긴 후 회원들에게만 이메일 형태로 알리기로 결정했지요. 회원들 중에 기자가 있었으니까요. 그런데 이사회에 넘어가는 동안 거의 모두가 작가회의를 탈퇴해 버렸고, 남은 두 명은 재판이 진행 중이었습니다. 

이게 팩트입니다.”

앞서 JTBC는 전날 “2016년 10월부터 각종 폭로가 쏟아져 문단 내에서 징계 논의까지 이어졌지만, 결국 흐지부지됐다”며 “고발에 나섰던 피해자들이 오히려 고소를 당하면서 상처를 입기도 했다”고 보도했다.

매체는 또 “한국작가회의는 1년 전 징계위원회를 꾸렸지만, 아직 징계를 받은 사람은 없다”며 “징계 대상자들을 제명하려 했지만, 대다수가 최종 결정 전에 단체를 탈퇴, 징계 논의 자체가 유명무실해졌다”고 밝혔다.

정문영 기자  [email protected]

출처 http://www.goodmorningcc.com/news/articleView.html?idxno=82225
출처
보완
2018-02-09 12:20:56
1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