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역사왜곡 발언과 독도 영유권 주장이 끊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일본의 사과와 반성을 촉구하는 국내 서명운동이 예상밖으로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현재 일본의 사죄와 위안부에 대한 배상을 촉구하며 UN 안보리 상임이사국 진출에 반대하는 서명운동을 펼치고 있는 대표적인 곳은 독립 기념관과 정신대문제 대책협의회, 그리고 흥사단을 비롯한 43개 단체연합등 모두 3곳.
이 가운데 정대협은 온,오프라인을 통해 서명을 받아 14일 현재 15만명을 기록하고 있다.
흥사단등은 지난달 28일부터 서명을 받기 시작해 지금까지 1만 9천 5백여명분의 서명용지를 받았다.
독립기념관은 이달 1일부터 지금까지 6만 3천여명으로부터 서명을 받았다.
이 세군데를 모두 합치면 23만명을 조금 넘는 수준이다. 목표치(210만명)의 11%에 불과한 실정이다. 반면 중국은 이미 3천만명을 돌파했다. 물론 중국과 한국을 수평비교하기는 어렵지만 한국의 ‘서명열풍’이 기대만큼 불어주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정대협의 서명운동은 지난해 11월부터 시작돼 반년이 다 돼가고 있지만 목표치인 1백만명과는 상당한 거리를 보이고 있다. 정대협 관계자는 “서명현장에 나가보면 시민들의 반응은 좋다”면서도 “1백만명을 채운 서명운동 사례는 과거에도 드문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흥사단등은 보름째 서명을 받고 있지만 역시 실적이 신통치 않다. 흥사단 관계자는 “1백만명 서명을 목표로 잡고 있는데 무관심한 사람도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중국의 경우 주요 포털업체가 서명운동 확산에 큰 역할을 했다”며 “국내 토종 포털업체들에게도 서명운동 사이트 링크를 요청했지만 대부분 거절당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배너광고 형식으로 서명운동을 지원하고 있는 포털업체는 코리아닷컴 단 한곳 밖에 없는 실정이다.
비교적 단기간에 많은 서명을 받아낸 독립기념관도 대부분이 단체 관람객들로부터 서명을 받았다.
이처럼 일본의 사죄와 배상을 촉구하는 서명운동이 주춤거리자 일부 네티즌들은 “일본사람들이 ‘한국인의 냄비근성’이라고 비꼬아도 할 말이 없는 꼴 아니냐”며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다른 네티즌들은 “서명운동에 대한 홍보가 부족하다”며 장기적이고 적극적인 서명운동 방안을 주최측에 촉구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