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유시민 이사장”국가균형발전 강제적 수단만으론 어려워..과제가 남았다”
게시물ID : sisa_1156386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인력거꾼김첨지
추천 : 2
조회수 : 964회
댓글수 : 3개
등록시간 : 2020/05/07 21:56:09
유시민 이사장:생활 SOC복합화 사업,지역 거점 국립대
                     활성화 등이 예시인데 강제적인 국가균형
                     정책의 시행을 기반으로 더 나아가기 위한
                     조치를 해야한다.
                     수도 과밀화 현상은 국토 넓이로 보면 
                     (서울은) 10% 조금 넘는 정도인데 거기에
                     인구 절반이 살고 있다.
                     이것은 정부 수립 후 70년 동안 수도권
                     집중 현상의 결과이다.
                     시급하게 추가적인 대책을 강구하고
                     정책을 도입하면 역전은 어렵겠지만
                     현재의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인구균형을
                     반반씩이라도 유지할 수 있겠다는 
                     조심스러운 희망을 가지고 있다.

송재호 전 국가균형발전위원장:국가균형발전은 시급수준이
                                            아닌 심폐소생술을 해야할 
                                           수준이다. 2,30년에 280개
                                          시,군이 문을 닫아야 할 것 
                                          같은 심각한 생각이 들었고
                                          결국 사회통합과 국민통합을
                                          저해할 것이다.

 김사열 국가균형발전위원장:국가균형발전은 정치공학
                                  너머의 문제.민간이 자발적으로
                                지방으로 이전할 수 있는 환경으로
                               바꿔갈 때 정치적으로 많은 결단
                               이나 도움이 필요하다.
  
  이춘희 세종시장:국민 공감대 형성 차원에서 시민사회의 
              역할이 굉장히 중요하다.국가균형발전과
          지방분권에도 관심을 쏟을 수 있도록           
          제도적 역할을 많이 해주셔야 한다.  

유시민 이사장: 노무현 전 대통령님께서는 재임기간 내내                         
사회통합을 추구.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국가균형발전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 하셨다.               
수도권 과밀 현상을 해소하고 지방활력을 북돋는 게
지방만을 위한 일이 아닌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사회통합,국민통합을 이루는 열쇠라고 여기신                 
노무현 전 대통령님의 정책적 판단과 열망이다.
지방 혁신도시들이 그 지역의 성장의 거점이 돼                 
지역사회의 더 높은 발전을 선도해낼 수 있도록                 
문재인 정부가 최선의 노력을 다해나가리라 믿는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