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4일 MB정권의 '고환율 저금리'가 물가폭등의 주범이란 비판에 대해 "이미지가 처음에 어떻게 그렇게 됐는지 모르겠지만 (정부의 정책이) 수출대기업에 유리하게 한 게 아니다"라고 강변했다. 김대기 청와대 경제수석은 이날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금리가 제일 낮을 때가 재작년인데 2.0%까지 내렸다가 지금 3.5%까지 올렸다. G20 국가 중 1.5%씩이나 올린 나라가 있는지 확인해 보라"고 주장하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나 현행 한은 기준금리가 지난해 4% 물가상승률보다 낮아 물가를 안정시키는 데 실패했다는 점은 논외로 치더라도, 청와대 경제수장이라는 김 수석은 현행 금리조차 모르고 있음을 스스로 드러냈다. 현행 기준금리는 김 수석이 말한 3.5%가 아니라 3.25%이다. 또한 김 수석은 G20 국가중 우리나라처럼 금리를 많이 올린 나라가 없다고 주장했으나 호주는 G20 국가중 가장 먼저 금리를 인상하기 시작해 1.75%포인트나 올렸다. 우리나라보다 0.5%포인트나 더 올린 것. 김 수석은 더 나아가 강만수·최중경 등이 노골적으로 주창해온 고환율정책에 대해서도 "환율에 대해선 왈가왈부하는게 있지만 지난해 같은 경우를 보면 정부가 환율안정을 위해 얼마나 노력을 했나"라고 강변했다. 그는 더 나아가 "팩트로서 그렇지 않나"라며 "어제 기획재정부 업무보고를 보니까, 기재부 기자들이 뽑은 제일 좋은 정책이 환율 쪽이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는 이명박 대통령이 전날 '물가관리 책임실명제'에 대한 관치경제 비판에 대해서도 "통제와는 관계가 없다"며 "전혀 컨트롤 될 수 없는 품목은 제외하고, 할당관세나 수급조절이 가능한 그런 쪽에서 실명제를 운영하게 된다"고 파문 진화에 부심했다. 그는 "실명제가 과거의 가격통제 개념이 아니고 각 부처가 책임을 지고 대책을 세웠으면 제대로 이뤄지도록 하라는 취지"라며 "오해가 없었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MB물가 관리 실패에 대해서도 "많은 노력을 했는데 국제유가나 원자재값 상승, 이상기온으로 인한 농산물 가격상승 등으로 정부가 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통계를 보니, MB물가를 2008년 3월에 시작했는데 작년 12월까지를 보면 이 기간 중 소비자 물가는 12.9% 올랐고, MB물가는 이보다 조금 적은 11.5% 올랐다. 이는 정부가 잘했다는 자랑이 아니라 팩트가 그렇다는 것"이라며 물가 관리에 실패하지 않았음을 강조했다.
http://www.viewsnnews.com/article/view.jsp?seq=82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