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 : 대한민국은 뒤늦게 민주주의를 시작했고 굉장히 빠르게 귀족정체, 공명정체, 과두정체, 민주정체를 지나 폭군정체로 접어들뻔했다. 모두를 위한 한명의 영웅, 내지는 자신만을 위한 독재자.. 다 예상한 바였고 그랬기에 민주주의에 대한 믿음을 갖지 않았다. 다만 한가지가 달랐다. 대한민국엔 수없이 많은 깨어 있는 시민들과 이 시민들의 조직된 힘이 있었다, 이를 위한 수많은 과거의 희생이 있었다. 민주주의에 대한 내 생각이 틀렸다는건 이미 입증되었다. 얼마나 더 틀릴지에대한 앞으로만 남았고, 이를 지켜보는 것은 즐겁다. 민주주의가 인류에 처음으로 등장한지 2500년이 흘렀고, 대한민국은 70년의 짧은 민주주의 경험으로 그동안 인류에 단 한번도 없던, 아직 단어적 정의조차 이뤄지지 않은 새로운 민주주의의 태동기를 시작했다.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는 매분 매초 진화하느라 스스로 무슨 일을 해내고 있는지 느끼지 못하지만, 세상은 조용히 지켜본다. 민주주의의 불길은 그렇게 누군가에겐 공포로, 다른 누군가에겐 희망으로 번진다. 인류가 이타적 공존을 위한 더 높은 의식수준으로 넘어가기위한 분기점이 이렇듯 말도 안되게 작은 나라에서 일어나고있다. 그리고 이는 또 더 작은 불씨에서부터 시작되었다. A single spark. 1970년, 한명의 의인이 시작한 민주주의의 불길은 그렇게 시대를 넘어 대한민국 전체를 뒤덮는 촛불의 바다가 되었고, 이는 다시 가장 소중한 불빛으로 돌아와 전파를 타고 세계 곳곳으로 퍼진다.
세상은 숨죽이며 지켜본다. 아직 그들처럼 거리로 나가 세상을 바꿀 용기는 없기에 기다린다. 희망을 품고 이 서사시의 끝을 응원하는 마음으로 지켜본다.
기레기와 2찍과 토착왜구와 자본가의 조합이 우리만 있는게 아닌 보편적인 현상이네요. 이 짧은 시간에 높은 시민의식이 형성된 게 이례적인 현상이고 유서깊은 역사와 문화의 힘인 것 같네요. 따지고 보면 처음이 아니죠. 나라를 팔아먹은 자들과 독립 선언을 이룬 사람들이 아직도 끊임없이 싸우고 있는 나라.
솔직하게 이야기하면 기습적인 친위쿠데타는 실패할 확률이 현저히 낮습니다 군대에서 대놓고 거절하면 모를까 실제로 국회로 출동까지 했는데 실패했다는건 더더욱 기적같은 일이죠 아무래도 단합된 민주시민들의 힘과 그동안의 교육으로 인해 군인들의 행동의 변화가 온 점 민주당 국회의원들의 발빠른 대처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실패한 가장 큰 원인은 윤석열이 멍청한 것도 큰 몫을 합니다 만약 주말에 일어났다면 성공했을거라고 총수나 유작가님도 이야기하잖아요 날짜도 잘못잡았고요 그냥 전체적으로 어설프기도 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