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백혈병 투병 이광종 전 올림픽대표팀 감독 별세
게시물ID : soccer_163277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좋은연인
추천 : 19
조회수 : 514회
댓글수 : 9개
등록시간 : 2016/09/26 10:10:50
이광종 전 올림픽대표팀 감독이 별세했다.

이 감독은 26일 새벽 유명을 달리했다. 대한축구협회는 이날 "이 감독이 26일 새벽 타계했다. 최근 병세가 호전됐다는 소식이 있었지만 안타깝게도 이날 새벽 갑작스럽게 별세했다"고 발표했다. 향년 52세.

이 감독은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에서 28년 만의 아시안게임 금메달을 선물했다. 그리고 2016년 리우데네이루 올림픽대표팀 감독에 선임됐다. 하지만 지난해 초 급성 백혈병 진단을 받고 올림픽대표팀 사령탑에서 하차했다.

이 감독은 현역 시절 유공(1987~1995년)과 수원(1996~1997년)에서 266경기에 출전, 36골-21도움을 기록했다. 소리는 없었지만 성실한 미드필더였다. 그러나 A급 지도자의 보증수표인 국가대표와는 인연을 맺지 못했다. 아킬레스건이었다. 

이 감독은 2005년 네덜란드 세계청소년선수권에서도 박성화 감독과 함께한 후 2007년 17세 이하 대표팀 감독에 선임됐다. 유소년 지도자로 쌓은 노하우가 인정됐다. 그러나 동전의 양면이었다. 감독은 철저하게 성적과 싸워야 한다. 이 감독은 더 절박했다. 그의 이력으로는 한 번 실수면 사실상 '재기 불능'이었다. 

더 고독하게 세상과 맞섰다. 단 한 차례도 눈길을 돌리지 않았다. 한 우물만 팠다. 누구보다 열심히 공부했고, 어린 선수들에게는 부드러운 카리스마로 다가갔다. 혼란을 야기하지 않기 위해 정확하게 맥을 짚어가며 조련했다. 고정관념이 허물어지기 시작했다. 2009년 FIFA U-17 월드컵 8강, 2011년 U-20 월드컵 16강, 2013년 U-20 월드컵 8강으로 지도력을 인정받았다.

그러나 여전히 '보이지 않는 성역'은 존재했다. 누가 보더라도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에 이어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올림픽 사령탑은 그의 몫이었다. 제도권은 다시 그에게 의문부호를 달았다. 지지와 반지지 세력으로 나뉘었다. 감독 선임을 놓고 충돌이 있었다. 돌고 돌아 접점을 찾았다. 2013년 11월 그는 인천아시안게임의 지휘봉을 잡았지만 1년 단기계약이었다. 아시안게임 성적을 지켜본 뒤 계약 연장을 검토하겠다는 뜻이었다. 반전은 화려했다. 역대 최약체라는 평가 속에 결승에 오르기까지 비난 여론도 팽배했다. 그는 흔들리지 않았다. 28년 만의 아시안게임 금메달로 '이광종 꽃'을 피웠다. 14년 만에 탄생한 '무명의 빛'이었다. '제2의 이광종'을 꿈꾸는 음지의 지도자들에게도 새로운 길을 열어줬다.

더 이상 이견은 물론 논란도 없었다. 이 감독은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대표팀에 무혈입성했다. 자만하지 않았다. 들뜨지도 않았다. 늘 그랬듯 겸손하게 올림픽 여정을 준비하고 있었다.

그러나 청천벽력같은 소식이 날아들었다. 신의 시샘이 가혹해도 너무 가혹했다. 이 감독은 급성백혈병과 싸우다 끝내 일어나지 못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출처 http://m.sports.naver.com/kfootball/news/read.nhn?oid=076&aid=0002992161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