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ioc 와 di 관련 질문드립니다.
게시물ID : programmer_15814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멘붕과학생
추천 : 0
조회수 : 387회
댓글수 : 3개
등록시간 : 2016/02/14 23:56:10
옵션
  • 베스트금지
  • 본인삭제금지
최근 spring을 공부시작한 학생입니다..

공부도중 ioc (제어의 역전) 와 di(의존성주입) 에 관한 글을 보다가 이해가 가지 않은 부분이 있어 질문글을 남깁니다.

우선 제가 대략적으로 알고있는 개념에대해 적어 봅니다.

ioc 란 제어의 역전 으로 

기존의 경우 main 에서 사용되는 object 가 능동적으로 자신의 일을 주도 했다면

ioc 는 제3의 존재(ex 서블릿 컨테이너 / spring 컨테이너<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에 의해 수동적으로 실행되는것을 의미. 

>> 컨테이너 같은 존재가 객체의 생명주기나 관계 등을 설정하여 관리하는 것을 의미 한다 정로도 알고있습니다 

--  사실 이부분도 와 닿지 않지만 이해 해보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


di 란 ioc 의 구현 방법중 하나로, 의존성 주입으로 객체간의 의존성 주입을 뜻한다 .
(DL도 잇으나 DI도 이해가 안가서 ..)
모듈간의 관계를 interface 를 통해 느슨하게 만든후 , 객체간의 의존관계를 맺어주는 것을 의미 (?)


>>  이 부분이 전혀 이해가 안가네요 .. 객체간의 의존관계(런타임시의 의존관계)를 맺어준다는 말이 ... 
예제를 봣는데 제가 개념이 없어서 인지 이해가 안가네여 ...

잘못 생각하는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시고 , DI 에 대해 쉽게 정리된게 있으면 알려주세요 ㅠㅠ 부탁그림니다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