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지구상에 모든 바이러스가 사라진다면 세상은 어떻게 바뀔까요?
게시물ID : science_6820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Anatakaniki
추천 : 0
조회수 : 2522회
댓글수 : 10개
등록시간 : 2020/01/29 09:50:51
만일 지구상에 모든 바이러스가 사라진다면
 
현재 코로나 바이러스 같은 각종 바이러스로 인한 전염병 문제는 사라질 것이고
 
더이상 인류는 각종 전염병으로 인한 위협을 받지 않게 되고 그렇지 않을까요?
 
흔히 지구의 자기장이 사라진다면? 모기가 사라진다면?
 
라는 엉뚱한 주제가 많긴 하지만 바이러스가 모두 사라지면 세상은 어떻게 변할까에
 
대한 주제는 잘 못들어봐서 한번 글을 올립니다.
 
즉 지구상에 모든 바이러스가 사라졌다고 가정하에 세상은 어떻게 변할지에 대해서 궁금하기도 하고요...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2020-01-29 12:57:45추천 1
지구상에서 인류가 인지하지 못하는 형태의 바이러스 또한 존재한다고 충분히 예상할 수 있을테고, 이러한 바이러스가 어떤 역할을 할지에 대해서는 현상이 나타나기 전까지 알 수 없습니다(이 또한 인지불가의 영역일 수도 있습니다)
우한폐렴 등의 사례 때문에 바이러스가 가지는 부정적인 측면이 부각되긴 합니다만… 그것은 해당 바이러스의 특징일 뿐이겠지요? 산호초를 공격하는 미생물 군집이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오히려 산호초가 살아나버린 케이스도 있습니다. 이를 확대해석하자면 인류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바이러스가 전혀 없다고 단언할 수도 없다는 거지요.
모든 바이러스가 완전히 없어진다면… 특정 바이러스의 부정적인 측면은 확실히 제거될테지만, 반대급부로 긍정적으로 작동하는 바이러스도 없어질테고… 이는 또다른 위험요소에의 노출을 의미하겠지요.
댓글 0개 ▲
[본인삭제]향기없는바람
2020-01-29 19:50:14추천 1
댓글 1개 ▲
2020-02-06 13:56:47추천 0
왜요? 모든 생명체가 바이러스도 아니고, 모든 생명체가 바이러스 의존적인 것도 아닌데요..?
2020-01-30 18:45:44추천 3
바이러스는 생물로 분류되긴 합니다.
그렇다고해서 바이러스가 사라진다고 모든 생명체가 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바이러스의 과학적 기본개념은 세포를 갖지 않는 생물입니다. 이 정의만 따르더라도 모든 생명체가 사라진다는건 어불성설이죠.
인간이 지구의 바이러스다 라는 말도 있는데, 이건 인간이 바이러스와 과학적으로 같다는 것이 아니라, 인간을 바이러스에 비유한 표현이니 넘어가도록하겠습니다.
수많은 바이러스가 인간에게 해가 되는 것은 분명하지만, 생물학적 특징이 분명히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 생물체에 비해 그 구조와 메커니즘이 상대적으로 간단하기 때문에 이를 조작 및 응용하기 쉽고, 이러한 점이 생물학적 발전에 큰 기여를 한 것도 사실입니다.
일례로 gmo식물, 즉 유전자변형식물 들어보셨을겁니다.
이를 위해서는 dna의 해석, 즉 염기서열분석이 필수로 이루어져야하는데, 최초로 해석된 염기서열은 바이러스였습니다. 간단하기 때문이죠. 여기서 계속 발전하여 인간의 염기서열도분석되고, 일부는 해석까지 마치고, 계속 진행중입니다.
유전체학의 발전은 바이러스에서 부터 시작되었다고 얘기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바이러스가 없었다면, 인간의 유전체는 물론이고 일개 박테리아의 유전정보조차 아직 해석되지 못했을 수도 있습니다.
(물론, 바이러스가 없었더라도 천재같은 과학자들은 분석해냈을수도 있겠지만요...ㅎㅎ)
댓글 1개 ▲
2020-01-30 18:47:07추천 0
혹시 오해가 있을까 추가로 적는데,
기본개념은 생물과 무생물의 중간체인데, 이를 생물로 보았을 때, 다른생물과의 차이는 세포가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2020-02-02 12:05:07추천 0
진화와 생명활동에 바이러스가 굉장히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뿐만아니라 특정 미생물의 천적 역할도 하고

어떤 다큐멘터리에서는 특정바이러스가 양의 태아를 성숙시키는데 도움을 준다는 내용도 들은것 같습니다.
댓글 0개 ▲
2020-02-04 19:02:21추천 1
개체수 조절과 진화에 도움을 주죠. 로지스틱 생장곡선을 보면 개체군성장 후반부의 환경저항에 바이러스가 한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그리고 붉은 여왕 효과가 설명하는 바이러스와 숙주의 공진화도 일어납니다.
댓글 1개 ▲
2020-03-08 12:41:46추천 0
개체수 조절이라는게 인간을 비롯한 특정 개체를 죽인다는 말 아닌가요??
2020-02-06 18:53:26추천 0
바이러스가 숙주의 유전자를 변화시키는 역할 때문에 진화가 잘 이루어 진다는 의견이 있습니당.
댓글 0개 ▲
2020-02-28 14:15:38추천 0
기생충과 같이 개체수 조절이나 진화에 소소한 도움을 주었지 않았나 싶습니다
댓글 0개 ▲
2020-04-06 13:25:39추천 0
모든바이러스가 사라진다면
언젠가 또 바이러스가 등장하게됩니다
댓글 0개 ▲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