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조선시대 최악의 악덕 기업주 이도(李祹) 대마왕(두번째)
게시물ID : history_1620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애비28호
추천 : 22
조회수 : 2083회
댓글수 : 11개
등록시간 : 2014/06/08 23:46:43
세종 즉위년 부터 가뭄이 심하고 흉년이 심해지다가 세종 4~5년에 최대의 고비가 닥침.
이때 젊은 세종 대왕이 관리들에게 대하여 대마왕으로 변신하여 악덕 기업주가 되어 가는 모습을 잠시 감상함.
세종 4년(1422 임인) 5월 10일, 태상왕(태종 이방원)이 연화방 신궁에서 훙하다.
이제 아버지 태종도 없는 와중인데 흉년은 계속됨.
 
세종 4년(1422 임인) 5월 29일
평안도 박천(博川)·태천(泰川)·가산(嘉山)·정주(定州)에 큰물이 져, 산이 무너지고 백성의 가옥이 떠내려가, 사망자가 많았다. 임금이 곡식을 내려 부조로 구휼하였다. 이떄까지는 늘 있떤 일이었음.
다른점이라면 아버지 태종이 없기 때문에 이제부터는 세종 임금이 혼자서 관리들을 통제해야 함. 초반 기싸움이라고 할까...
 
세종 4년(1422 임인) 6월 28일
이 해 여름에 장마 비가 오래 계속되어, 보리 이삭이 모두 썩고, 오곡의 종자가 많이 싹이 나지 아니하고, 처음에 나온 것도 또한 썩었으며, 산중 고을이 더욱 심하여, 백성들이 풀 열매를 따서 먹고 살고 있다고 함.
좌의정 이원이 계하기를, 강원도 백성들이 굶주린다 하니, 사람을 보내어 알아보소서.”
하니, 임금이 선차(宣差)를 보내어 민간을 살펴보고 굶는 자를 구휼하게 함.
 
세종 16권, 4년(1422 임인) 7월 8일
한양에서도 흉년으로 쌀 값이 뛰어 오름. 
창고에 있는 묵은 쌀을 방매하되, 저화(楮貨) 한 장에 쌀 한 되씩으로 시세를 정해서 대방출함.
 
세종 4년(1422 임인) 7월 9일
여러 도에 기근이 들었는데, 강원도가 더욱 심하였다. 창고가 거의 비어 〈백성을〉 구휼할 수 없고, 떠돌아다니는 자도 또한 금지할 수 없었다. 한마디로 강원도는 통제 불능인 상황임.
임금이 크게 염려하여 경차관(敬差官)을 〈각도에〉 나누어 보냈는데,
호조 정랑 권순(權循)경기도
전농 소윤(典農少尹) 이미(李敉)충청도
박결(朴潔)경상좌도
봉상 주부(奉常主簿) 배남(裵楠)경상우도
한성 소윤(漢城少尹) 이숙치(李叔畤)전라도
주부(主簿) 윤돈(尹敦)평안도
사재 부정(司宰副正) 황보인(皇甫仁)강원도
제용 주부(濟用主簿) 오지생(吳智生)황해도
박전(朴旃)함길도에 보냄.
경차관들이 고을 수령들과 협의 하여 창고를 열어서 구휼하게 하고, 만일 수령으로서 정신차려 고찰하지 아니하여, 백성들을 부황나게 한 자는 3품 이상은 보고하여 논죄하고, 4품 이하는 직접 처단하게 하고, 복명(復命)하는 날에 각각 도내의 기민 수효를 보고하게 함.
러나 젊은 대마왕의 최대 실수가 여기서 발생함. 파견된 경차관들의 직급이 현장의 피조사 대상의 관리보다 낮은 계급이 상당수 존재함. 이로써 제대로 된 조사가 이루어지기가 어려웠음. 나중에 대참사가 발생함.
 
세종 4년(1422 임인년) 8월 5일, 충청도 경차관(敬差官) 이미(李敉)가 계하기를, “본도의 49읍에 굶주리는 백성이 5천 9백 70명.”이러고 보고함.
 
세종 4년(1422 임인) 8월 18일
경기 경차관 권순(權循)이 돌아와 보고 하기를 경기에서 굶주린 읍이 41읍인데, 굶주리는 백성이 1만 8백 60명.
황해도 경차관 오지생(吳智生)이 돌아와 계하기를, 황해도가 24읍인데, 굶주리는 백성이 3천 5백 75명이라 함.
 
세종 4년(1422 임인) 8월 25일
강원도 경차관 황보인(皇甫仁)이 계하기를,
“금년에 올곡식이나 늦곡식이 모두 부실하게 되었으니, 영서(嶺西)의 각 관청에 금년의 공물(貢物)을 모두 감면시킬 것이며, 도내가 조잔(凋殘)한데다가 역리(驛吏)들이 전혀 구제하여 주기만 바라며 생계를 유지하니, 말먹이나 죽 쑤어 줄 것을 내놓으라는 공문은 모두 금지하여야 합니다. 굶주린 백성들이 비록 풀을 먹더라도 반드시 염장(鹽醬)을 먹어야만 부종(浮腫)에 걸리지 않는 것인데, 소금이란 영서(嶺西)에서는 없는 것이니, 청컨대 영동(嶺東)의 관염(官鹽)을 갖다가 영서(嶺西)에 적당하게 배급할 것이며, 피융 잔질(疲癃殘疾)이나 환과 고독(鰥寡孤獨)은 풍년들 때에도 남에게 얻어먹고 사는데, 금년에는 호구(糊口)할 데가 없어서 살아갈 수 없으니, 8월 그믐날까지 구제하여 주게 하소서.”라고 다른 경차관들과는 다르게 후속 조치까지 보고를 올림.
세종 대마왕께서 이런 인물을 나중에 요직으로 등용을 잘하심.
황보인은 세종 대마왕 말년에 좌의정까지 하심.​
 
세종 4년(1422 임인) 9월 9일
평안도 경차관 윤돈(尹惇)이 돌아와 계하기를, “본도(本道) 44읍에 굶주리는 백성이 4만 5백 명입니다.”하였다.
 
세종 4년(1422 임인) 10월 3일, 세종 임금께서 짜증 대폭발 하다.
좌의정 이원강원·평안 두 도에 기근(饑饉)이 더욱 심하여, 혹은 굶어 죽은 사람이 있으니 염려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라고 하니, 임금이 탄식하며,
진제 경차관(賑濟敬差官)들이 모두 말하기를, ‘지금 비록 굶더라도 사망하는 데까지는 이르지 않을 것이다.’ 하더니, 이제 어찌 이와 같단 말이냐. 이는 나를 속인 것이로다. 마땅히 정직한 사람을 보내어 진심껏 순찰하여 구제하되, 만약에 잘 구휼(救恤)하지 못하여, 굶어 죽는 데 이르게 하는 자가 있으면, 엄중히 법으로 징계하겠다. 만약 기근이 정 심하면, 장정들은 다른 지방으로 옮겨서 먹을 것을 얻게 하고, 곡식을 구하여 옮겨다가 늙은이와 어린이에게 주도록 하라.”이거 이제 장난이 아닌것 같음. 그러게 직급이 아주 낮은 경차관이 자기보다 고위직의 현장 실무자들을 쉽세 처벌 할 수 없었던 모양임.
의정부 사인(議政府舍人) 권맹손(權孟孫)강원도에 보내고, 한성 소윤(漢城少尹) 이숙치(李叔畤)평안도에 보내서 다시 조사함.
 
세종 4년(1422 임인) 10월 29일, 짜증 대폭발한 세종 임금께서 이날 부터 매타작이 시작됨.
곽산군(郭山郡)의 백성이 굶어 죽은 일이 있어, 지군사(知郡事) 신홍생(辛鴻生)을 곤장 1백 대를 쳤다.
 
세종 4년(1422 임인) 11월 26일, 중앙과 지방의 죄수들도 굶주림이 없게 하고 동상도 걸리지 않도록 조치를 명함.
세종 5년(1423 계묘) 1월 19일
각도의 진제(賑濟)를 맡은 경차관(敬差官)이 사목(事目)을 아뢰었는데,
“1. 굶주린 백성을 진제(賑濟)하는 조획(條畫)은 각 년(年)의 교지(敎旨)를 상고하여 시행하여야 할 것이며,
1. 경차관이 각 고을에 이르러 먼저 수령들의 감결(甘結)을 취하고 미두(米豆)와 염장(鹽醬)을 가지고 바로 사면(四面)으로 가서 그 굶주림이 심한 사람에게는 즉시 진제(賑濟)할 것이며,
1. 수령들이 만약 경내(境內)의 굶주린 백성을 숨기고 위에 알리지 않는 사람과, 각 면(面)에서 감고(監考)하는 정장(正長)이 인정(人情)의 호오(好惡)에 끌려서 실제로 굶주린 사람을 보고하지 않고 굶주리지도 않는 사람을 도리어 보고하여, 마음을 다하여 백성을 구제하지 않아서 부종(浮瘇)까지 나게 한 자는 모두 형률(刑律)에 의하여 죄를 과(科)하되, 수령과 감고(監考) 3품 이상은 위에 아뢰어 죄를 논단(論斷)하고, 4품 이하는 바로 죄를 결단하게 하며, 그 중에 정상이 더욱 심한 자는 속전(贖錢)을 징수하지 말고 곤장을 치기로 결정할 것이오며,
1. 감사가 순행하는 먼 곳은 경차관이 직접 창고를 열어 진제(賑濟)할 것이오며,
1. 수령이 죄를 범한 자는 공공연히 추핵(推覈)하도록 할 것이오며,
1. 감사는 수령관(首領官)이 능히 백성들을 구휼(救恤)하지 못하면 수령관을 즉시 취조하여 사목(事目)과 같이 할 것을 명하고, 다만 수령과 감고가 정상이 더욱 심한 자는 모두 아뢰어 올리되, 그 중에 조금 경한 자는 혹은 곤장 70대를 치기도 하고, 곤장 60대를 치기도 하고, 태형(笞刑) 50대를 치고, 속전(贖錢)을 받아 죄를 결정하는데 차등이 있는 일은 없앨 것입니다.”
라고 하였다.
당일에 강원도 경차관이조 정랑(吏曹正郞) 박융(朴融)황해도 경차관 병조 정랑(兵曹正郞) 이길배(李吉培)평양·안주도(平壤安州道) 경차관 호군(護軍) 배환(裵桓)의주·삭주도(義州朔州道) 경차관 봉상 판관(奉常判官) 김종서(金宗瑞) 등이 떠났다.
이조나 병조이 정랑​(正郞) 벼슬은 직급으 낮지만 해당 부서의 인사권을 가진 실세직임. 이런 사람들이 파견 되어야 제대로 된 조사가 이루어 질듯.
 
세종 5년(1423 계묘) 1월 28일
백성들에게 식량을 나눠 줄때 규정도 정함.
건장한 남녀 1명에 1일 동안의 식량을 쌀 4홉, 콩 3홉, 장(醬) 1홉
11세부터 15세까지의 남녀는 쌀 2홉, 콩 2홉, 장 반홉
10세부터 5세까지의 남녀는 쌀 2홉, 장 반 홉
 
세종 5년(1423 계묘) 2월 28일, 황해도 파견된 경차관이 계하기를,
“농사 시기를 잃은 수안(遂安)·곡산(谷山)·서흥(瑞興) 등 각 고을의 굶주린 백성들에게 각기 미두(米豆) 합계 4백 8석을 주되, 청컨대 환상(還上)으로 시행하고 추수(秋收) 후에 회수하게 하소서.”라고 보고를 올림.
세종 임금께서 "그거 빌려 줬다가 못갚으면 백성들이 또 도망 다닐꺼 아니냐? 그냥 무료로 줘라." 하고 쿨하게 명하심.
 
세종 5년(1423 계묘) 3월 28일, 문과(文科)의 과거 시험임. 
세종 임금께서 과제(科題)를 내었는데, 
“....<전략> 금년에 수재(水災)와 한재(旱災)가 서로 잇달아 일어나고, 근년에 와서는 흉년이 거듭 들어서, 백성들이 고향을 떠나 흩어지게 되고, 평안도 강원도의 두 도(道)가 더욱 심하니, 이런 일이 오게 된 것은 무슨 까닭인가.
오사(五事)의 실책(失策)이 있었던가. 혹시 교조(敎條)가 사리에 어긋났던가. 혹은 유사(有司)들이 봉행(奉行)할 제 한갓 실속은 없이 형식만 잘 꾸며서 성심으로 백성을 사랑함이 없었던가. 혹시 백성들이 원망이 있는데도 내가 미처 듣지 못했던가.
재이(災異)를 변하여 화기(和氣)를 띠게 하는 그 방법은 무엇인가.
흉년을 구제하는 정사를 강구(講求)하여, 창고를 열어 백성을 구제했는데도 백성이 굶주린 기색을 면하지 못한 것은 어떤 이유인가. 백성들로 하여금 굶주림으로 울면서 호소함이 없게 하고, 들에는 버려둔 송장이 없게 하는 방법은 어디 있을까.
평안도함길도는 야인(野人)과 이웃하여, 여러 번 경보(警報)가 있었으니, 두 도(道)에 저장된 곡식을 만일 흉년 구제하는 데만 다 써 버리면, 뜻밖의 변고가 발생하였을 때 장차 무엇으로 군량(軍糧)을 준비하겠는가.
경(經)에, ‘중(中)과 화(和)를 〈사람으로서〉 다하면 천지(天地)도 그 자리를 정할 것이며, 만물이 양육(養育)된다. ’고 하였으니, 이 도리를 다한다면, 재이(災異)도 소멸될 수 있고, 태화(泰和)한 세상도 기약할 수 있을 것인가. 나의 대부(大夫)들은 경술(經術)에 통달하여, 정치하는 본의 대체를 잘 알아서 말을 할 만한 시기를 기다린 지가 오래되었을 것이니, 마음에 있는 것을 다하여 대답하라. 내가 장차 친히 볼 것이다.”
 
세종 5년(1423 계묘) 6월 6일, 금성 현령(金城縣令) 이훈(李薰), 감고(監考) 김거상(金渠相), 윤생사(尹生巳) 등이 진제(陳濟)를 잘하지 못하여 백성을 굶어 죽게 만들었음. 
현령 이훈(李薰)에게는 속(贖)받지 말고 곤장 90대에 처하고, 나머지는 법대로 곤장 1백대에 처단하라고 명함.
세종 5년(1423 계묘) 6월 8일, 홍천 현감(洪川縣監) 장계로(張季魯)가 백성들을 굶어 죽게 하여 외방으로 귀양 보냄.
곤장을 맞지 않은 이유는 원종 공신의 후예라 하여 감형한 것임.
 
세종 5년(1423 계묘) 6월 9일, 지곡산군수(知谷山郡守) 유순도(庾順道)를 곤장 90대에 처함. 
능히 기민(飢民)을 구제하지 못한 까닭이라함.
 
세종 5년(1423 계묘) 6월 10일, 흉년 때는 주무 부서를 따로 따지지 않음. 모든 공무원이 발벗고 나서야 함.
예조 판서 황희(黃喜)가 임금에게 고하기를, 고양현(高陽縣)에 굶어 죽은 사람이 있다고 하여 승정원 주서(承政院注書) 이극복(李克復)을 명하여 가서 살펴보게 하였더니, 사비(私婢, 사노비임) 모란[牧丹]의 모자(母子) 세 사람이 굶주리어 부종(浮腫)이 났고, 소동(小童) 1명은 굶어 죽었다고 함. 예조에서도 이런 일을 임금에게 직접 알림.
임금이 의금부(義禁府)에 명하여 현감(縣監) 김자경(金資敬)을 추핵(推覈)하여, 곤장 80대에 작렬함.
그런데 세종 임금이 황희를 보니 예조 판서나 시키기가 아까웠던 모양임. 7월 16일에 강원도 도관찰사로 발령 내버림.
물론 황희는 1년 정도 관찰사를 하며 아주아주 훌륭하게 업무를 수행함.​
 
세종 5년(1423 계묘) 6월 15일, 판정주목사(判定州牧使) 진원귀(陳原貴), 지수천군사(知隨川郡事) 김보중(金保重), 정녕 현령(定寧縣令) 김치(金錙) 등이 능히 진제(賑濟)하지 못하여 백성을 굶어 죽게 하였다 하여, 김보중김치는 각각 곤장 90대에 처하고, 진원귀는 외방(外方)으로 귀양 보냄.
 
세종 5년(1423 계묘) 6월 27일, 평산 부사(平山府使) 이중경(李仲卿)이 백성들이 굶주려 부황이 났다 하여, 곤장 60대에 처하고, 직첩은 거두지 말라고 명하다.
 
세종 5년(1423 계묘) 6월 29일, 지용천군사(知龍川郡事) 이희귀(李希貴)가 이 시국에서 사냥질이나 하고 다녔나 봄.
곤장 80대 치다.
 
세종 5년(1423 계묘) 7월 20일, 임강 현감(臨江縣監) 이명의(李明義)가 진제(賑濟)하는 미두(米豆)와 장(醬)을 줄여서 주어, 백성들이 굶주려 죽고 부종(浮腫)이 나게 하였음. 곤장 60대를 치고, 관직은 그대로 두게 하다.
 
세종 5년(1423 계묘) 7월 22일, 관할 구역 따지다가 곤장 1백대 맞다.
나이 12세 된 사내아이가 강동(江東)의 진제장(賑濟場)에 들어왔으나, 굶주렸으므로 인하여 능히 걷지 못하였는데, 담당 관리 고귀승(高貴承)이 관할 구역이 아니라 하여 구료하지 않고 소에 태워 다른 진제장으로 옮겨 보냄. 
그래도 소까지 태워 보냈는데 이게 걸린 모양. 곤장 1백 대 맞음.
 
세종 5년(1423 계묘) 8월 21일, 지창성군사(知昌城郡事) 조진수(趙進修)가 진제(賑濟)하지 못하여, 백성들이 굶주려서 부종(浮腫)이 나게 되었다고 함. 곤장 60대를 치고, 관직은 그대로 두게 하다.
관직을 그대로 두는 이유는 갑자기 수령을 바꾸면 더욱 혼란이 가중 되고 또 기존 수령이 다시 잘못하면 또 곤장을 침.
곤장 무서워서라도 열심히 해야 함​.
세종 대왕께서 일 못하는 관리들은 용서하지만 백성 굶기는 관리들에 대해서는 대마왕이셨음.
그리고 백성들을 잘 구휼한 관리들은 두고두고 요직에 등용하여 일을 시키셨음.
관리들에게는 헬게이트였지만 백성들에게는 훌륭한 어버이 같은 임금이셨던 모양임.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