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살고 싶은 동네엔 생활 SOC 있더라!
게시물ID : sisa_1103041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묽은배설촤아
추천 : 12
조회수 : 432회
댓글수 : 7개
등록시간 : 2018/08/30 12:46:02
옵션
  • 펌글
집 근처 공원·도서관·어린이시설 이사할 때 고려 1순위

주민들에게 직접 이익이 되는 생활 SOC 예산을 늘린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생활 SOC에 투자한다는 것은 쉽게 말하면 우리 동네를 더욱 살기 좋게, 편하게 만드는 데 투자한다는 것입니다.

우리네 삶의 질을 높여준다는 것, 상상만 해도 즐거운 일입니다. 저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들 역시 고무적인 소식이라며 반기는 분위기입니다.

생활 SOC는 퇴근 후 집에서 10분 거리에 운동할 수 있는 국민체육센터, 학교 끝나고 책을 읽으며 나만의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작은도서관을 늘리는 일입니다. 노후 주거지를 쾌적한 환경으로 조성하는 도시재생도 포함되구요.

국민 생활에 도움이 되는 이런 생활 SOC는 우리나라에 아직 필요한 지역이 많다는 공감에서 나온 정책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p34(2).jpg
인천 송도국제도시의 빌딩 숲을 배경으로 인공수로 위로 수상택시, 보트, 카누 등이 지나고 있다.(사진=한국관광공사)

최근 서울에 살다가 직장 때문에 지방으로 이사 간 지인을 만났습니다. 대화를 나눠보니 지역에 제대로 된 어린이박물관이 하나도 없다는군요.

국민체육센터가 부족한 것은 사설 체육센터를 이용하면서 어느 정도 대체할 수 있지만, 어린이박물관은 대체 가능한 시설이 없기에 아쉬움이 더 크다고 합니다.

규모가 제법 크고, 다양한 체험이 가능했던 서울의 여러 어린이박물관들이 두고두고 아쉽다며 안타까워했습니다. 아이를 키우는 부모의 입장으로서 충분히 이해가 되는 이야기였습니다.

12345(1).jpg
정부가 전국 곳곳에서 운영 중인 작은도서관도 삶의 질을 높이는 데 한몫 한다.(사진=공감포토)

당시 이사를 생각 중이었던 저에게도 많은 시사점을 주더군요. 도서관이나 어린이시설이 조금 멀거나 불편한 지역은 약간 꺼려졌고, 없는 경우엔 이사를 포기하고 조금 떨어진 다른 지역을 찾아보기도 했습니다. 가족의 삶의 질을 위해 몹시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다가 이사하기로 마음먹은 곳은 이런 조건을 다 갖춘 지역이었습니다. 집 근처에 공원, 호수, 공공도서관, 국민체육센터, 박물관 등이 있고, 주말에 약간 시간을 들여 외곽으로 나가면 야영장도 이용할 수 있는 곳이었습니다.

그 때문인지 주변 도시에서 끊임없이 사람들이 이사를 오는 곳이기도 했습니다. 계약때문에 찾아간 부동산에서도 생활 인프라가 잘 조성된 곳이라 그런지 많은 사람들, 특히 아이를 가진 젊은 가족들이 꽤 이사를 오는 편이라고 귀띔했습니다.

555(9).jpg
쾌적한 환경을 갖춘 북카페 형식의 도서관도 계속 늘고 있는 추세이다. 사진은 제주도서관.

요즘 저희 가족은 퇴근 시간엔 도서관에 들러 주중에 읽을 책을 빌립니다. 또 저녁식사 후엔 체육센터에서 같이 운동을 합니다. 가족과 함께 하는 운동은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해주기도 하지만, 바쁜 일상 속에서 부족했던 대화를 할 수 있는 시간도 마련해주는 고마운 시간입니다.
이 모든 것이 집 가까운 곳에 생활 SOC가 있기에 가능한 일들입니다. 만약에 모든 시설이 멀리 떨어져 있다면 일상적으로 하기 힘들었을 겁니다.

이런 기대에 맞게 정부는 앞으로 6000억 원을 들여 과학관과 박물관을 아이들 눈높이에 맞는 전시관으로 개편하고, VR과 AR 등 가상체험 공간도 마련해준다고 하니 기대됩니다.

444(5).jpg
국립공원 남천야영장 풀옵션 텐트존 (사진=정책브리핑)

여기에 국립공원 야영시설을 확충한다는 소식도 반갑습니다. 신축 카라반 41동과 야영장 2곳을 더 늘린다고 하니 여가시간을 더 여유롭게 즐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가족 단위뿐만 아니라 친구, 연인, 나홀로족 등 전 연령층이 활용하는 데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국민체육센터, 박물관, 도서관, 쾌적해진 전통시장, 복합커뮤니티센터 등이 잘 확충된 지역에 사람들이 모여드는 건 당연한 이치입니다. 생활 SOC가 전국 곳곳에 잘 투자된다는 건 지역 균형발전을 앞당기는 일이기도 하구요.

내 생활 속에서 삶의 질이 높아지는 경험을 함으로써 귀중한 세금의 쓰임새를 알게 되는 것 역시 꽤 의미 있는 일입니다. 생활 속으로 적극 들어오는 이 정책을 반기고 기대합니다.

◇ 생활 SOC 확충방안 자세히 보기 http://www.korea.kr/policy/economyView.do?newsId=148853458

-정책기자단 곽도나 님의 글-
korea_logo_303.jpg
출처 http://reporter.korea.kr/newsView.do?nid=148853503
http://www.korea.kr/policy/economyView.do?newsId=148853458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