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국제기관 근무자가 보는 강경화 장관 내정자 임명
게시물ID : humorbest_1440184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피아짜나보나
추천 : 135
조회수 : 6824회
댓글수 : 15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7/05/21 16:21:42
원본글 작성시간 : 2017/05/21 16:09:26
옵션
  • 창작글
안녕하세요.
저는 외국에 살면서 국제기관(프라이버시를 위해 어딘지는 비밀!)에서 일하는 오유남입니다.
아침에 눈을 뜨면 먼저 뉴스부터 챙겨보느라고 출근이 다소 늦어지는 부작용을 겪고 있네요.

세월호 참사 때 한창 글을 쓰다가, 다시 눈팅만하다가 몇 년만에 다시 글을 쓰는 것 같아요. 
국제 기관에서 일하다보니 발견하게 된 점인데, 여기서는 사람보는 기준은 한국의 기준과 많이 다른 것 같아요.
일단, 학벌 간판이나 지역 연고 같은 개념은 아예 없습니다! 그와 관련한 오지랖도 없어요!!
대신 그 사람이 살아온 역사, 개인이 현재 가지고 있는 사무 행정 능력, 외국어 구사 능력이 훨씬 중요해요.
오늘 강경학 장관 내정자의 이력과 그분의 연설 몇 가지를 유튜브로 보고 나서, 문재인 정부가 얼마나 "전문인"을 발탁했는지를 알 수 있어요.

어디 국회의원이었고, 어느 학교 총장이었고, 외교부에서 몇 년간 일하며 무슨 국장을 맡았고 하는 것 외국에서는 정말 1그램도 알아주지 않습니다.
한국에서 알아주는 것들이 미리 앞서서 "깔아주는 것"이 없어요.
다만, 그 사람이 지금 회의 테이블 앞에서 나와 얼만큼 대화할 수 있고, 내가 얼마나 존경할 수 있는 삶을 살아왔는지가 아주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또 다른 기구들도 그런지 모르겠지만, 제가 일하는 곳은 윗자리로 갈 수록 정말 일을 더합니다. 
중요한 일은 정말 윗분들이 결정하고 책임을 져야하기 때문에, 윗분들은 실무자들이 만들어주는 보고서를 꼼꼼하게 읽고 업무를 모두 알고 있어야해요. 

상황이 이런데도, 우리나라 사람 한정으로 이해되는 특유의 꼰대 혹은 위계 문화를 가진 분들이 외국인들과 대화를 할 때 얼마나 아스트랄한 분위기를 양산하면서 대화를 산으로 가게 하는지도 여러 번 보았습니다.
솔직히 말해서 저는 인종차별이 있다는 것을 별로 느끼지 못했습니다. 
오히려 인종 차별을 이야기하는 분들이 자기가 준비가 안 된 것을 인종차별로 덮어서 합리화하는 것은 여러 번 보았어요.

그런 점에서 강경화 내정자 임명을 매우 환영합니다.
특히, 시리아 난민에 대한 연설에서 전문성과 진실성을 느낄 수 있었어요.
우리나라에도 이런 인재가 있었는데...
이런 국가적 인적자산을 야당이 장녀문제로 발목을 잡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우리는 헬조선이라고 자조하지만, 정말 우리나라를 많은 나라들이, 특히 아프리카의 개도국들이 경탄의 눈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런데 박근혜씨가 탄핵을 당하던 지난 겨울에는 쏟아지는 질문에 정말 창피할 때가 많았어요. 
드디어 외국에서도 우리나라가 경제력에 걸맞는 자랑스러운 정부를 가지게 된 것 같아서 정말 기쁩니다...
출처 본인 작성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