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레토 법칙이라고 하기도 하고 개미이론이라고도 합니다. 1987년 이탈리아의 경제학자
빌 프레도 파레토에 의해 발표된 학설이고 경제를 설명하기 위한 용어로 사용되기도 하며
20:80의 법칙이라고도 합니다. 개미의 생활을 유심히 관찰해 봤더니 20%의 개미들만이
중요한 일을 하며 80%의 개미는 우왕좌왕하거나 뻘짓을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20%의
개미들이나 80%의 개미들을 따로 모아 봤더니 그 개미들의 행동 역시 20:80의 비율로 회
귀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걸 원인의 20%가 결과의 80%를 좌우한다 라고 풀기도 하여
기업의 마케팅 전략에 사용하기도 합니다. 20%를 따로 분류하고 집중관리 하여 더 많은 수
익을 내보자 하는 것이죠.
저는 조금 다른 각도에서 바라보고자 합니다. 그리고 이것은 개인적인 생각이고 추정일 뿐
일수도 있으니 그냥 저런 사람도 있구나 하고 생각해 주셨으면 합니다. 우선 리더와 리딩
의 효율성에 대한 이야기로 연관지어 보겠습니다. 리더가 필요하거나 필요하지 않거나 하
는 논지는 배제하고 싶습니다. 리더의 선출은 현실적으로 어떤 집단에 있어서 개인의 의지
를 국가나 사회에 반영시킬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서 거의
모든 사람들이 리더를 통해서 의사를 반영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는 것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중구난방할 뿐이겠지요. 또한 사람이 모이는 곳은 어디든지 그 집단이 크고
작든 리딩이 이루어지지 않는 곳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둘만되어도 사람들 생각이 각자 다
르거든요. 때문에 문제해결에 있어서 적절한 리딩이 이루어지는 것이 반대의 경우보다 압
도적으로 효율성이 좋다고 봅니다. 즉, 리딩의 효율성과 같은 체행적인 믿음 때문에 리더
는 필요할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그리고 저는 이러한 리딩(의사)구조의 체계들이 20:80
법칙을 인간과 개미에게 동일하게 적용시킬 수 있는 바탕원리는 아닐까 하고 생각합니다.
정당한 절차대로 이미 차지한 권리를 기득권이라고 합니다만 실제로는 대부분 좋지 않은
의미로 사용하지요. 아마도 기득권이 항상 소수로만 존재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아니 소
수인 놈들이 왜 항상 더 많은 힘을 갖고 그걸 행사하는 거냐' 며 많은 이들의 화를 치밀어
오르게 만들죠. 그러나 앞 문단에서 이야기 했던 리딩구조와 연관지어 생각해보면 상당히
모순적 입니다. 다수가 효율성을 가지기 위한 구조가 소수의 기득권으로 귀결됨은 참 아
이러니 한거죠. 그래서 저는 기득권이란 말을 20:80 법칙의 다른말 이라고 하고 싶습니다.
현존하는 어떤 인류의 역사도 기득권의 법칙을 피해가지 못했다고 생각합니다. 단, 인간만
이 다른것인지는 정확히 모르겠으나 최소한 다른종에 비해 인간은 기득권의 법칙을 더욱
치열하게 회전시킨다고는 확신합니다. 그리고 그것은 소수의 기득권이 20:80의 법칙을 더
욱 불합리하게 만드려고 할때 다수에게 볼공평에 저항이란 각인으로부터 나타난다고 생각
합니다. 저는 이런 것이 인류 발전이 일어나는 근본 원리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기득권이란
의미가 부의 편중에만 있다고도 생각지 않습니다. 물질적 가치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
람이 많은 현대에서 돈의 가치에 더 무게를 둘 뿐입니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등 어디에건,
말이나 글 생각등 어디에도 적용되는 인간 본연의 속성이라고 생각합니다.
기득권의 법칙을 따르지 않으면서도 발전을 이룰 수 있는 방법을 찾지 못하는 한 인간은 전
쟁에 의한 생멸의 순환역사를 피해갈 수 없을 것입니다. 제 눈에는 그것이 모든 사람이 전
부 스스로 부처가 되는것 만큼이나 그 길이 도무지 보이지 않습니다. 인간 스스로 과함을
깨닫고 욕심을 내려놓을 수 있는 방법은 도무지 없는 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