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마스크를 재활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게시물ID : freeboard_1893885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나그넹2
추천 : 0
조회수 : 280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20/03/13 20:02:49
이제 마스크 5부제 정착하고 나면 마스크 부족 사태도 진정될거고, 의료진에게 우선 배부하면 현재 의료 현장에서 마스크 하나 가지고 일주일 사용하는 처참한 사태는 해결될 수 있으리라 봅니다. 게다가 의료진에게 마스크 양보하기 운동도 소소하게 일어나고 있으니 지금의 마스크 패닉 상황은 빠르게 정리될 거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좀 때늦은 감은 있는데, 그래도 혹시 이 글을 보는 누군가에게는 도움이 될 수 있지 않을까 해서 적어봅니다.

지금 전자렌지에 돌리는 것부터 찜기에 찌라는 둥 온갖 얘기가 나오는데요.. 
그중 가장 신빙성 있는게 자외선 살균이죠. 하지만 자외선 파장 A와 B, 즉 햇빛은 살균력이 약하기 때문에 볕 좋은 여름날에도 최소 4~7 시간 이상 햇빛에 널어둬야 하고, 겨울철엔 그마저 효과 장담 어렵습니다.

식당에 있는 컵 소독기, 칫솔 살균기 등등 UV 살균 제품에 장착된게 자외선 C 파장 램프인데, 이건 살균력이 강하긴 합니다만 정확히 '표면'만 살균됩니다. 만일 마스크 겉면에 바이러스가 묻었고, 그 바이러스가 일정 조건이 갖춰져서 증식이 시작되면 옆으로도 퍼지고 깊이, 즉 마스크 안쪽으로도 증식해 들어가겠죠. 그럴 경우 자외선은 표면만 살균하기 때문에 표면 안쪽에 있는 것은 아무것도 잡아내지 못합니다.

게다가 자외선 빛이 표면에 닿기만 하면 되느냐? 그것도 아닙니다. 자외선의 살균력이 효과를 미칠 수 있는 '유효 조사 거리'라는 게 있습니다. 간단히 말해.. 플래시를 켜면 빛이 내 앞에서는 밝고, 좀 거리가 멀어지면 희미해지죠? 그거랑 똑같습니다.자외선 역시 빛이기 때문에 유효 조사거리라는 게 있고, 제조사와 램프 사양에 따라 다르지만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일반적인 램프들은 대개 몇 센티미터 이내로 한정됩니다. 다시 말해 마스크를 늘어놓고 그 위에 자외선 램프를 켜서 살균을 하겠다면, 대략 2~5cm 이내의 거리에 램프를 배치해야 살균 효과가 있다는 겁니다. 

게다가 자외선이 마스크 표면에 1초만 닿으면 살균이 되느냐? 그게 아닙니다. 바이러스 표면의 지질막과 단백질을 파괴하기에 충분한 만큼의 에너지가 전달되지 않으면 살균 효과가 없습니다. 에너지가 전달되는 데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유효 조사 시간도 지켜줘야 합니다. 유효 조사 시간 역시 제조사와 램프 사양에 따라 천차만별입니다. 세균/바이러스 종류에 따라 자외선의 살균 에너지가 효과를 내는 시간도 다 다릅니다. 필요 에너지량 계산이 만만치 않습니다. 자외선 살균기 하나 사놓고 거기에 대충 마스크 넣었다 빼면 살균이 끝났다고 생각했다간 큰 일 납니다. 

즉, 자외선 살균을 이용해 마스크를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생각보다 까다로운 조건을 지켜야 하고, 그렇게 하더라도 자외선은 표면만 살균해주기 때문에 마스크 재활용에 별로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하느냐?

시중에서 구하기는 어려울 듯 하지만.. 오존 살균기를 구할 수 있다면 오존 살균을 하면 됩니다.
물론 오존 역시 산화반응을 통해 바이러스를 없애기 위해서는 적절한 시간 동안 노출시켜 줘야 하는데, 그 시간이 얼마인지는 오존의 농도와 바이러스 1 개체 파괴에 필요한 산화에너지의 양, 살균하려는 마스크에 분포하는 바이러스의 총량을 모두 알아야 정확히 계산할 수 있을 겁니다만.. 그래도 오존은 가스 형태라 표면뿐 아니라 안쪽까지 샅샅이 스며들어 전체적인 살균을 해주기 때문에 표면 살균만 가능한 자외선보다는 낫습니다. 그리고 방전 현상이 오존을 만들어낼 수는 있어도, 반대로 오존이 마스크 mb 필터에 형성된 정전기를 방전시킨다든가 하는 얘기는 들어본 적도 없고 원리적으로도 그럴리 없으니 오존 살균이 마스크 재활용에 있어서는 가장 효율적이고 안심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오존 살균기가 있는 경우, 살균기 챔버에 마스크를 몇 장을 넣고 어느 정도의 시간 동안 가동해야 하는냐에 대해서는 좀 전에 쓴대로 챔버 크기, 오존 농도, 마스크 수량, 바이러스 오염 정도 등에 따라 큰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일괄적으로 말할 수는 없습니다. 그건 상황에 따라 각자 스터디해서 결정해야 할 겁니다..

오존 살균기라는게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물건도 아니고, 오존 자체가 독극물이라 취급에 주의도 필요하다 보니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을 것 같지는 않습니다만.. 지금 의료진들이 마스크가 없어서 며칠 동안 하나로 버틴다는데, 보건 당국에서 대형 오존 살균기를 구매해 방역복 살균도 하고 마스크 살균도 해서 지금 당장의 방역물자 부족에 대처하면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어서 빨리 covid19 진정되기를 바라며..

아, 참고로.. 저는 오존살균기 제조업체와 아무런 상관도 없습니다 ㅎㅎ
공기청정기와 정수기 개발을 위해 아는 상식을 가지고 얘기했을 뿐입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