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게시물ID : economy_14656 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T.Thompson ★
추천 : 17
조회수 : 1433회
댓글수 : 53개
등록시간 : 2015/09/14 01:06:50
댓글 분란 또는 분쟁 때문에 전체 댓글이 블라인드 처리되었습니다.
2015-09-14 08:46:13 추천 38
'통과된게 신기하네 우리나라였으면..' 이라는 생각이 먼저 드는게 부끄럽다
2015-09-15 11:31:52 추천 2
회사법 수업을 들었었는데 독일의 경우 이사회에도 노동자 대표가 꼭 하나씩 있어야 한다고 하더라구요 진짜 우리나라였으면 빨갱이소리에 별소리 다들었었을텐데
2015-09-14 11:28:52 추천 123
우리나라는 빨갱이 법안이라고 전국민이 들고 일어나겠지...
2015-09-15 05:29:42 추천 105
전국민은 가만히 있는데 모든 언론이 전국민이 들고 일어났다며 빨갱이 선전을 하겠지가 맞는 겁니다 우리 국민은 뭐 아무것도 안해요 가많이 앉아서 티비를 보며 그것이 진실이라 생각할 뿐이지 행동력 없는 나라라서
2015-09-15 07:25:17 추천 1
역시 모든건 역사가 먼저 청산되고 바로 섰어야 했어..
2015-09-15 07:58:00 추천 29
집없는 사람들이 들고 일어남... 지금은 내가 월세 살아도 나중에 나도 세놓을 거라능.... 그러니까 반대한다능.....ㅡ,ㅡ.... 종부세 반대하고 뉴타운 찬성한 논리 ㅋㅋㅋ
2015-09-15 09:39:45 추천 6
종부세 대상은 1% 였는데 70%가 반대해주는 놀라운 노예의 나라.
베스트 게시판 으로 복사되었습니다!!!
2015-09-14 11:33:04 추천 16
부자니까 호구돼도 부자지
2015-09-14 11:36:51 추천 1
와... 나도 이런 식의 법안이 생겼으면 생각은 해봤는데 독일에선 벌써 만들어버렸네....
2015-09-14 11:38:11 추천 88
"두집이 있는것이 나쁜것은 아니지만 생활하는 집이 없는사람도 있으니 먼저 보호" 이야 보호정책. 합리적이네
2015-09-14 11:40:27 추천 4/4
2015-09-14 12:35:52 추천 17
촛불이라뇨.. 부자들은 그런 접근방식은 절대안쓰죠. 자기들끼리의 카르텔로 접근할겁니다..
2015-09-14 13:43:53 추천 19
조금 다른 비슷한 경운데, 고대가 기숙사 모자르다는 학생들의 청원에 고대가 가지고 있는 땅에 기숙사 짓는다 했을때, 지역 원룸 주인들이 촛불시위하고 난리났었죠. 결국 환경파괴(?)라는 민원을 넣어서 막더라고요. 하아.
2015-09-15 07:59:54 추천 1
건물주하곤 약간 다르지만 사학재벌이거나 그들과 한패인 한나라당이 사학법 개정 막으려고 촛불을 든 적은 있죠. 당시 MB도 朴도 최일선에 서 있었... 웁웁
2015-09-14 11:41:37 추천 1
뉴욕 월세 사는 사람들은...............ㄷㄷㄷ
2015-09-14 11:43:38 추천 7/20
전 항상 통계치라는거에 의문을 느끼는건데 저 세국가의 미터제곱당 비용과 옵션 까지 따져야 답이 나올꺼 같은대 ;;; 원룸 74면 프리미엄원룸인대;;;;;;; 해외 안나가봐서 그런데 해외도 우리나라 프리미엄풀옵션 처럼 에어컨 냉장고 시스템부엌 벽걸이티비 인터넷 케이블 포함한 가격인가요?
2015-09-14 11:53:06 추천 45/4
해외 안 나가봐서 그런데 해외도 우리나라 노동환경처럼 비정규직 천국에 껌깞 최저임금도 안 지키고 야근수당, 퇴직금 횡령이 빈번히 일어나며 그렇게해도 솜방망이 처벌받는 시스템인가요?
2015-09-14 12:08:56 추천 18/3
그리고 하나 더 '에어컨 냉장고 시스템부엌 벽걸이티비 인터넷 케이블'이 과연 2배 가까이 차이나는 최저임금과 맞먹는 가치인가요? 저거 렌탈비용이 다 합쳐도 월 10만원만 더 받으면 될 것 같은데 그럼 딱 한국이랑 독일 월세 차이(74만 - 64만)만큼 나오네요. 님이라면 저 옵션 제공받는 대신 최저임금 절반으로 깎으실 건가요?
2015-09-14 12:17:58 추천 7
댓글러는 공정한 비교를 원했는데 비공감응징...
2015-09-14 12:17:58 추천 8/8
키야..이런노예가 잇어 대한민국정부는 오늘도 행복합니다
2015-09-14 13:30:37 추천 19
독일은 안가봤고 미국 삽니다. 위에서 예로 든 뉴욕은 아니지만 렌트비가 비싼 지역 중 한곳에 삽니다. 보스턴(다운타운은 아니고 서벌브... 다운타운은 원룸 스튜디오도 $2000을 훌쩍 넘어가지요).... 한달 월세 $2300 에 방 두개 아파트 삽니다. 보스턴이 속한 주인 Massachusetts의 Minimum wage는 시간당 $9 입니다. 아파트에 포함된 물건은 세탁기 건조기, 에어컨, 냉장고 식기세척기, 오븐렌지, 전자렌지입니다. 가구는 포함되지 않고(장농이 필요없게 옷방이 각 베드룸에 한개씩 붙어있죠) 상하수도 전기 등 유틸리티도 물론 포함 안된 가격입니다. 대신 차고(자동으로 문이 개패되는 거라지)가 붙어있는 아파트입니다. 디파짓(보증금)은 크레딧에 따라 다른데 크레딧 스코어가 높아서 저는 $500만 냈습니다. 크레딧이 안좋으면 세달치 월세까지도 받습니다. 저희 부모님은 수원에서(경희대학과 삼성 근처) 원룸 임대를 하시는데 가구 가전 포함 안된 연립주택식 원룸주택의 작은 방 한개에 보증금 3000만원에 월세 45만원 정도를 받으시던데... 크기는 지금 제가 사는 아파트의 1/4도 안돼 보이더군요. 미국에서도 렌트비가 비싼편에 속하는 지역에 거주하면서 미국 평군을 상회하는 렌트비를 내고 있지만 한국 렌트비가 저렴하다고는 결코 말하기 어렵겠더군요.
2015-09-14 13:34:50 추천 16
아~ 그리고 미국도 월세 상한제가 있어요. 자세히는 모르겠지만 기존 거주자가 렌트기간을 연장할 때 내고있던 월세의 몇 % 이상 올리지 못한다거나 지역 평균 월세에서 몇%이상은 못 받는다던지...주마다 다르지만 제한이 있어요. 한국은 아예 없나요?
2015-09-14 13:40:15 추천 3
전 대비나 뭐에 비해서가 아니라;;; 그냥 해외의 월세나 이런게 어찌 되어있는 시스템인지 궁금했던 부분인대 .... 독일은 가구 포함이군요!! 아 외국은 보증금이 적군요!! 캐나다는 월세가 너무 비싸서 쉐어 하우스가 일반적이라는 얘기를 얼핏 들은적이 있었는대 그래서 그나마 한국이 월세가 싼가? 라는 생각을 갖고 있었거든요; 한국의 렌탈비는 비싸군요 ;; 한국은 제가 알기론 상한제 그런건 없고... 보이지않는 검은손이 조정을 해주는듯; 통계에 대한 의문은... 통계의 미학이란 책을 봤더니 통계치를 보면 여러가지를 생각하게 되어버려서입니다....;;;;
2015-09-14 13:51:00 추천 2
PS : 먹X님;;; 제 댓글의 어떤 부분이 심기를 건드렸는지 모르겠지만 ;; 심기를 건드렸다면 죄송합니다. PS : 카X님;;; 언제가 됐던 노예근성과 청년들이 나아가야할 길. 우리 사회가 더나아가기 위해 필요한 시민의식 등 어떠한 주제로라도 상대만을 비하하는 내용말고 진지하게 토론을 원하신다면 댓글달아 주세요 제가 글하나 쓸테니 댓글로 진지하게 토론한번 했으면 좋겠습니다. (배틀 하자는게 아니라 저하곤 시선이 다른분 같아서 토론하면서 배우고 싶어서 그럽니다.)
2015-09-15 04:29:50 추천 1
예를 들어 1000에 64면 프리미엄 원룸은 아니죠. 8~9평에 풀옵션 지상층정도지만, 주차공간이 없을 수도 있고 대로변이 아닐 가능성도 높고 채광도 방음도 고만고만한 집일거라고 생각됩니다. 그런데 독일 월세가 저렇게 싸다는건 정말 신기하네요.
2015-09-15 09:41:29 추천 1
독일도 보증금제도 있습니다 카우치온이라고 약간 deposit 같은 개념인데 나중에 방 뺄때 훼손된 곳이 있거나 문제가 있으면 차감하고 돌려받거나 아예 못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2015-09-15 09:44:46 추천 0
캐나다 토론토에서 십년전 원룸 아파트 월세 880불 냈었네요. 관리비는 안냈구요. 보증금은 없이 1년 계약에 후반기 6개월 집세를 먼저내고 전반기 6개월 월세 내면서 지내는 구조였는데 서울보다 싸보입니다.
2015-09-15 10:07:39 추천 0
평수나 옵션에 따른 가격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궁금해 하는건 당연한데 비추 폭탄에 노예 드립까지 캬~
2015-09-15 14:43:34 추천 0
zerop님 댓글에 대한 비추폭탄과.. 뜬금 없는 비아냥에 대한 사과가 필요하지 않나요?
2015-09-14 11:50:14 추천 45
독일에서의 64만원하고 한국에서의 74만원은 많이 다르죠ㅋㅋㅋ
2015-09-15 09:45:22 추천 0
임금도 낮은 주제에 월세는 더럽게 비싸네 .
2015-09-14 12:20:48 추천 58
노무현때 종부세 만든다고 하니 집 한채도 없거나 한채만 있는 것들이 세금 늘어난다고 부자들 걱정 하면서 빨갱이법이라고 개지랄 떨었지ㅋㅋㅋ
2015-09-15 08:09:31 추천 15
사실 아버지랑 대화하면서 알게 된건데 아버지는 가진건 쥐뿔도 없으면서 자기가 부자인줄 알더군요. 무엇보다 충격은 당신용돈으로 쓰는 용돈만큼 밖에 못벌던 구멍가게 수입으로 자기가 식구들 전부 먹여살리고 있었다고 생각하고 있었단 점...
2015-09-14 13:14:24 추천 0
일단 법을 만든지 7달 정도 밖에 안 되었으니 두고 봐야할것 같네요.
2015-09-14 13:28:18 추천 28
우리나라는 월세내는 양반들이 상한제를 반대하고 앉았으니 ㅋㅋㅋㅋㅋㅋㅋㅋ 완전 쥐가 고양이 생각해 주는격
2015-09-14 15:40:42 추천 3
우리나라도 월세 상한선 있습니다. 9% 제한 있고요. 우리나라도 땅값 미쳐 날뛰면 강력하게 정부규제 들어갑니다. 독일만 있는거 아니예요. 우리나라도 주택임대차보호법도 상당히 좋은 법이 있어요. 제가 항상 주장하는것중 하나가, 이런 제도를 만드냐 안만드냐가 문제가 아니예요. 집주인이 월세 놓고, 월세 받아먹는건 전혀 문제 될게 없는거예요. 독일 정책 부분에서도 나오죠, 평균 월세 기준 10% 라고 우리나라도 9% 제한 있는데 왜 체감상 월세가 높을까요? 애초에 평균 월세가 비싸니까, 월세만 비싼게 아니라 모~~든 물가가 다 비싸니까 서민 삶이 힘든거죠. 그러기 위해서는 근본을 뜯어고쳐야 해요. 썩은 정치, 부정부패 사회를 뜯어고쳐야 합니다
2015-09-14 17:31:53 추천 16
법안이 통과되고... 실제로 적용된 첫번째 도시 (베를린)에 거주중입니다. 베를린을 포함해 몇몇 도시들이 법안을 바로 적용하겠다고 했고, (6월 1일) 다른 도시 (뮌헨, 프랑크푸르트 등)는 논의 후 적용한다고 했는데, 적용했는 지 잘 모르겠습니다. 사실 베를린에서 집 찾기가 너무너무 하늘의 별따기처럼 힘들어서, (기본적으로 집이 많이 없고, (들어오는 숫자가 많아서) 집 찾을때 전 주인 가구를 다 사야만 집 계약이 가능하다던지, 전사람이 내는 월세는 월세를 못 올리는 법이 있어서, 새로 들어오는 사람이 계약할때 갑자기 월세를 확올리던지.. 등등) 이 법안이 들어오는걸 기다렸고, 기대했는데요. 이 법안에 포함된 중요한 점 1. 월세 10% 인상 금지, 2. 복비 집주인부담인데요. 적용한지 첫날부터 2. 복비 집주인 부담은 부동산에서 꼼수를 써서 잘 적용이 되지 않고 있고요. 1번도 그 전에 월세를 올린다던지 해서 꼼수가 들어가서, 사실 월세사는 입장에서는 별반 도움이 안돼고 있어요.ㅠ 이런 법안이 들어와도, 어딜가도 꼼수 쓰는 사람이 있어서.. 사람사는 곳 비슷하다는 현지 리포트 올립니다
2015-09-14 20:15:11 추천 3
우리나라 원룸건축비랑 보상평가시 감가상각 비교하면 건물값도 못뽑음. 월세가 비싼게 아니라 임금과 물가가 미친거임
베오베 게시판 으로 복사되었습니다!!!
2015-09-15 03:26:17 추천 7
나름 독일에서 도시급인 뒤셀도르프 사는데요, 가구 포함 금액은 아닙니다. 대부분이 벽만 있는 집이라 모든 가구, 부엌을 새로 해야 하는데요. 저야 싸게 잘 구해서 저 금액에 못 미치게 살고 있지만 요즘 방세가 많이 올라서 집 구하기도 어렵습니다. 보증금은 카우찌온이라고 해서 2-3달치 방세를 받고 나간 후에 수리가 필요하면 그 바용을 쓰고 아니면 돌려줍니다. 보다가 첨언이 필요할 것 같아서 몇 자 적어봅니다.
2015-09-15 06:49:13 추천 0
당연히 한국은 가구포함인 경우가 거의 없지요.
2015-09-16 18:29:21 추천 0
한국은 1년치월세 전후의 액수가 보증금이니 독일의 보증금은 보증금으로 보이지도 않는거죠 뭐 ㅜㅠ
2015-09-15 03:54:08 추천 0
아....
2015-09-15 04:10:53 추천 0
독일의 임금대비 월세 보고 깜놀 ㄷㄷ ;;
2015-09-15 07:28:02 추천 1
잘 안 지켜진다고 해도 저걸 통과시키는 독일이 부럽구료
2015-09-15 08:18:36 추천 6
독일은 가끔 싼월세가 나옵니다 그 이유가 참 대단한데요 집이 여러채라 월세소득이 높으면 당연히 세금떼는 비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그 기준선을 살짝 넘는 집주인들이 넘는만큼 집세를 싸게 내놓습니다 이게 세금더 내는 것보다 이득이거든요 정책의 힘이 이런데도 나타납니다
2015-09-15 08:31:47 추천 3
돈없는 학생들 살라고 기숙사 증축하는것도 주변 원룸건물주인들이 반대서명하고 학교쳐들어오고 난리난리를 치는데 무슨...
2015-09-15 08:54:41 추천 0
이민은 몰라도 워킹이든 여행이든 짧게라도 제가 꼭 한번 살아보고 싶은 곳이 독일인데 참.. 해가 지나면 지날수록 더 가보고 싶네요..
2015-09-15 09:08:21 추천 1
엥 내원룸은 2년됬고 부산에 지하철역 2분거리 300에 관리비포함 34인데 ..통계에나온 한국 월세는 대체 어디가 기준인거야
2015-09-15 10:08:39 추천 0
서울 도심인듯요
2015-09-16 00:30:19 추천 1
부산이 서울지역에 비하면 원룸이싸죠ㅋㅋ
2015-09-16 22:33:43 추천 0
부산 송도 20평 실평수 12평 2000에 50이에요...........부산이 엄청 저렴하긴한데..요샌 지방도 비싸니 ㅠ
2015-09-15 10:33:58 추천 0
능력으로 돈 버는걸 권장하는거지 부동산 놀이로 돈버는걸 옹호해주는게 아니니까요 ㅋ 물론 부동산에 투자해서 돈 버는 것도 능력이다. 고 하면 어떻게 이야기해줘야할까 싶지만...
2015-09-15 17:40:10 추천 0
귝민이 살아가는데 가장 기본적이며 중요한게 의식주인데... 한국은 어느 하나 제대로 보장 해주지 않죠. 니가 알아서 노력해라는 식인데... 참.... 국민 개몽교육이 절실합니다.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