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베오베 수도권의 지하철들의 비밀들을 보고 만든 40가지 2탄
게시물ID : humordata_1637149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너도밤꽃나무
추천 : 62
조회수 : 12344회
댓글수 : 60개
등록시간 : 2015/11/14 10:45:42
어.. 1탄을 봤는데 철덕이 철철철철철 느껴져서 저도 한번 만들어보기로 했습니다.
 
 
021.jpg
 
#1 수도권 최초의 스크린도어(안전문)가 설치된 역은 신길역이다.
 여담으로 국내 최초의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역은 광주지하철 1호선 금남로4가역과 문화전당역이다.
 
 
#2 중앙선 광역전철이 정식 운행되기 전까지는 용산역에서 왕십리를 거쳐 성북(현 광운대)역까지 운행했었다.
 현재는 경의선과 한번에 이어져 문산에서 용문까지 이어져 달리고 있다.
 
 
#3 현재 서울 및 수도권 전철은 어딘가 한 곳은 기본으로 서로 연결되어있다.
 
 
027.png
#4 신설동역의 유령승강장은 현재는 1호선과 2호선의 연결구간 역할을 하고 있다.
 
 
#5 서울도시철도공사 5호선은 중국의 모 지하철이 개통되기 전까지 세계에서 가장 긴 "터널"을 가진 기록을 갖고 있었다. (52.3km), 지금은 중국 광저우 지하철 3호선이 64.4km로 가져가버렸다.
 
 
021.jpg
#6 1호선 서울역에 디젤기관차가 들어간 적이 있었다.
 이는 새로운 열차들을 차량기지에 넣기 위해 이 곳까지만 들어온다.
 들어오고 나서는 기관별 소속 기관차가 따로 나와서 데려가준다고 한다.
 
 
#7 모든 전철은 운행을 종료하면 터널 내부를 청소하는 작업을 한다.
 그동안 흩날린 분진들을 정리해준다고 한다.
 
 
027.png
#8 4호선과 7호선의 환승역인 총신대입구(이수)역은 노선마다 붙이는 역명이 다르다.
 4호선은 총신대입구(이수)를, 7호선은 이수를 사용하고 있다.
 이는 총신대의 갑질로 인한 행태였다.
 
 
#9 위의 총신대입구역은 실제로는 총신대학교가 7호선 다음역인 남성역이 훨씬 가깝다.
 

#10 2호선 낙성대역은 대학교가 아니다. 혹시 낙성대학교로 가는 방법이 있냐고 묻지 말자.
 봉사활동할때 물어봐서 놀랐었...
 
 
021.jpg
#11 1호선과 2호선이 만나는 신도림역은 일명 헬도림역으로 불린다.
 

#12 위의 신도림역 북쪽의 디큐브 시티가 있기 전까지는 연탄공장이 있었다.
 이 공장으로 철도 선로가 있었으며, 신도림역의 혼잡도를 못버티고 이곳 담장 너머 뛰어넘기도 했었다.
 
 
108.png
#13 3호선 후기 구간인 양재 이후의 연장구간을 계획할 때, 분리후 결합하는 방식을 채택했었다.
 (사진의 1, 2, 3, 4 이후 매봉역과 만나는 방식이었다.) 압구정역 남쪽에 그 흔적이 남아있다.
 
 
5호선반입선로003.png
#14 3호선의 수서역 너머 문정2동 주민센터 앞에는 5호선 열차를 끌어올렸던 입구가 있었다.
 지금은 인근에 철도환풍기가 있다.
 
 
027.png
#15 수도권 지하철의 출구 번호는 열차 숫자의 다음 방향인 상태에서, 왼쪽 아래부터 시작해 시계방향으로 돈다. 먼저 개통된 노선을 기준으로 한다.
 (예시는 강남역에서 왼쪽으로 가는 방식)
 
 
#16 [#15]에 위배되는 역은 2호선, 3호선 교대역으로 지역상인들의 갑질로 바뀌지 못하고 있다.
 
 
027.png
#17 분당선 강남구 구간은 지역주민들의 핌피로 필요도 없는 역이 지어졌다.
 (실제로도 탑승객 수가 별로 많지도 않다)
 
 
#18 9호선 봉은사역은 기독단체에서 종교적 문제로 그런역 말고 코엑스로 하라고 반발했었다.
 
 
#19 1호선 종각~시청 구간은 매우 시끄러운데, 본래 계획엔 완만한 곡선이었으나, 당시 정부가 동아일보사 지하를 지나지 말라는 방침에 강제적으로 곡선 반경이 줄어 속도도 낮고 소리도 시끄럽다.
 
 
027.png
#20 동부간선도로 상계교 교차로 인근에 중랑천 쪽으로 철조망이 있는데, 초기 4호선의 열차를 넣기 위한 선로가 있었던 자리였다.
 
 
027.png
#21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덕로 52-19 (덕양구 덕은동 20-1) 인근에는 과거 철도 터널이 있다.
 인근 가게 이름도 쌍굴이라 부른다. 하나는 도로로 쓰고 있고 하나는 밑에 방치되어있다.
 
 
131.png
#22 서울 6호선의 응암역은 신기하게 선로 1개로 순환하는 방식을 만들었다. 따라서 불광역에서 역촌역으로 역행을 하지 못한다. 버스를 타자.
 
 
#23 [#22]의 원인은 의외로 '님비'였었는데, 역의 종착역 이후로 약 200~250m의 추가 열차 배치공간을 만들어야 하는데, 불광/역촌동과 구산/진관동이 서로 떠넘기다가 지금의 형태로 지어졌다고 한다.
 
 
#24 5호선과 9호선의 환승역인 여의도역은 처음부터 계획된 환승역이었다. 그래서 9호선의 개통에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았다.
 
 
021.jpg
#25 8호선 몽촌토성역은 초기 9호선과의 환승역을 계획하여 환승띠까지 계획했으나, 올림픽공원으로 9호선이 옮겨지면서 무용지물이 되었다. (우측 벽에 흰 띠가 환승띠였다.)
 
 
#26 7호선은 처음에 도봉산~건대입구, 온수~신풍으로 따로 운행했었다.
 
 
#27 6호선은 IMF와 예산 문제로 인해서 7호선보다 늦게 개통했다.
 
 
#28 6호선 녹사평역은 11호선(양재~독립문~목동)과 환승할 계획으로 미리 환승통로까지 만들었으나, IMF로 10~12호선이 무산되면서 웅장한 역으로 바뀌게 되었다.
 
 
#29 5호선 광나루~천호 구간에서 한강을 건널 때, 한강의 수로를 거의 막다시피 해서 지었다. 당시 기술이 없어서 땅을 한강보다 밑까지 파서 뚫는 작업을 했었다.
 
 
#30 네이버나 다음 지도를 보면 지하철 선형중에 이게 말이 되나 싶은 선형이 있는 것도 있는데, 거진 99%가 뻥이니 믿지 말자.
 
 
#31 8호선 문정역에서 동쪽으로 바라보면 빈 공터(지금은 건물)와 공원이 넓게 설치되어있는데, 본래 외곽순환철도를 건설하려다 만 흔적이다.
 
 
#32 3호선 경복궁역 근처에는 '무언가'가 있다. 찾으려고 하면 잡혀갈 수도 있으니 관심가지지 말자.
 
 
021.jpg
#33 3호선 금호역 출구에 자동차가 도로로 착각해서 들어간 적이 있었다. 이후로 자주 발생하자 입구에 진입방지를 해두었다.
 
 
027.png
#34 경의·중앙선과 공항철도가 만나는 디지털미디어시티역~공덕역 중에서는 디지털미디어시티역에서 절대 환승하지 말자. 공덕역과 홍대입구역에서 환승하자. 환승거리만 500m 넘는다.
 
 
#35 경의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수색역 사이는 승강장 끝과 끝을 기준으로 350m밖에 안된다. 열차가 출발하자마자 안내방송이 들린다. 이유는 수색역은 과거에 있었던 역인지라 역사성을 인지해서 유지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027.png
#36 6호선 새절역은 신사동에 위치해있는데, 본래 신사역으로 하려다가 3호선 신사역과 겹쳐 순우리말인 새절로 명명했다.
 
 
#37 경기광역급행철도인 GTX는 지하 50m에 건설되는데, 이는 국토이용 법령상으로 토지보상을 해주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021.jpg
#38 2호선 이대역, 5호선 여의나루역, 8호선 산성역 등에는 대각선으로 오르내리는 엘리베이터가 있다. 공간상으로 지어진 것으로 보인다.
 
 
#39 수인선과 인천1호선의 환승역인 원인재역은, 본래 수인선 기준으론 '승기'역이었다.
 
 
20150515_171918.jpg
#40 중앙선 용산~이촌구간에 불이 꺼지는 "절연구간"이 있는데, 이는 한강대교와 이어지는 한강대로와 교차하는 구간의 교량 높이가 너무 낮아서 전선과 맞닿게 될 경우 한강까지 감전될 우려가 있어서이다.
 
 
ps. 용산역에서 전철역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려고 할 때, 기차역 매표소쪽의 전철 타는 곳을 가자. 전철 표 사는 곳에서 바로 옆에 입구로 들어가면 에스컬레이터고 엘리베이터고 없다. 반대편에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가 있다. 만일 잘못 들어왔다면 역무원에게 말씀드리면 열어주신다.
 
 







출처 [1탄] http://www.todayhumor.co.kr/board/view.php?table=bestofbest&no=223138&s_no=223138&page=1
[작성자 : dbsgh2003님]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