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자유도 질문 (에너지 등분배 법칙)
게시물ID : science_67167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등껍질
추천 : 0
조회수 : 1724회
댓글수 : 5개
등록시간 : 2018/04/16 21:56:30
질문은 아래 "문제는" 부터 나옵니다. 글이 쫌 길다보니 질문만 보고 싶으시면 거기부터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우선 에너지 등분배 법칙이 어느정도 근사적으로 (큰 온도 내에서는 성립하는 식) 성립하는 것은 이해가 갔습니다.
또한 여기서 각각의 운동량에 대하여 운동에너지의 평균이 1/2kT 로 유도됨을 이해(?) 했습니다. 

여기서 질문은, 갑자기 책에서 운동에너지 뿐만 아니라, 자유도 1개 1개가 1/2kT 가 된다고 합니다.
즉 단원자의 평균 에너지는 3/2kT 가 됩니다.
x,y,z 운동량으로 각각 생각하면 3/2kT 가 되는 것은 이해가 갑니다.
하지만 갑자기 2원자 분자를 분석할 때, 회전운동을 고려해서 (2원자분자는 강체로 고려해서 2개의 회전이 가능하고 자유도가 2이다는 이해했습니다)
자유도가 5 이므로 평균 에너지가 5/2kT 가 된다고 합니다.
이것도 이해가 안 되서 찾아보니, 회전의 경우에도 운동량을 지니고 이에 따라 5/2kT 가 된다고 합니다.
(双対 쌍대)를 이용해서 E=(ptheta)^2/2I+2(ppi)^2/(Isin^2(theta)) 로 운동량으로 표현 가능하더라고요. 
여기까지도 어느정도 이해가 갔습니다.



문제는 결정의 경우, 결정은 조화진동자(단진동)으로 봐야 한다고 하더라고요.
근데 결정의 평균 에너지를 구할 때, 평균 운동에너지의 자유도가 3, 평균 포텐셜 에너지의 자유도가 3 이여서, 전체 6이 된다고 합니다.
이를 통해 평균 에너지는 3kT 가 된다고 하고요.  

질문은
1. 평균 포텐셜 에너지를 갑자기 고려하는데, 이는 결정이여서 많은 원자가 존재해서, 이들끼리의 상호작용을 고려해서인가요?
그렇다면 단원자나 다원자의 경우에는 원자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지 않아서 넣지 않은 건가요? 결정은 고려한 것이고요?

2. 포텐셜 에너지가 자유도가 3은 무슨 의미를 가지나요? 운동에너지의 경우는 x y z 회전 고려하면 이해가 갑니다만 포텐셜은 이해가 안가네요.

3. 포텐셜 에너지의 자유도가 3이여도, 그것이 3/2kT 의 에너지를 가지나요? 분명 에너지를 구할 때 1/2kT 가 구해질 경우는 운동량을 이용해서 구했는데, 포텐셜의 경우도 운동량으로 표현되서 그런건가요?

혹시 이에 대해 자세히 서술된 사이트 같은게 있을까요?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2018-04-17 01:32:10추천 0
질문에 정보가 좀 부족합니다.
무슨 결정인지 알려주세요.
그리고 조언을 드리자면 병진 운동과 회전 운동 다음에 결정으로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초급 단계인 이원자 분자의 진동 운동에 대해 먼저 고민하시는 편이 좋겠습니다.
이후에는 이산화탄소의 진동 운동(굽힘 진동, 늘어짐 진동)에 대해 공부하시면 됩니다.
그 다음에 방향족 원소라던지 물이나 암모니아라던지, 직선 배열이 아닌 분자의 진동 운동에 대해 탐구하시면 됩니다.
댓글 2개 ▲
2018-04-17 08:44:08추천 0
그럴 수 있으면 좋겠지만 책이 양자역학 기초를 다루기 위한 책이라 위처럼 적당히 설명해놓고 끝내버렸네요.. 혹시 위 문제와 관련된 서적 이름이 뭔지 아시나요? 혹시 알려주실 수 있으싱가요?
2018-04-17 10:02:54추천 0
이원자 분자의 진동 운동은 일반물리 책 (기체분자운동론 단원)에서 다룹니다.
Fundamentals of physics, Halliday, Ch19 The kinetic theory of gases
이산화탄소의 진동은 해석역학 (결합진동 단원)에서 다룹니다. 또는 검색.
구글링: Vibration of carbon dioxide
2018-04-17 13:34:08추천 0
일단 자유도에 대해서 잘 이해해야 하는데요,
일원자 분자야 x, y, z로 자유도가 셋이고
이원자 분자는 (원자1,원자2)로 했을 때 병진운동 (xx,yy,zz) 회전운동 (xy, yz, zx)일텐데, 이원자분자의 경우엔 두개의 원자 축으로 하는 회전은 그냥 제자리에서 빙글 도는거라서 빼서 자유도가 다섯이 됩니다.

lattice의 경우에는 1D의 구조를 생각해보ㅕㄴ
...- 원자 - 원자 - 원자 - 원자 -...
이렇게 연결된 구조이고, 이 경우에 하나의 원자가 움직일 수 있는 방법이 왼쪽 혹은 오른쪽이므로 자유도가 2입니다.
3D는 위아래 앞뒤에 원자가 더 있고 그 방향으로도 웁직일 수 있으므로 자유도가 6입니다.

그래서 6 x 1/2kt = 3kt가 되는거죠.
댓글 0개 ▲
2018-04-21 08:47:31추천 0
답변 감사합니다. 덕분에 어느정도 찾았네요.
댓글 0개 ▲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