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저축성 보험 파헤치기(제대로 까기)
게시물ID : economy_16296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이에티
추천 : 11
조회수 : 2089회
댓글수 : 56개
등록시간 : 2015/12/25 10:55:08
옵션
  • 창작글

요즘 저축성 보험 (저축보험, 연금보험) 관련해서 논란이 일어나고 있네요. 보험 까기 쿨타임이 또 돌아왔군요.

친한 친구가 10만원을 빌려달라면 빌려줄 수는 있습니다. 그러나 10년동안 매월 10만원씩 빌려달라고 하면, 더구나 15년 후에 갚겠다고 하면 흔쾌히 수락하실 분은 별로 없을 겁니다.


저축보험이라는 게 딱 이런 겁니다. '전화받은 자네, 매월 10만원씩 10년동안 빌려주게. 15년 후에 이자 조금쳐서 돌려주겠음'
저렇게 솔직하게 말하는 텔레마케터 전화 받아보신 적 있나요? 있을리가 없지요. 저런 호구스러운 대출 계약을 해주는 사람이 있을리 없으니까요.


그래서 나온 마케터들의 멘트가 바로 이런 겁니다. '사업비는 조금 차감하고, 장기간 월복리 효과 가져가시면서 15년 후에 높은 수익률 보시는 거에요. 복리의 힘 아시죠? 그리고 고객님, 세금도 안 내는 이런 저축이 세상에 또 어디 있겠어요?'

단언컨대, 가장 완벽한 말장난입니다.



1. 

아래 그래프는 저축보험과 은행 예금+적금을 비교한 것입니다. 녹색선은 투자 원금입니다.

저축보험은 10년 납입/15년 만기/10년 이전에는 사업비 9.5%, 이후에는 0% 로 가정했습니다.

예금적금 역시 10년동안 모으고 이후 5년동안은 원금추가 없이 예금에 묵혀둔다고 가정했습니다.
1408780493K2xtD6tO2aOCjq28S6QNvybC17.png
10년을 유지해야 겨우 예적금 수익률을 따라잡네요!
저축보험에서 떼는 사업비 때문만이 아니라 1년만기 은행 예적금에도 연복리 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1년 후에 들어오는 이자는그 다음해의 원금이 되니까요.



2.


다행히도? 보험사에서는 저축보험에 추가납입이라는 기회를 줍니다. 해마다 지난 1년간 납입한 총액의 2배까지 추가로 적립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월 납입금이 10만원이면 1년후 120만원을 적립한 것이므로 240만원을 추가납입할 수 있습니다. 이때 사업비는 보통 2% 입니다.
1408780936cUCGKZRdt73g5fZfi6nHVOD9aT6CNcY.png
이러면 좀 낫네요. '겨우' 6년이면 예적금보다 더 쌓이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15년 후에는 5086만원을 찾습니다.

예적금으로는 4464만원을 모으게 되니까, 15년 동안 급하게 필요한 돈이 있는데 쓰지도 못하고 해약하고 싶은 욕구를 꾹 참고 손해나니까 중도인출도 못하고 결과적으로 622만원을, 15년으로 나누면 매년 40만원 정도씩 더 벌었으니 이득인가요?



3.


그러니까 어쨌든 이익 아니냐고 생각하는 분들은 아래 그래프를 보시기 바랍니다.
14087818187pGvFs1F7W3ya3KMC.png
15년간 연 수익률 3.5%의 투자를 하면 (월복리 3.9%짜리) 비과세 저축보험만큼 모을 수 있습니다. 심지어 이 투자는 자금 유동성 측면에서 저축보험보다 수백배 낫습니다.


앞 뒤를 바꿔서 말하면 말하면 다음과 같은 겁니다.


저축보험 = 고객이 보험회사에게 연복리로 초장기 대출해주는 것. 


웃기는 건 채무자가 중간에 돈을 돌려받으려면 빌려준 원금에 손실이 생깁니다. 중도상환 역수수료가 붙는 웃기는 대출이네요 ㅋㅋㅋ


보험회사 입장으로 보면 얼마나 매력적인 상품일까요?


1. 초저리의 초장기 대출이다. 그리고 회사의 재무제표에도 부채로 잡히지 않는다! (회사채 발행과는 비교도 안되게 좋다.)


2. 중도해지 하는 사람이 엄청나게 많아서 대출원금 상환을 안해도 된다.


3. 우리 호갱님들 중에 15년 동안 해지 안하고 버티는 진상들이 많이 나올리 없겠지만, 혹시나 그렇게 돼서 대출상환(저축보험 만기)할 때 돈이 부족해지면 저축보험을 추가로 팔아서 또 다른 호갱님들을 모집하면 된다. 다단계스러운 측면이죠.


이 글을 읽는 분들 중에 다음 설명에서 2개 이상 해당되면 저축보험 가입하셔도 됩니다.


1. 안정적인 직장에 다니고 돈에 여유가 있어서 약정 기간 동안 해지 안할 자신 있다.


2. 금융자산이 너무 많아서 비과세가 꼭 필요하다. ( 금융종합소득과세에서 최고 세율 피하고 싶다)


3. 추가납입 100%  자신 있다.


4. 저축보험 가입기간 안에, 다른 선진국들처럼 우리 나라도 초저금리로 내려갈 것이다.


5. 지름신 강림을 주체하지 못해서 강제로라도 돈을 묶어놔야 된다.


6. 투자 같은 거 할 줄 모르고 돈은 그냥 모으는 법만 아는 사람이라 15년 연간 3% 정도 수익률도 좋다는 생각이 든다.


7. 보험설계하는 친구가 너무너무 어렵게 사는 친구라 좀 아깝지만 도와주는 셈치고 가입하고 싶다.


이래도 저축보험 하시겠습니까?

출처 http://www.todayhumor.co.kr/board/view.php?table=economy&no=7436&s_no=8670547&kind=member&page=1&member_kind=total&mn=422336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