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경제게에서는 경제이야기만 합시다.
게시물ID : economy_28136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훈훈한탑
추천 : 5
조회수 : 1303회
댓글수 : 7개
등록시간 : 2019/01/02 09:51:19
눈팅 + 경제게 + 시사게 (였다가 시사게는 더이상 건전한 토론의 장은 아닌거같아 접음)

유저입니다.

경제게에 들어오려는 사람은 어떤 생각으로 들어올까요?

부동산 구입을 하려는데 시점을 어떻게 해야할까요? 라던지

얼마전에 올라온 전세입자가 땡깡을 부려요.. 라던지

주식시장은 어떻게 될까요? 어떤 산업섹터가 각광받나요?

사회초년생인데 저축을 어떤식으로 해야할지 모르겠어요. 라던지

우리가 실제로 살고있는 삶에 대해서 서로 돕는데 있지 않겠습니까?

거시경제는 숫자로 이야기 하는 것이고, 사업에 대한 비젼은 근거를 가지고 이야기하는 것이고, 부동산은 제도를 가지고 이야기 하는 것이죠.

어떻게 되어야 한다는 당위론이 경제에 어떻게 적용되나요?

예를들어 소비자를 기만하는 현대차와 같은 악덕기업은 망해야 한다는 논리가 있고 일견 타당해 보인다고 하더라도, 

내가 거기서 일하는 노동자라면 그 당위론이 무슨 소용이 있을까요?

부동산값이 내려야 한다고 성토를 하고 그게 사회적으로 당연시 되는 분위기라고 하더라도, 내가 무리해서 집구입을 하고 이자를 내는 사람이라면

도대체 무슨 의미가 있냐는 말입니다.

경제는 좋아지면 되는겁니다. GDP 성장률과 내 호주머니에 꽂히는 돈이 돈백만원이라도 늘어나면 좋은거에요.

최저임금 인상이 내 통장에 도움이 되나요? 그러면 지지하면 되는겁니다. 최저임금 인상때문에 자영업자분들이 힘드신가요? 그럼 비판하면 되는거죠.

경제관련해서는 나에게 이익과 손해만 있을 뿐, 중간이 없어요. 어설픈 당위론은 의미가 없어진다는거에요 돈앞에서는.

그러니깐 최소 경제게에서 만큼은 정치색은 뺍시다.

돈벌 궁리만 하자구요. 당신이 좌파라도 강남좌파가 명예롭죠. 당신이 우파라도 마찬가지구요.

거시경제는 투자관점으로만 생각합시다.

최저임금 인상 - 자영업 힘듬 - 공실 발생 - 상가가격 하락

어라? 그러면 상가를 살 기회일 수 있겠네요? 또는 소유주들은 단기적으로 빨리 파는게 나을수도 있겠죠?

GDP 성장률은 하락하지만 원화가치는 건재하죠? 개발도상국에 투자해야될 시점은 아닐까요?

부동산 규제로 지방 집값이 초토화 됐다구요? 그럼 주섬주섬 주워야 할 시점은 아닐까요?

경제에 당위가 어딨어요. 내가 벌면 좋은거지.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본인삭제]힘의신
2019-01-02 12:33:49추천 0
댓글 2개 ▲
[본인삭제]힘의신
2019-01-02 12:37:21추천 0
2019-01-02 13:00:01추천 3
그런식으로 이야기하면 한도 끝도 없다는 겁니다. 전 개인적으로 정의당과 같은 노동중심적 정당들이 자본주의에 더욱 큰 이득을 주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자본의 속성상, 강자가 약자의 노동력을 이용하여 돈을 버는 구조이며 빈부격차는 심해질 수 밖에 없기에 중간중간 농양을 짜주는 노동쟁의들이 자본주의의 지속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죠.
그렇게 치면, 신자유주의자들의 말은 빈부격차를 더욱 확대해서 사회적 움직임을 좌파가 원하는 방향으로 정치를 이끌 수 있다는 점에서 똑같다는 겁니다.

사회적 분열과 같은 정성적인 요소를 이야기 할 것이면 명확하게는 시사게나 사회관련 게시판이 옳겠죠?

거시경제는 고정변수로 생각해두고, 개인이 어떻게 움직이느냐에 따라 돈을 벌 수 있는 가에 대해서 궁리하는 것이 더욱 경제게시판에 어울리는 일이 되겠습니다.

신자유주의를 신봉하는 분이라도, 이렇게 되야 나라가 잘된다는 당위를 펼치지 마시고 해당 상황에 "대응하는" 경제게시판 이용자가 되었으면 합니다.
2019-01-02 18:07:49추천 2
부동산 업자로 13년 살아왔는데 지금껏 남들에게 욕은 안먹었네요 내가 그들은 욕하면 욕했지

사무실은 판교에 있고  부동산 하기전엔 헤미메탈 롹커 였습니다

그래서인지 좀 스트레이트 하지만 부동산은 이제 가장 냉혹한 조정기가 왔습니다

그리고 난  문프 정부가 들어올때 이럴줄 알았고 이래야만 한다고

내 주변 모두가 이번 정부를 욕해도 니 새끼들 위하려면

우리가 고통을 감내 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이걸 경제 게시판에 쓸까요?

시사 게시판에 쓸까요 ?
댓글 1개 ▲
2019-01-03 11:42:20추천 0
고통을 감내 해야 한다. 가 경제적 가치가 될 수 있나요? 예를들어 있는 부동산을 처분해라. 살 집을 미뤄라, 또는 현금쥐고 있다 기회를 봐라. 내가 생각하는 적정 이자율은 얼마이니 얼마 이하로 올때가 투자하기 적기다.

이게 경제게시판 아닌가요?

그리고.. 시비거는건 아닌데 시게 말고 문프라는말 씁니까?
2019-01-04 05:30:52추천 2
재테크만 경제는 아니죠. 경제활동에 있어서도 부분적인 영역이고요.

애초에 경제학의 출발은 정치경제학이었습니다. 재화와 서비스를 어떻게 생산하느냐가 경제라면 어떻게 분배하느냐가 정치이죠. 결국 같은 대상을 다른 방향에서 다룬다는 점에서 구분은 가능하지만 분리는 못하는 게 경제활동인 겁니다. 그렇게에 실증경제학과 더불어 규범경제학도 엄연히 존재합니다. 각광받는 분야는 아니지만 도외시한다면 뭣하러 경제활동을 하느냐에 대해 설명을 못하게 됩니다.

돈만 잘 벌면 된다? 도둑질하고 약탈하러 다니면 되지 뭣하러 어렵게 '규범 내의 경제활동'을 상정할 필요가 있을까요. 좀더 온건한 용어라면 도박, 사기, 투기, 갑질 등등이 있겠네요. 주어진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국한한다면 어쨌든 논의는 가능하겠지만, 그렇게 복잡하게 룰을 정할 필요가 있을까 싶기도 합니다. 한때 게시판을 달구웠던 암호화폐 같은 것도 '신성장산업' 또는 '돈벌이' 이상의 논의가 필요했다는 게 지금의 결론으로 보입니다.

한편 경제현상은 사람들의 심리에 기인하는 면이 큽니다. 경제학의 대전제인 '합리적인 인간' 또한 인간심리에 대한 가정이지요. 이런 부분에 대한 논의를 하다보면 이게 경제학의 영역인가 싶기도 하지만 최근 실증적인 부분까지 드러난 영역이기도 합니다. 행동경제학, 정보경제학 등으로 말이죠. 이런 가정을 도입하면 같은 현상에 대해서도 아예 다른 결론을 도출할 수도 있지요.

미묘한 부분에 대해 폭넓고 풍부하게 토론하기 위해선 경제의 바운더리를 좁게 잡을 필요는 없을 거 같습니다. 그렇게 치면 밥먹고 분석만 하는 애널리스트를 제외하면 답변을 할 사람은 존재하지 않겠지요. 오유 자체가 초토화된 지금에 와선 글쎄요.

물론 시사게시판에서 써먹는 물타기나 진영논리는 배제하는 건 찬성합니다. 그러라고 구분해두었으니 말이죠. 다만 거시경제에 대한 논의를 금지하는 것은 와닿진 않네요. 연금이나 건강보험, 무역 및 환율, 세금, 규제, 금리 등 정치권의 동향과 연관된 경제 분야도 적진 않으니 말이죠.

그리고 경제학자에 대해서의 이야기인데, 그렇게 똑똑한 사람들이 꽤 이상한 결론을 내는 경우도 많습니다. 판사들의 엉뚱한 판결을 내리는 것과 비슷하게 말이죠. 낙숫물 경제라며 래퍼곡선을 활용한 궤변이라거나, 4대강 사업 등등. 무턱대고 비난할 수도 없지만, 감시와 의심을 내려놓아서도 안될 영역이기도 하지요.
댓글 3개 ▲
2019-01-04 05:57:31추천 1
전 이분 글이 너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어려운 내용을 알기 쉽게 알려주셔서 갑사합니다.
2019-01-05 03:55:39추천 0
빈 말씀일지라도 감사합니다.

다시 읽어보니 여기저기 횡설수설을 했네요; 의도만이라도 전달되었으면 다행이라 여길 따름입니다.
2019-01-07 09:12:54추천 0
이스투아르님의 의견에 공감합니다. 제가 다만 경계하는 바는 거시경제를 이야기하면서 이렇게 되어야 한다. 옳다. 그르다. 가 아니라, 금리가 오를 예정이니 유동성이 축소되서 자산가격 하락이 예상된다던지, 또는 어떤 이슈때문에 이 물건을 제조하는 회사가 좋아질 것이라던지, 원유가격이 안정화가 되었으니 원가에 영향받는 어떤 산업이 괜찮아 질것이라던지. 하는 분석이 없이 이번정부가 이지경 만든것도 아닌데 왜그러냐, 이렇게 하면 안된다. 저렇게 해야한다. 라는 당위론이 같잖은겁니다.
예를들어 순수출이 늘어난 것은 매우 거시적으로 좋은 일이죠. GDP 상승에 큰 역할을 하니까요. 수출한다고 누가 불행해 지는 것도 아니구요. 하지만,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는데 하락해야만 한다? 최저임금이 상승하는데 상승하는것이 옳다? 이런 가치판단은 안된다는겁니다.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