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신간『한국전쟁에서 싸운 일본인』을 소개합니다
게시물ID : freeboard_200717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닐즈
추천 : 3
조회수 : 701회
댓글수 : 2개
등록시간 : 2023/05/14 14:56:34

한국전쟁 일본인3.png

 


한국전쟁 정전 70주년을 앞두고 출간된 <한국전쟁에서 싸운 일본인>은

일본 정부에 의해 존재가 부정된 일본인들의 죽음과 삶을 다루고,

민간인과 군대, 국가, 그리고 일본의 평화 헌법과의 관계를 탐구합니다.

 

img_7_1683900099567.jpg

 

“히라쓰카 시게하루는 1950년 9월 4일 경 한국의 ‘성벽으로 둘러싸인 마을’이란 장소에서 전사했음.”

-미 육군 수사 증명서-

한국전쟁 중인 1950년 9월 4일, 대구 근교의 가산에서 ‘네오’라 불렸던 남성이 전사했습니다. 그 이름은 히라쓰카 시게하루, 일본인이었습니다.

 

 
2023051223515981272.png

 

 

 

 
 

 

한국전쟁 중에 일본인 70명이 전투에 참가했다는 사실이 미군의 TOP SECRET, 즉 일급 비밀이 공개되면서 밝혀졌습니다. 이들은 미군과 동행하면서 실탄을 지급받아 직접 북한군 및 중국군과 교전하기까지 했죠. 그러나 이후 미군 당국은 오히려 일본인 요원들을 엄중히 심문했고, 그들의 존재와 활동을 극비에 부치는 등 사실을 은폐했습니다.

 

img_5_1683900095136.jpg

 

 

그 과정에서 1,033쪽에 달하는 방대한 분량의 일급 비밀(TOP SECRET) 문서가 작성되었는데, 기밀에서 해제된 후 일본계 호주인 교수가 최근에 그 존재를 파악하였다. 해당 교수와 접촉한 NHK 보도국의 후지와라 가즈키(藤原和樹)는 이 문서를 바탕으로 생존한 일본인 요원 또는 유가족들을 취재하였다. 그에 따라 70명의 일본인들은 누구였고, 어떻게 한반도로 들어왔으며, 무슨 임무를 맡았는지, 또한 전투원으로 참여했음에도 불구하고 도리어 심문까지 받고 수십 년간 실상마저 감춰진 이유가 비로소 밝혀지게 됩니다.

 

-


img_8_1683900104067.jpg

 

 

 

 

·일관계의 가장 불편하고도 복잡한 역사

일본인들이 한국전쟁에서 미군을 도와 직접 전투에 나섰다는 사실은 일본에서나 한국에서나 어느 쪽에서도 환영받지 못한다. 태평양전쟁으로 패망한 일본인들에게 한국전쟁은 ‘조선 특수(朝鮮特需)’라 불리는 전후 부흥 서사의 시작이자 일부였다. 그들은 경제 부흥으로 번영과 안정을 누리는 가운데, 전쟁을 일으키거나 개입하지 않겠다는 ‘평화헌법’을 자랑하고 있었다. 그런 일본인들에게 자국 출신 요원의 한국전쟁 참가는 불편한 사실이다. 이는 일본이 ‘평화헌법’ 체제의 이면에서 이미 전쟁에 직접적으로 관여했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img_11_1683900118823.jpg

 

 

 

 

또한, 광복 이후 오늘날까지도 일제 강점기의 개인적, 집단적 기억이 지속되고 있는 한국인들에게, 한국전쟁의 기억은 국군과 유엔군의 분전에 주목하는 견해, 아니면 동족 상잔에 주목하는 견해로 양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여건에서 일본인 요원들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어렵다. 그것이 한국전쟁을 둘러싼 주요 논쟁으로부터 동떨어져 있기 때문만은 아닐 것이다. 민족주의적인 입장에서 볼 때 일본인들은 그저 한국전쟁을 이용하기만 했을 뿐이어야 하며, ‘희생’되기까지 했다는 것은 한국전쟁의 ‘숭고하거나’ 혹은 ‘가슴아픈’ 서사를 ‘더럽히는’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인들이 한국전쟁의 지상전에 참가했다는 사실은 오늘날의 우리에게 의미를 지닐 수 있다. 이들 일본인을 바라보는 관점을 정립하기도, 그에 따른 평가를 내리기도 곤란하지만, 그것이 바로 한·일관계의 복잡함을 상징하는 것은 아닐까?

img_9_1683900109285.jpg

 

 

 

이것은 우리의 미래가 될지도 모른다

일본인들의 한국전쟁 참가는 전후 일본 정부가 미군의 점령 상태에 놓인 가운데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있었던 상황에서 이루어졌다. 그와 같은 구조는 이제 한국과 미국의 관계에서 재현되고 있다.

오늘날 한국은 미국과 상호방위조약을 체결하고 한반도 위기에 대응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제는 한국이 인도·태평양에서의 미국 패권 동요에 대응하는 국면으로 전환되고 있다.

 

img_10_1683900113761.jpg

 

한국은 세계 최대 규모의 해외 미군 기지가 위치한 가운데, 우크라이나 전쟁의 장기화 및 타이완 해협 위기의 심화 속에서 군사적 역할을 요구받고 있다. 과연 한국은 미국의 전쟁 수행에 협력하게 될 것이며, 그 때 시민들 개개인의 삶은 어떻게 될 것인가? 그리고 그 때 한국은 자신들이 참전하게 될지도 모르는 전쟁에서 각국 정부 및 시민들 개개인과 어떤 관계를 형성하게 될 것인가. 한국전쟁 시기 미국과 일본의 관계, 그 사이에 운명을 내던졌던 일본인들의 삶은 어쩌면 우리의 미래가 될지도 모른다.

img_3_1683900090251.jpg



출처 http://somyong.co.kr/bbs/product-view.php?pmode=view&idx=418&cat_no=7&offset=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