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어제(20일) 전교조 법외노조 취소소송에 대한 대법관들의 시각
게시물ID : sisa_1156905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인력거꾼김첨지
추천 : 1
조회수 : 513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20/05/21 01:26:34
이기택:행정조치를 할 수 있는 권한이 정부에게 있는데
          그런데 말이야.지금 조치를 하는 것이 정당하고
          필요해? 내 생각으로는 말이야 좀 더 시간적
          여유를 두고 유보를 한 채로 상황에 대해
          나은가에 대해 여러가지 고려할 수 있지 않나 
          생각해?           
          노동부야 법외노조 효력을 유지하는 것이 정부의 
          올바른 태도야? 통보의 효력을 취소하거나 철회
          하는 방법으로 효력을 없앤 다음 법률 개정 추이나
          여론을 봐가면서 후속조치를 검토하는 방법으로
          원만하게 해결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아.
  
서규영(노동부 측):(전교조에게) ‘노조 아님’통보를 할 때와
                        지금은 대통령도 다르고 정치적변화가 있어.
                       (법외노조에 대한)처분이 있었고 아직 입법이
                      안된 상황에서(노동부가)입법을 예상하고
                     미리 선제적 조치를 해서 시도할 수 있으나
                      부담스러워.

신인수(전교조 측): 하나의 정부가 두 행동을 할 수 있을지
                       의문이야.현정부 안을 보더라도 법외노조
                      처분이 무리하다는 것처럼 보여.

김상환: (전교조 법외노조의 근거가 된)노조법 시행령
            그 자체 명확성의 원칙에 위반된다고 생각해.
            다시 말해서 기본권을 제한하는 법은 명확하게
            규정해야 하는 것이라는 거지.
           (노조법)시행령 조항 자체가 명확성의 원칙에
           반하였나 혹은 조항이 분명 노조의 단결권 문제와
           관련돼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결권에 대한 섬세한
           고려가 충분치 않았던 게 아닌가 생각해 볼 필요가
           있어.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