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제주 4.3사건 내용을 요약 정리해 보았습니다.
게시물ID : sisa_1038531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aiidyn
추천 : 21
조회수 : 2324회
댓글수 : 3개
등록시간 : 2018/04/03 09:28:06
https://namu.wiki/w/%EC%A0%9C%EC%A3%BC%204.3%20%EC%82%AC%EA%B1%B4
배경은 모두 제주 어느 곳

1. 1947년 3월 1일 
   1-1. 삼일절 기념행사중에 어린 아이가 기마경찰이 타던 말의 발굽에 채였는데 경찰이 모르고 지나쳐버림
   1-2. 군중이 비난하자 그 경찰은 도망쳤고, 일부 군중들은 돌을 던짐
   1-3. 근처 경찰서에 있던 경찰들이 그것을 습격으로 착각하여 경찰서 주변 민중들에게 무차별 총격을 가해 6명 사망

2. 1947년 3월 1일 ~ 1948년 4월 2일
   2-1. 범 도민적 경찰 만행 규탄운동, 총파업 양상 전개
   2-2. 미군정은 이를 남조선노동당(남노당)의 선동으로 간주
   2-3. 육지에서 충원된 서북청년단 중심의 경찰이 규탄운동,파업 참여자를 검거 고문함

3. 1948년 4월 3일
   3-1. 남노당 제주도당 수백명이 무장 봉기하여 우익 관련자 14명 살해 
   3-2. 남노당 제주도당은 5.10총선거 거부 및 공산주의 선동

4. 1948년 4월 4일 ~ 1948년 5월 9일
   4-1. 군경과 무장대 총책 회담에서 상방협상 성사
   4-2. 그러나 이어서 발생한 오라리에서의 의문의 습격방화사건 발생
   4-3. 그리고 귀순자와 인솔 군인들이 정체불명 무장세력에 피격되는 사건 등로 협상 파국
 
5. 1948년 5월 10일
   5-1. 선거 방해 및 선거 보이콧으로 제주도 3개 투표구 중 2개가 5.10총선 무효화 됨
   5-2. 군경과 무장대 대립이 극단으로 치닫으며 무장대 진압이 가속화 강경화 됨 
  
6. 1948년 8월 15일 ~ 1948년 11월 17일 
   6-1. 대한민국 정부 수립
   6-2. 이승만은 제주도에 계엄령 선포
   6-3. 서북청년회를 비롯한 군경토벌대는 해안통제로 제주도를 고립시켜 무차별 초토화 작전 시행

7. 1948년 11월 18일 ~ 1954년 9월 20일
   7-1. 중산간지대 마을을 중심으로 한 본격적인 참극이 시작됨
   7-2. 군경토벌대는 수많은 양민들을 빨갱이 폭도로 몰아서 악랄한 방식으로 집단 학살함
   7-3. 무장대도 보복이나 반동분자 처단한다면 제주양민 학살함

8. 1954년 9월 21일
    8-1. 토벌대의 무장대 집압 학살 완수
    8-2. 이 과정에서 전체도민의 1/8에 해당하는 만오천여명이 희생됨
    8-3. 한라산 출입금지령 해제되면서 사건 종결


----
위키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이제서야 4.3 사건에 대해서 조금은 알게 되었네요.
사실상 정말로 아무것도 아닌 해프닝이 이 끔찍한 재앙의 직접적인 불씨가 되었지만
그것 아니라도 어떤 식으로든 터졌을 어떤 부조리한 불안감이 잠재되어 있을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사건 전체를 보면 4월 3일에 일어난 일은 비교적 사소하게 느껴져서 이 사건을 4.3사건으로 명명하기에는 많이 부족하다는 생각도 듭니다. 
어찌되었건 저는 제주 4.3사건은 주민을 선동하려는 남노당 무장대와 양민보호 보다는 남노당 토벌이 훨씬 우선이었던 군경토벌대에 의해
그 사이에 있던 수많은 무고한 제주양민들이 끔찍하게 학살당한 비극으로 정리하겠습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