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친일파]조선의 광산왕, 최창학
게시물ID : history_16255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동물의피
추천 : 3
조회수 : 2996회
댓글수 : 1개
등록시간 : 2014/06/11 12:38:33
 
 
 
 
[출처]이종격투기
http://cafe.daum.net/ssaumjil/LnOm/1305172
글쓴이:이종 크리에이터 님
 
 
 
 
 
 
 
 

조선 최고 갑부를 뽑으라면

첫 번째가 민영휘, 두 번째가 김성수, 세 번째가 최창학이다.

 

-어느 조선시대 언론인-

 

 
 
 
 
 

조선시대 토지왕에 민영휘가 있었다면 광산왕에는 최창학이 있었다.

최창학의 재산규모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1931년 2월 대중잡지 삼천리의 인터뷰에서 언론인 김을한이 말하길 조선 최고 갑부는 민영휘, 두 번째가 김성수, 세 번째가 최창학이라고 했다. 최창학의 재산을 300만원으로 적고 있는 반면,

'동아일보'는 1929년 최창학의 광산에는 수천명의 광부가 있었고, 하루에도 수만원씩 황금을 캐내던 500만원의 거부로 평가한다. 1930년 말에는 "햄마 하나로 천만장자가 된 조선의 광산왕"이라고 더 높여 쓴다. 최창학의 현금을 뺏어서 군자금등의 독립운동에 쓰려던 사람들도 있었다.

1.jpg

 취미로 호랑이 사냥한 30대 금광재벌, 최창학 사장

회사이름은 삼성금광.

 

해방 이전
1923년부터 1929년까지 평안북도 구성군 소재 광산을 광업권으로 설정하면서 삼성금광(三成金鑛)을 창설한 뒤 일제 강점기 동안 조선인 최대의 광업자이며 천만장자로 불렸다. 일찍부터 사업가로 지냈고 평안북도 일대의 금광을 개발하여 거부가 되었다. 이후 구성 지역의 유지로 오산학교 제4대 이사장을 역임하는 등 여러가지 활동에 참여했다. 1938년 최창학 일가족이 구성을 떠나 경성부로 이사했을 때 구성군과 평안북도의 세수입이 줄어들었다는 일화가 있을 정도였다.

서울 이사 후로는 여러 친일 단체에 참가하여 태평양 전쟁을 적극 지원했다. 1938년 조선방공협회의 경기도연합회 지부, 서대문지부 평의원을 시작으로, 친일 매체인 매일신보의 주주발기인과 상무취체역,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 발기인, 경성부 육군지원자 후원회 이사, 조선임전보국단 이사, 구일회 회원, 국민정신총동원운동 위원회 및 간사회 평의원 등을 맡았다.

 

2.jpg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에 10만원 기증
 

3.jpg
일본군에 비행기 기증
 
 
3.jpg
일본군에 비행기 기증
 
 
 
4.jpg
 
기관총 기증
 

자본가였던 만큼 거액의 국방헌금을 헌납하여 전쟁물자 지원에도 나섰다. 최창학의 기부 액수는 다른 사람들과는 차원이 달랐을 만큼 컸다.

자본가였던 만큼 거액의 국방헌금을 헌납하여 전쟁물자 지원에도 나섰다. 최창학의 기부 액수는 다른 사람들과는 차원이 달랐을 만큼 컸다.

1940년 7월 주식회사 경인기업(京仁企業)의 주주가 되었고 1000주 이상의 주식을 투자해 경인기업의 대주주 중의 한사람이 되었다.

해방 이후
광복 후에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들이 환국했을때 서대문에 있는 그의 집에 머물기도 하였다. 또한, 김구에게 자신의 사유지내 별장인 서대문구 죽첨장(경교장)을 김구의 사저로 제공하기도 했다. 그 뒤 한독당의 재정적 후견인 중의 한사람이 되었다. 이후 경교장은 김구의 사저이자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정부 청사로도 활용되었다.

5.jpg

경교장 건물 협찬 - 최창학

 

그 뒤 김승학이 작성한 친일파 명단에 포함되는 등 최창학의 부일 협력 행위에 대한 인식은 있었으나, 반민특위가 해체되면서 별다른 처벌을 받지 않았다. 1945년 12월 조선광업중앙관위원회에 인계이사로 참여하여 일본인 소유였던 광산의 관리와 인계에 관여했고, 1949년 10월 제2차 전국광업자대회 준비위원으로 선정되는 등 광공업계에서 계속 활동한 기록이 남아 있다.

1949년 6월 26일 김구가 암살되자 몇개월의 유예기간을 거친 뒤 경교장을 반납받았다. 그러나 한국 전쟁 이후 극심한 인플레이션으로 그의 가세가 기울면서 경교장은 처분되어, 여러 손을 거쳐 고려병원(현 강북삼성병원)의 소유가 되었다. 1950년 6월 한국 전쟁 중 피난하지 못하고 서울에 남아있었으나 무사히 살아남아 전쟁 이후 고리대금업에 종사하였다.

1955년 12월에는 세금 포탈 혐의로 치안국에 구속되었으나, 1957년 무죄 판결을 받았으며, 그 해 오산중·고등학교 이사장에 취임하였다. 1959년 10월 12일 한국식 나이로 69세를 일기로 수도의과대학(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하였다.(위키백과)

 

 

 
정리
 
- 친일파
- 민영휘의 조단위 자산규모와 비슷한 클라스
- 금 캐내서 벼락부자 됨
- 황금광 시대를 열었다. 물론 황금은 일본이 다 가져감.
- 일제에 무기, 돈 지원 동시에 대세로 떠오르는 임시정부에도 약간 지원
- 우리나라에도 금이 많았음
 
 
 
 
 
오유_~1.JPG
 
 

 
정리
 
- 친일파
- 민영휘의 조단위 자산규모와 비슷한 클라스
- 금 캐내서 벼락부자 됨
- 황금광 시대를 열었다. 물론 황금은 일본이 다 가져감.
- 일제에 무기, 돈 지원 동시에 대세로 떠오르는 임시정부에도 약간 지원
- 우리나라에도 금이 많았음
 
 
 
 
 
오유_~1.JPG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