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근대화의 구분?
게시물ID : history_16221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탄트라
추천 : 1
조회수 : 472회
댓글수 : 3개
등록시간 : 2014/06/09 23:09:07
예전 도올김용옥의 노자 강의 였던가...
도올은 한국사회에서 근대라는게 없었다? 서양과 다르다?  오래되서 정화치는#않지만 이런부류의 말을 한적이 있습니다

서양을 기준으로하면...
근대라는게...
정체된 이미지의#중세에서 현대로 넘어오기 전까지의 역동적인 명확한ㅇ시대가 있었지요...

레오나르도다빈치
금속활자에 의한#지식보급
산업혁명
뉴턴에서 아인슈타인
수많은#철학자 사상가
갈ㅇ릴레이에서 다윈까지
귀족의 몰락과 신흥세력의 대두

즉...
삶의 모든게 변한시기 였습니다
종교, 가치관, 노동의형태,신분,재산...

그걸 근대화라고 한다면...
우리시대는 어떤가요?

제가볼땐...
일제시대부터박정희시대까지가 아닐까합니다 

고착된 신분제는 일제시대에 완전히 깨졌습니다
사실 일본이 아니었다면 글쎄요
인도처럼 아직까직 족보들이대는 시대일지도 모릅니다
물론 동학이니뭐니 하지만 동학하던 사람조차도가부장제를 버렸다는 증거는 없습니다
오히려 정황상 기존의ㅇ구습에 반대하기위한 캐치프레이즈 수준...즉 문제의식은 있었다정도로만 이해하는게 합당하다 생각합니다    


과학과 지식이야 이건 명백히  일본의 영향을 받았지요
종두법의 지석영이 일본에서 배운것이나
삼성의 이병철이나 그외... 대다수가 일본에서 수학한것은 주지의 사실입니다
독립하자마자 자체기술로 기차를 만드는 그 기술력... 어디서 나왔나요?
  
신분철폐와#지식은 분명 일본의 영향이 컸습니다

 그외 민주주의의 도입과 기독ㅇ교적 가치관은독립이후 미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지요

동아시아에서 유일하게 기독교인구가 천만인 이유가 이런데 있ㅇ습니다
기독ㅇ교는 종교위에 우리사회의 가치관으로ㅇ자리잡고 있습니다

즉 신분철폐와 교육 지식의 축적은 일제시대에...
제도와 가치관은 독립후 박정희시대까지라고 한다면...

우리는 일제시대에 근대화된게 맞지 않나요?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