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고양터미널 대형화재, 또 박근혜 규제완화가 부른 참사인가?
게시물ID : bestofbest_162713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방관하지마
추천 : 414
조회수 : 24830회
댓글수 : 48개
베오베 등록시간 : 2014/05/26 21:30:08
원본글 작성시간 : 2014/05/26 19:59:03
고양터미널 대형화재, 또 박근혜 규제완화가 부른 참사인가?
 
외부이미지
ⓒ뉴스1
 
26일 오전 고양시외버스종합터미널에서 대형화재가 발생해 7명이 사망하고 24명이 큰 부상을 입었다. 세월호 참사가 일어난 지 한 달 밖에 되지 않은 시점에서 또 다시 대형 참사가 발생한 것이다.
 
현재까지 밝혀진 화재 원인은 용접 작업 중에 튄 불꽃이 인화물질에 옮아 붙은 것으로 알려졌다. 원인은 용접에 인한 발화라고 하지만, 인명피해가 크게 난 것은 연기에 의한 질식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건물 내 제연시설과 화재 시 비상대피 안내시설이 미비해 출구를 찾지 못한 사람들이 계단 등에서 질식사한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화재사건이 일어나자마자 소방안전 관련 법률과 기사들을 찾아보았다. 자료를 찾기 시작한 지 얼마되지 않아, 박근혜 정부에서 규제완화를 이유로 소방안전 관련 법률을 개정한 사실이 드러났다.
 
박근혜 정부는 지난 201417일 국회에서 의결된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을 공포했다. 이 법안의 내용 중 눈여겨 보아야 할 것은 소방시설관리업자가 자체점검을 할 때 무조건 소방시설관리사가 점검에 참여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정소방대상물의 규제와 설치된 소방시설의 종류 등의 요건에 맞는 기술인력이 참여하면 되도록 바꾸었다는 점이다
 
박근혜식 소방안전 규제완화에 따르면 전문관리인력인 소방시설관리사가 아니라 비전문가인 일반 기사 등이 소방시설 점검에 참여할 수 있다. 현행 소방시설관리사제도는 관리실명제를 도입해 책임 점검을 하고 있는데, 비전문가가 점검했을 시 제대로 된 관리와 예방이 이루어지지 않아 대형화재로 비화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소방시설 관련법은 지난 이명박 정부 때부터 지속적으로 규제 완화의 대상이 되었다. 정부는 2009년부터 소방안전 관련 규제를 대폭 완화하는 내용의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을 개정해 왔다.

(
관련링크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slee1126&logNo=140204812573)
 
20093월 발의한 개정안에서 정부는 소방검사 때 건물주 등에게 사전예고하는 기간을 기존의 24시간 전에서 건물주 편의를 위해 7일 전으로 늘렸다. 이어 201011월엔 그간 전수조사로 실시해 온 소방검사를 샘플조사 형태인 소방특별조사로 대체했다. 그동안 관내 모든 시설에 대한 소방안전점검을 하던 규정을 각 지역 소방본부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소방특별조사대상선정위원회(심의회)’를 구성해 점검할 대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재량권을 준 것이다.

소방방재본부 관계자는 특별조사로 바뀌면서, 서울의 경우 전체 관리대상 건물 123600개 가운데 지난해 실제 둘러본 곳은 36000여개 수준이라며 이에 따라 시내 23개 소방서에서 자체적으로 기존 검사업무를 맡았던 인력을 많게는 절반까지 줄인 곳도 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 http://www.c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831504)
(관련기사 :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637646.html)
 
고양 터미널 사건에서 세월호 사건이 떠오르지 않는가? 선박 시설에 대한 규제완화가 세월호 사고를 참사로 키웠듯이 이번 고양 터미널 화재 역시 소방 안전시설에 대한 규제 완화가 부른 참사일 가능성이 농후하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베스트 게시판으로 복사되었습니다!!!
2014-05-26 20:38:44추천 255
근데 이상하게 진짜로 박근혜년이 대통령 된 후 사람죽는 숫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었어요..

늘 있는 교통사고나 그런게 빼고도...
댓글 0개 ▲
2014-05-26 20:42:02추천 70
자꾸 사고가 나니까 무섭다. 하인리히 법칙 생각나서...
댓글 0개 ▲
2014-05-26 20:43:21추천 72
귀ㅌ년이 대통령이 되면 사람 많이 죽어나갈거라그럴때

아무리 싫어도 어떻게 사람한테 ㄱ태 라고 하며

하물며 사람 목숨까지 들먹이나 했는데

딱 그 꼴이 나네....

귀ㅌ고 아니고를 떠나서 사람 생명을 지키기 위한

안전규정을 싹 바꾼애 덕분에 올 한해 사건사고로 뉴스거리는 많겠네
댓글 0개 ▲
[본인삭제]길드워
2014-05-26 20:47:10추천 118
댓글 0개 ▲
2014-05-26 20:47:27추천 144
제일 무서운게 "고리원전" 끝.
댓글 0개 ▲
2014-05-26 20:49:07추천 53
아뇨... 교통사고도 운전면허간소화로 인해 증가추세죠.
자살률은 말도 못하고
댓글 0개 ▲
2014-05-26 20:50:27추천 6
일산 사는 징어입니다
이런 원인이 있을 줄은 몰랐네요
감사합니다
댓글 0개 ▲
moka
2014-05-26 20:59:11추천 10
이래도 새누리당이 된다면 진짜 할말없네요
댓글 0개 ▲
2014-05-26 21:00:10추천 17
하인리히 법칙 진행중
댓글 0개 ▲
2014-05-26 21:01:02추천 35
KTX 서울역 아파트 수직증축 고리원전...
댓글 0개 ▲
2014-05-26 21:01:52추천 1/12
고양시 시장선거에 악영향 미칠까봐 걱정이네요. 화재원인을 밝혀야합니다. 전 왠지 누군가에 의해서 일부러 저질러진 화재가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듭니다.
댓글 0개 ▲
2014-05-26 21:09:28추천 7
고리원전 ㅠㅠㅠ
댓글 0개 ▲
2014-05-26 21:13:08추천 8
켘~~~
고리원전
후덜덜 ㅠ
댓글 0개 ▲
베오베 게시판으로 복사되었습니다!!!
2014-05-26 21:32:15추천 61
선박침몰에 지하철사고...대형건물화재...이제 뭐냐??
근혜야 지금 심시티하냐?????
댓글 0개 ▲
2014-05-26 21:32:26추천 6
요새들어 사건사고가 끊이지 않는군요,,
댓글 0개 ▲
[본인삭제]왼다리쿨바지
2014-05-26 21:32:40추천 2
댓글 0개 ▲
2014-05-26 21:33:42추천 43
유시민장관이 말했던 예언이 진짜 무섭게 들어맞아준...
댓글 0개 ▲
2014-05-26 21:37:28추천 3
진짜규제완화가이렇게무서운거구나.....
댓글 0개 ▲
2014-05-26 21:37:50추천 18
시사게에는 잘 안올라 왔지만 올해 대형산업사고 교통사고도 유달리 많았습니다.

정말 조심하세요. 정신놓은 정부 욕만 하고 있을게 아니라 우리도 정신바짝차려야 할듯
댓글 0개 ▲
2014-05-26 21:37:51추천 46
아버지가 죽인만큼 죽여야 마음이 편하겠냐...
댓글 0개 ▲
2014-05-26 21:38:04추천 7
고리원전에 대한 최후의 경고장일 수도
댓글 0개 ▲
2014-05-26 21:38:15추천 19
불편한 얘기 하나 하자면,

규제가 안바껴서 소방 설비 담당자가 있었다 치더라도, 큰 차이가 없었을 것이다.
노후되었거나 불안한 설비가 있어 교체를 건의한다 치더라도 당장 들어가는 돈 때문에 오너가 공사를 하지 않으려 하기 때문이다.
막상 규제 해봐야 소방 담당자들은 갑인 오너의 편의를 위해서 일 할 수 밖에 없고 소방 설비를 갖추는게 아니라 소방 규정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게 주요 업무가 된다.
우리나라 대부분 설비 담당자들은 ...이 글 읽는 사람들 대부분이 그렇듯이.....이일 저일 다하는 잡부쯤으로 취급 하기 때문에 별 권한도 없다.

조금 다른 얘기지만,
당장 여기 아파트 사는 사람들 아파트 소방 담당자나 전기 안전 관리자 구분해서 법으로 정해진 업무나 의무에 대해서만 따지는 사람 없을거다.
윗집에서 쿵쿵 거린다고 소방 담당자 불러서 따지고, 변기 막혔다고 전기 담당자 불러서 뚫어달라고 하고, 눈오면 가스 관리자 불러서 눈치우라고 시키는게 일상 아닌가? (대기업에서 중소기업에 무리한 요구하는것에 분노하는 우리들의 모습이 우리가 욕하는 대기업의 갑질과 너무나도 닮아 있다.)
아니 부른 사람이 소방담당인지 건물 관리하는 영선담당인지 조차 모르는게 실상이고, 내가 사는 아파트에 그런 관리자가 따로 있다는걸 아는 사람조차 드믄게 현실이다.
댓글 0개 ▲
2014-05-26 21:39:22추천 13
왜 슬픈 예감은 틀린적이 없는지.
그렇게 닭만은 안된다고 외쳤는데 그 난리를 치며가서 뽑더니
이 사단이 나는구나
댓글 0개 ▲
2014-05-26 21:40:06추천 1/9
너무끼워마추는듯  고양터미널 완공시기도  이번정권도아니고 cj 가  안전관리제대로 안한게크고 .  근데  사고 정말많이난다  누구때문인지
댓글 0개 ▲
2014-05-26 21:41:42추천 16
잠실 제 2롯데월드도 어떻게 될런지...
댓글 0개 ▲
2014-05-26 21:41:49추천 63
현정권은  박근혜 정권이고 지난정권은
이명박정권이었다 누구탓이겠냐??두 년놈들의
뒤봐주기식  규제완화때문이지
헐값에 팔아넘기는 민영화하며
누구탓이겠나??
댓글 0개 ▲
2014-05-26 21:48:35추천 8
결국 규제완화가 사람을 죽이는군요
이번 사고가 무조건 규제완화때문이라고는 할 수 없겠지만 규제를 완화시키면 앞으로도 이런 일이 계속 발생할거라는건 불보듯 뻔하죠
댓글 0개 ▲
[본인삭제]GLANSpenis
2014-05-26 21:50:56추천 1
댓글 0개 ▲
2014-05-26 21:51:48추천 32


댓글 0개 ▲
[본인삭제]달걀달걀
2014-05-26 21:54:35추천 0
댓글 0개 ▲
2014-05-26 21:59:47추천 2
왜 계속해서 재난영화급의 사건들만 터지냐... 2014년 마가꼇나ㅏㅏ.
댓글 0개 ▲
2014-05-26 22:07:11추천 43
고양터미널은 개장과 함께 저축은행 불법대출 사건에 휘말려 예금보험공사가 관리
정상 운영을 못하다
최근에야 맥쿼리자산운용에 매각됐다.
-연합기사

그렇습니다. 우리 MB가 키우고 살찌운 그 회사입니다.
댓글 0개 ▲
2014-05-26 22:08:08추천 2
아니 웃긴게 안전에 대한 규제완화를 이 미친 것들은 왜 하는 거죠? 안전에 대한 사항을 완화하자는 건 도대체 어떤 가치관으로 설명되는 거죠?
댓글 0개 ▲
2014-05-26 22:09:24추천 1
쥐명닭그네아니랄까봐........
댓글 0개 ▲
2014-05-26 22:17:55추천 0
완공시기가 문제가 아니고 안전관리 관련법률 개정이 문제

박근혜 정부는 지난 2014년 1월 7일 국회에서 의결된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을 공포했다. 이 법안의 내용 중 눈여겨 보아야 할 것은 소방시설관리업자가 자체점검을 할 때 무조건 소방시설관리사가 점검에 참여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정소방대상물의 규제와 설치된 소방시설의 종류 등의 요건에 맞는 기술인력이 참여하면 되도록 바꾸었다는 점이다
댓글 0개 ▲
[본인삭제]극한작업
2014-05-26 22:21:05추천 19
댓글 0개 ▲
2014-05-26 22:22:40추천 6
조만간 비행기도 떨어뜨릴 기세군요.
비행기 떨어지기 전에 타지마세요.
댓글 0개 ▲
2014-05-26 22:28:46추천 1
다른것도 계속 터지고... 원전으로 우리나라 끝날 것 같다........
댓글 0개 ▲
2014-05-26 22:39:00추천 5
그래서우리이민가요?
대한민국떠나요?
댓글 0개 ▲
2014-05-26 22:41:35추천 0
정말 원전으로..아~~~~
댓글 0개 ▲
563
2014-05-26 22:45:21추천 2
사실 닭이라기보단 쥐의 작태죠.
댓글 0개 ▲
2014-05-26 22:55:40추천 1
또 맥쿼리야? ㅡㅡ
댓글 0개 ▲
2014-05-26 22:59:16추천 2
이제 버스터미널을없애나
댓글 0개 ▲
2014-05-26 22:59:18추천 1
이 모든 사건사고들의 마지막이 원전이 되지 않도록...그때가 되기 전에 이 미친 안전 역주행이 멈출 수 있기를...
댓글 0개 ▲
2014-05-26 22:59:25추천 1
대한민국을 규제완화하고

국민을 인생에서 로그아웃
댓글 0개 ▲
2014-05-26 23:10:44추천 5
요즘들어 진짜 브레이크 고장난 폭주기관차 타고있는 기분이들어...

미친듯이 달리다가 결국 탈선해 어딘가에 굉음과 함께 휴지조각처럼
구겨져 처참하게 죽을줄 알면서도 너무 빨리 달리니까 뛰어 내리지도
못하고
세우긴 세워야 되는데 고장난 브레이크가 어떤건지 찾느라
촉박한 시간은 흐르고 최후의 비상 브레이크라도 걸려고 하는데
몇명이 힘합쳐 아~~~~무리 레버를 땡겨도 이건 꿈쩍도 않네...
하다하다 안되면 어디서 '망치'라도 찾아서 두들겨 패서라도
레버를 움직여야지 멈출텐데...

좀만 더 가면 저앞에 끊어진 철길이 보일거 같아서 심장이 뛰고
불안하고 미치겠다...

레버야 땡겨져주라...응? 근혜야...제발...내가 이렇게 빌께...좀
댓글 0개 ▲
2014-05-26 23:16:36추천 17
하인리히 법칙 궁금해서 찾아봤어요. 도움되시길

대형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그와 관련된 수많은 경미한 사고와 징후들이 반드시 존재한다는 것을 밝힌 법칙이다.

업무 성격상 수많은 사고 통계를 접했던 하인리히는 산업재해 사례 분석을 통해 하나의 통계적 법칙을 발견하였다. 그것은 바로 산업재해가 발생하여 중상자가 1명 나오면 그 전에 같은 원인으로 발생한 경상자가 29명, 같은 원인으로 부상을 당할 뻔한 잠재적 부상자가 300명 있었다는 사실이었다. 하인리히 법칙은 1:29:300법칙이라고도 부른다. 즉 큰 재해와 작은 재해 그리고 사소한 사고의 발생 비율이 1:29:300이라는 것이다.
큰 사고는 우연히 또는 어느 순간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이전에 반드시 경미한 사고들이 반복되는 과정 속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밝힌 것으로, 큰 사고가 일어나기 전 일정 기간 동안 여러 번의 경고성 징후와 전조들이 있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다시 말하면 큰 재해는 항상 사소한 것들을 방치할 때 발생한다는 것이다.
댓글 0개 ▲
2014-05-27 00:18:04추천 0
안전규제좀 그만 줄여라 똥멍청이들아... 갑갑한 자식들
댓글 0개 ▲
[본인삭제]시르셔
2014-05-27 00:49:58추천 1
댓글 0개 ▲
2014-05-27 01:21:48추천 0
개정안의 요지는 이전까지는 소방서에서 사람이 나와서 감독했는데 개정이후엔 몇시간짜리 교육이수한 사람이 감독 점검해도 된다는거
감독하는 사람의 요건이 자격증에서 교육이수로 바뀐겁니다. 제가 살고 있는 건물의 주인이 실제로 이 교육을 몇시간 받고와서 자체적으로
시설감독을 하고있습니다. 다세대주택에 살고 계시다면 건물주나 경비실에 한번 물어보세요.
댓글 0개 ▲
2014-05-27 01:38:04추천 0
용접이 잘못했네. 앞으로 실내에서 공사할때 용접하지마. 가 될까요......?
댓글 0개 ▲
2014-05-27 01:53:00추천 1
아.. 진짜 안전한곳은 어딘지...
안전한 곳이 없네요..

아!! 청와대는 진짜 완전 대박 안전할듯~!!
댓글 0개 ▲
2014-05-27 03:06:42추천 2
저는 의무소방원으로 군복무하면서 화재진압 요원을 했었고,

여러 지인들이 소방공무원으로 근무중입니다.

답답해서 욕먹을 각오하고 한마디 씁니다.

저 정도 검은 연기가 치솟을 정도면 엄청난 규모의 화재인겁니다. 지하에서 발생했음에도 저 정도면..

그리고 사망자들 사망 원인이 질식사인데, 저 정도 화재에서 나오는 연기는 아예 시야를 가리기때문에 비상구를 찾기도 힘들고, 지하 2층이었다면 설령 비상구를 찾더라도 빠져나오기 힘듭니다.

10초 아니 5초 이상 노출되면 질식할 정도입니다..
저 역시 화재진압현장에 많이 가봤지만, 지하에서 발생한 화재는 연기가 퍼지지않고 오래 남아있기 때문에 진압하기도 힘들고 요구조자들이 탈출하기도 매우 힘듭니다..


규제완화가 저런 피해를 불러 일으켰다고 보기엔, 너무 끼워맞추기입니다.
댓글 0개 ▲
2014-05-27 09:57:32추천 0
@Voodookisss
모든 큰사고는 사소한 원인으로 부터 시작해서,
사소한 점검 및 시설의 부재로 인해 더욱 커지는 겁니다.
그걸 조정하고 예방하는것이 규제이구요.
저 사건이 박근혜정권의 규제완화로 인해서 발생했다기 보다는
저렇기 때문에 최소 생명의 안전과 관련된 규제는 완화하면 안되는겁니다.
댓글 0개 ▲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