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반구대암각화이야기 3 (문명의 변천)
게시물ID : history_80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Oryza_sativa
추천 : 10
조회수 : 515회
댓글수 : 4개
등록시간 : 2011/04/18 21:17:59
앞선 2편을 통해 반구대암각화의 발견과 구성에 대해 짧게 알아봤습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암각화에 담겨있는 정보를 분석하도록 하겠습니다.

위에 있는 사진은 중앙박물관 선사시대관 앞에 있는 반구대암각화 판넬입니다.
흐릿한 부분은 생략하구  흰색으로 채색되어있는 그림만 가지고 오늘 이야기를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바로 전 게시물에서 언급했듯이 암각화에는 주로 고래와 육상동물이 조각되어있습니다.
그런데 고래와 육상동물의 표현방법이 사뭇 다릅니다. 
고래등을 바위표면을 골고루 문질러서 조각을 하였고,
육상동물은 날카로운 도구로 긁어서 조각을 하였습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정보는 
1. 고래를 표현한 예술가들은 돌을 이용하여 오랜시간 암벽에 달라붙어서
  죽어라~~~ 문질르는 노가다 방법을 이용했다는 것이고 
2. 육상동물을 조각한 예술가들은 날카로운 도구(적어도 돌 보다는 강도가 강한)로 
  암벽을 열심히 긁었다는 겁니다.
3. 이를 통해 고래를 조각한 노가다 예술꾼들은 육상동물을 조각한 예술가보다 
  더 원시적인 도구로, 지극히 원시적인 방법으로, 남아도는 시간을 적극 활용하여
  정말~~ 아주~~ 죽어라~~~ 열심히~~ 그 많은 고래를 오로지 돌을 열심히 비벼 조각을 했고
  육상생물을 조각한 예술가들은 좀더 고차원적인 도구로 돌로 표현한 예술가보다 쉽고 
  수월하게 작품을 만들었다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단순히 예술기법을 통해서도 고래와 육상동물 조각가들의 차이가 확연히 갈립니다.
그리고 약간의 사고를 통하면, 아~~~ 과연 누가 먼저 이 암벽에다가 조각을 했는지 생각할수있습니다.

그렇습니다~~!! 노가다로 고래를 조각한 사람들이 이 암벽의 원주인인 것입니다.~!!!!
이들은 신석기인들로 암벽에 조각을 할 수 있는 방법은 암벽보다 단단한 돌을 이용하는 방법뿐이
다른 더 좋은 방법을 찾을 수 없었지요,, 
이에 비해 육상동물을 조각한 사람들은 돌보다 단단한 즉, 청동기 도구를 이용하여 암벽에
예술작품을 표현할 수 있었죠~~

반구대암각화는 이처럼 신석기~청동기의 각기 다른 시대 사람들의 예술품을 담고 있습니다.

신석기인들이 처음 반구대암각화를 발견했을때는 정말이지 평평한 암벽에 불과했습니다.
그들은 여기에다 자신들의 생활과 밀접히 관련이 되어있던 
'고래잡이'의 (여러분이 상상하는 그 고래가 아님을 유의) 성공적인 기원과
사냥의 축복을 위하여 주술의 의미를 담아 열심히 고래를 조각을 하였던 것이고

이들 신석기인들의 후에 이 지역에 이주한 청동기인들은
고래가 잔뜩 조각된 암벽을 발견하게 됩니다. 
그런데 여기서 주의할 것은 이들 청동기인들은 이들보다 앞서서 이 암벽에 조각을 한
신석기인들의 작품을 '파괴'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신석기인들의 고래는 온통 명당을 차지 하고 있었는데도 말이죠
이들은 고래가 조각되어 있지 않은 구석탱이, 빈 공간, 여백을 적절히 활용하여
자신들의 삶과 연관되어있는 수많은 동물들을 조각하기 시작합니다.
신석기인들의 유기적이고 조직적인 작품을 만들 공간이 부족해서였는지 몰라도
이들의 조각은 주술적 의미보단 오히려 더 예술쪽으로 관련이 깊습니다.

아마도 청동기인들이 울산으로 왔을 땐, 고래사냥꾼들은 없었나 봅니다.
만일 있었다면 청동기인들이 몰아내고 이 지역을 장악했겠죠,
그들이 몰아낸 신석기인들의 기원을 담은 주술적의미가 강한 암각화를 가만두지 않았을겁니다.

그러므로 청동기인들은 신석기인들이 떠난 이후에 이지역에 정착한듯 합니다.
그리고 그들은 암각화를 보고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사람들이었습니다.
아~~~ 우리 보다 앞에 살았던 선조들의 기원이 담긴 작품이구나.
가능하면 우리도 꼽사리껴야지~~ 이런 마음가짐으로 그들의 암각화를 남겼을 껍니다.

그래서 반구대암각화에는
신석기~청동기로 이어지는 문명의 기록과, 문물의 발전, 
울산지역의 역사시대 이전의 사람들의 삶이 기록되어있게된겁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