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현직 자전거 업계 종사자입니다.(2)
게시물ID : bicycle2_16137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아임유어파더
추천 : 14
조회수 : 1785회
댓글수 : 54개
등록시간 : 2013/11/06 23:23:52


현직 자전거 업계 종사자입니다.

2005년 자전거 입문.

2009년 자전거 업계 일 시작.

2010년 tdk 스테이지 3위.

2011~12년 철인3종 대회 스탭 및 부스 참관.

2013년 현재 수입사 자전거 AS담당 근무.

 

질문받습니다.



라이딩, 정비, 철인3종(트라이애슬론) 관련 질문등 제가 아는 범위내에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ex.XX만원대 자전거 뭐가좋아요? 등의 질문은 

해당 가격대의 모델들을 전부 알고 있는것이 아니기 때문에 답변이 어렵습니다.

단 링크등을 통해 몇가지 모델중 택1을 한다거나 하시면 도움을 드릴 수 있을것 같습니다.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민s
2013-11-06 23:30:36추천 41
여자친구있으신가요?
댓글 0개 ▲
2013-11-06 23:33:27추천 19
있으면 여기서 이러고 있을리가 업ㅂ.... ㅜㅜ
댓글 0개 ▲
2013-11-06 23:34:46추천 0
각 프레임 메이커의 최상급 모델들 사이에 성능차이가 체감될 정도로 난다고 생각하시나요..?
물론 같은 컨셉으로 나온 것들끼리 비교해서... (타막vs알타미라, 벤지vsSST 등)
혹시 주변 초고수나 엘리트 선수들 중에 얘는 다른 최상급이랑 비교해도 정말 좋은거 같다 라는 평이 있었던 프레임 같은게 있는지..?

그리고 휠에 대해서도 같은 질문을 드려보고 싶네요..

뭐가 좋다 안좋다 하는데 저같은 주말 취미 라이더들은 사실 뭘타도 체감이 안되길래..
댓글 0개 ▲
2013-11-06 23:42:44추천 2
무릎환자 //
이건 주관적인 견해가 들어갈 수 밖에 없는 부분이니 이해를 부탁드리고 답변 달께요.
성능차이라기 보다는 개개인에게 맞는 타입의 자전거가 있는것 같습니다. 탄력이 좋은 프레임, 강성이 야무진 프레임 등등
첫째로는 본인의 성향에 의해 결정되어지는것 같습니다.
성능 차이라기보단 성향 차이라고 봅니다 개인적으로는.

휠셋같은 경우는 간단히 1단계(저렴) 10단계(고가) 의 휠셋이 있다고 가정했을때
1~2단계 상승으로는 크게 체감하기가 어렵고 3~4단계씩 뛰어올라야 체감이 확 옵니다.
휠셋은 다운그레이드시에 제일 체감이 좋아요. \'아.. 전에 타던게 좋은거였구나... \'하는거죠

조금 더 빨라지고 싶으시면 타이어, 휠셋을 바꾸는게 1번일 정도로 체감은 분명히 됩니다.
댓글 0개 ▲
민s
2013-11-07 00:01:32추천 0
자전거 뱃살빠지나요....?!따로 운동해야 하나요?? 감량목표면 하루 몇시간 혹은 몇키로 정도 타야할까요??
댓글 0개 ▲
2013-11-07 00:02:34추천 0
자전거 타시면서 낙차 한건 몇번이나 돼시나요..??  자빠링말고 병원가야됄정도로 다친적이요..

입문 1년도 안됐는데  낙차2번이나하고 강제시즌오프가 3달이네요..
댓글 0개 ▲
2013-11-07 00:06:42추천 0
민s //
물론 뱃살은 빠집니다. 하루 몇시간 몇키로 보다는 강도가 중요할듯 합니다.
주변의 사례로 봤을때 정상체중 이상일때 정상체중의 궤도 내로 들어오는정도는 도움을 주지만
확실한 감량을 원하시면 런이나 헬스를 추천해드려요.
(물론 정말 빡시게 타면 감량은 당연히 됩니다.)
댓글 0개 ▲
2013-11-07 00:07:44추천 0
아스나♥ //
1번이요.
속도 0, 제자리에서 넘어졌는데 좋지 않은 부위를 다쳤는지 그대로 인대가 끊어진적이 있네요.
댓글 0개 ▲
민s
2013-11-07 00:10:50추천 0
업힐이 도움이 될까요 평지 스프린터가 도움이될까요 ㅠㅠ
댓글 0개 ▲
2013-11-07 00:13:06추천 0
현재 중학생이 자전거로 진로로 결정한다면  어떠한 말씀을 하실껀가요??
댓글 0개 ▲
2013-11-07 00:15:28추천 0
하이브리드에서 평속20-25 왔다갔다거리는데

소라급으로 올리면 30찍을수있을까요?

아니면 클라리스 급으로도 가능할까요?


물론 제 다리엔진은 비루합니다만...
댓글 0개 ▲
2013-11-07 00:25:50추천 0
민s //
어느 쪽이든 강도가 쎈 쪽이겠죠...

아스나♥ //
진로에 관해선 덧글란에 적기엔 너무나 모자라기 때문에 간단히 얘기할께요...
선수 or 정비 두가지 중 선수라고 가정을 했을때 현재의 신체수준을 아는 주변의 사람분들에게 도움을 받아보세요.
주변에 선수출신도 있고 선수도 있고 강습받던 학생도 있고 했었지만
단순히 자전거 타는것이 좋아서 선수를 꿈꾼다면 말리고 싶네요. 물론 아스나님을 잘 알진 못하기에 일반적인 대답입니다.

벚꽃밑자전거 //
하이브리드 -> 사이클로 온다는게 중요한거에요.
소라냐 클라리스냐는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
댓글 0개 ▲
2013-11-07 00:29:01추천 0
한번에 105급으로가라는 말이 많아서 고민되네요..

답변감사합니다ㅎㅎ
댓글 0개 ▲
2013-11-07 00:34:37추천 2
벚꽃밑자전거 //
경제적 사정에 따라 갈리겠지만
어느정도 경제적인 여유가 있고 취미생활에 투자를 할 직장인이시라면 카본프레임 + 105 or 울테크라 조합정도를 끝판으로 추천해드리고
학생이나 경제적인 여유가 많지 않으신 경우라면 알루미늄 + 105 조합을 추천해드립니다.

물론 105냐 소라냐 속도면에서 이점은 크진 않지만 제품의 완성도와 상급등급이 들어갈수록 헤드셋, 브레이크등의 여러 파츠들이
더 고급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만족도가 높아질 수 밖에 없어요.
댓글 0개 ▲
2013-11-07 00:37:06추천 0
키가 185cm에.. 다리가 좀 긴편인데..

제대하고 나서 로드를 살지 하이브리드를 살지.. 고민인데.. 가격대는 약 6~70정도 하구용..

제가 약간 좀 험하게 타는 스타일이라.. 엠티비까지는 필요없을것같은데...

로드 바퀴보다 하이브리드 바퀴가 더 두꺼운가요..? 그리고 로드에 하이브리드 바퀴를 장착할수 있는지 궁금하네요...
댓글 0개 ▲
2013-11-07 00:38:01추천 0
1 실업팀과 프로팀(?) 의 차이점이 뭔지 제대로 알고싶습니다

근처에 실업팀이있어서 한번 같이 대회나갈 기회가있었는데 낙차때문에 그러질못했기에..
실업팀에 껴서  대회같은거 나가면  나중에 도움이됄까요??
댓글 0개 ▲
민s
2013-11-07 00:39:27추천 0
쓸대없는 질문에 정성들인 답변 감사합니다 정말로요^^ 요즘 살빼라고 주위에서 갈굼이 점점 심해져서 고민이였습니다. 짧은 강도인 업힐이 낫겠네요 저는 ㄷㄷ 다시한번 감사드려요^^
댓글 0개 ▲
2013-11-07 00:43:46추천 0
업힐게이 //
아직 만져보진 않아 완성도면에서 왈가왈부하긴 어려울것 같고 (물론 평가할 능력도 안되고 어련히 잘 만들었겠지만)
개인적으로 마구라 유압림브레이크라던가 싸이클에 디스크 브레이크 달린 모델들은 좋아하지 않네요. 로드답지 않아서? ^^;

한우불고기 //
하이브리드 개념이라면 일반적으로 엠티비의 포지션에 로드의 타이어 규격(혹은 약간 더 두꺼운) 을 쓰는 모델들인데요.
하이브리드 바퀴의 개념을 700c(지름)에 조금 두꺼운 28c~35c(두께) 정도로 본다면 해당 모델의 타이어 클리어런스 값을 확인해봐야 됩니다.
결국 어떤 모델이냐에 따라 하이브리드 바퀴를 끼느냐 마느냐가 결정되겠네요.
댓글 0개 ▲
2013-11-07 00:46:37추천 0
비앙키랑 피나렐로중 어떤게 더 취향에 맞으세요?

비앙키는 비앙비앙한 감성과 여성적이면서도 남성적인 중성적인 프레임...

피나렐로 역시 감성을 지녔지만 피나렐로의 감성은 남성미, 잘 뻗은 한마리의 근육질의 종마를 보는듯한데..
댓글 0개 ▲
2013-11-07 00:47:25추천 0
아스나♥ //
실업팀이 프로팀이에요.
실업팀에 껴서 대회를 나간다면 친분이 있다는 말인가요?
시합은 큰 의미가 없고 평소 라이딩을 따라간다면 실력향상에 큰 도움이 되겠네요. 물론 따라갈 수 있다면...
진로 상담은 그쪽분들께 하는게 더 도움이 될것 같네요. ^^

민s //
^^
댓글 0개 ▲
2013-11-07 00:50:37추천 0
티제이 //
매우 주관적인 답변입니다.
브랜드로 따지면 비양키를 더 좋아하지만 요즘 나오는 모델 기준으로 피나렐로가 조금 더 끌리네요.
댓글 0개 ▲
2013-11-07 00:50:51추천 0
자전거생산하는 중소기업에 취직하고  싶은데  방법이?
댓글 0개 ▲
2013-11-07 00:51:13추천 0
1 감사합니다 !! 일단은 실력향상보다는  낙차좀 안해야겠어요 ㅎㅎ 아직 나이가어려서그런가 정신줄 잡기가 좀어렵네요 ㅠㅠ
댓글 0개 ▲
2013-11-07 00:51:58추천 0
제가 눈독들인 카본 프래임이요 사고로 다른데는 다 멀쩡한데 앞포크에 구멍이 나서 때운거라던데 타도 괜찮을라나요???
댓글 0개 ▲
2013-11-07 00:53:56추천 0
수어지교 //
이력서와 자소서를 준비해야겠죠?
댓글 0개 ▲
2013-11-07 00:58:46추천 0
그건  다른 회사도  다 준비하는거잖아요?
그거 말고 보다  자세한걸  듣고 싶었는데? T.T
댓글 0개 ▲
2013-11-07 00:59:15추천 0
헤이~호~ //
조금 미묘한데요. 일단 카본프레임의 파손이 있을때 카본수리를 해서 타는 경우도 많고
저 역시 수리한 자전거를 탄적도 있구요.
정말 다 멀쩡하고 앞포크만 수리를 했다고 한다면 크게 문제될 부분은 없습니다.
하지만 판매자의 말대로 다른 부분이 멀쩡한지 아닌지... 판매자의 신뢰 유무에 결정되어지지 않을까 싶네요.
댓글 0개 ▲
2013-11-07 00:59:27추천 0
저도 질문 하나만 할께요^^ 달릴때 크랭크에서 소리가 나는데 왼발 구를때는 소리가 나지 않고 오른발 구를때만 드르륵 비슷한 소리가 나는데 혹시 왜 그런지 궁금합니다. AS 받으러 갈 시간이 영 안나서 혹시 이유를 알면 자가로 정비 할 수 있을까 싶어 질문 드립니다.
댓글 0개 ▲
2013-11-07 01:00:41추천 0
우왕,,,,오일브리딩하고 림정렬만 못배웠는데....특히 림 정렬, 어떻게 하면 짱짱 잘 할 수 있을까요? 이론정도는 알고 있스니다만 꼭 장력측정기가 있어야만 가능한가요?(구매한 샵에서 맡겼더니 정렬대에서 해결하던데 일정 토크라면 장력 여부 관계없이 힘을 잘 받는지 궁금합니다)
댓글 0개 ▲
2013-11-07 01:00:43추천 0
수어지교 //
질문이 디테일한만큼 답변도 디테일해질것 같네요. 뭘 듣고 싶으신가요? ^^
댓글 0개 ▲
2013-11-07 01:01:47추천 0
아 물론 (야)메케미닉 이라 좀 덜 떨어지는 실력입니다
댓글 0개 ▲
2013-11-07 01:06:17추천 0
아기우주 //
실물을 보지 않았고 단순 추측이기 때문에 아닐 가능성도 큽니다.
1. 앞변속기의 세팅 불량
2. 부적절한 기어비의 사용
3. 크랭크가 미세하기 휘어서 돌아가면서 앞변속기와의 간섭음
이 정도가 떠오르는데요 1번의 확률이 제일 크네요.

방랑부랑자 //
림정렬 잘하는 방법은 많이 해보는 방법밖에 없겠네요. 주변에 정비교육도 가끔 했었는데
기계장치에 대한 이해도가 있어야 습득이 빠르더라구요.
가벼운 림정렬의 경우는 장력 측정기가 없더라도 가능합니다.
댓글 0개 ▲
2013-11-07 01:07:00추천 0
우리나라에  외국계 기업  아니면  우리나라기업이 공장이 어디있고.
댓글 0개 ▲
2013-11-07 01:14:49추천 0
수어지교 //
외국계 기업 분류의 기준이 애매하지만 일단 한국에 지사를 두고 들어온 기업은 스페셜라이즈드, 자이언트, 트렉.
우리나라 기업 바이젠, 삼천리, 첼로, 알톤 공장은 중국.
댓글 0개 ▲
2013-11-07 01:21:37추천 0
자전거 생산 시장은.....국내 유통은 바이젠아니면 앵간하면 다 OEM외주라서....

저도 지금 찾아보니 http://sangogi.com/2656680 엠비아이라는 내장기어 만드는 회사가 시마노 상대로 승소했다네요? 축하축하
보통 이런 개발과 부품 납품 업체 빼고는 잘 찾기 힘드실 겁니다. 바이어쪽으로 일하신다면 그냥 자전거 부품 명칭과 케이블의간섭, 재질 등 연구만 하심 될듯?
댓글 0개 ▲
2013-11-07 01:22:18추천 0
아, 나머진 대부분 유통이나 매장관리라는 소리에요 ^^;\';;;;;
댓글 0개 ▲
2013-11-07 02:11:38추천 3
이제 질문도 없고 오늘은 여기까지 할께용.
답변이 영 부실한것 같아 왜하나도 싶네요 ^^;
도움도 안되면서 괜히 깝치는것 같기도 하지만
나중에 시간날때 몇번 더 해보고
영 아니다 싶으면 조용히 잠수탈게요 ㅜㅜ
댓글 0개 ▲
2013-11-07 10:52:43추천 0
어어 궁금한거 있는데 잠수 하셧다 ㅠㅠ
댓글 0개 ▲
2013-11-07 12:44:21추천 0
저도 질문 :
로드 클릿신고 주행 시 무릅을 탑튜브 안쪽으로 넣고 타는 장면을 봤는데요
무릅 발목 엄지발가락을 일자로 놓고 타는게 패달링 하는게 맞는 자세 아닌가요?
그리고 클릿 위치를 어떻게 해야 무릅이 안아플까요? 초반에 무릅에 무리가고 중반 부터는 편하고 한 두시간 타고 내리고 시간이 지나면 통증이 옵니다. ^^;
라고 질문하는데 이미 오래전 잠수를 타셨군요 ㅎㅎㅎㅎ    난 뭘 보고 질문을 적은거지 ㅠㅠ
댓글 0개 ▲
2013-11-07 12:49:12추천 0
Tdk나가셨으면 팀에속되있으신거같은데 어떤경로로 팀에들어가신건지..글구 자전거생활 연혁이라고해야되나 그런게 좀궁금하네요^^  아 저분은 이러이러한 경로로 저위치까지 갔구나 이런생각이들어서요ㅎ
댓글 0개 ▲
2013-11-07 15:17:21추천 0
입문로드 타다 카본 울테로 넘어왔습니다. 신품은 아니지만 신동급 중고로 업어왔는데요

1. 이놈이 앞기어 변속을 하면 잘 먹지도 않고 겨우 올려 놓으면 드르르륵 드르르륵 소리가 납니다.
2. 뒷기어 변속시 부드럽지가 않네요. 친구놈 소라급 뒷기어 변속이 더 부드럽더군요. 이건 제가 페달링을 토크로 많이해서 그런건가요?
3. 중고로 구매를 해서인지 샾에서 제대로 봐주지를 않아서 자가정비를 해보고 싶은데 자전거 가격대가 비싸서 마음대로 만지지도 못하겠네요.

질문은 할게 많은데..이정도로 줄이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댓글 0개 ▲
DAOC
2013-11-07 15:20:05추천 0
자전거 업계에서 AS관련 일을 하려면 어떠한 자격이 있어야 하나요? 자격증이나 이런거루요...
댓글 0개 ▲
2013-11-07 15:23:43추천 0
제가 자전거 타는거 참 좋아하는데 한시간 좀 넘게 타다보면 부랄에(...)피가 안통해요. 팔베고 자면 느껴지는 그감각이 부랄과 회음부에 느껴지는데 너무 무섭더군요.  안장 높이도 나름 조절해 보고 하는데 이건 전문적인 피팅을 받아야 하나요? 아님 살을 좀더 빼야 하나요?
댓글 0개 ▲
2013-11-07 15:24:33추천 0
자전거만 있으면 여자친구가 생기나요??
댓글 0개 ▲
2013-11-07 15:28:13추천 0
자전거 뒤에 커리어 달고 애기 태우려고 하는데요. 그거에 맞는 자전거가 따로 있나요? 아니면 일반 자전거도 다는게 가능한지요?
제 자전거는 TERN 7 입니다. ㅎㅎ 라이트한 자전가 유저라서요. 경제상황이 좀 나아지면 로드로 입문하려고 해요.
캐리어 다는거에 대해서 답변좀 꼭 해주세용!
댓글 0개 ▲
[본인삭제]아니에요
2013-11-07 15:59:46추천 0
댓글 0개 ▲
2013-11-07 16:10:54추천 0
내년봄에 입문하려합니다!  근데 기종 고민중입니당....
xlr2300 vs 에포카e2400 vs gtr5  vs scr2  거의 50~60만원하는데
뭐가좋을까요 ?!  물론13년도기준입니다
댓글 0개 ▲
2013-11-07 16:30:54추천 0
첫댓글이 흥하네요 시작부터 웃고 시작합니다
댓글 0개 ▲
2013-11-07 17:11:52추천 0
여자친구 있으세요?
댓글 0개 ▲
2013-11-07 17:18:40추천 0
같은 t수의 q링으로 바꾸면 어떤점이 좋을까요?
평페달에 달면 효율이 없을까요?
댓글 0개 ▲
2013-11-07 20:02:06추천 0
자전거 사려는데
오프에서 살까요 온라인에서 살까요?
댓글 0개 ▲
2013-11-07 22:50:21추천 0
자전거타는데 생길까요?
댓글 0개 ▲
[본인삭제]고슷트
2013-11-08 08:00:15추천 0
댓글 0개 ▲
2013-11-08 17:17:30추천 0
키 188에 몸무게 90 정도 되는 회사다니는 사람입니다.

50~70정도 되는데 로드 모델 2,3개 추천 부탁드리겠습니다..
댓글 0개 ▲
2013-11-09 12:19:11추천 0
유압식 브레크와 기계식 브레이크의 다른점과 서로 장단점이 있나요?
댓글 0개 ▲
2013-11-17 19:27:26추천 0
20만원대 로드가 있나요?? 있다면 추천좀해주세요
댓글 0개 ▲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