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수도권 5탄) 우리들이 잘 몰랐던 지하철의 사실들 10가지
게시물ID : humordata_1644273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dbsgh2003
추천 : 11
조회수 : 2003회
댓글수 : 12개
등록시간 : 2015/12/27 20:46:44
옵션
  • 창작글

수도권 1,2,3,4탄에 나오는 내용과 소재고갈로 인해서 10가지 밖에 만들지 못했습니다. (제가 직접 작성했습니다.)

내용이 허술하기도 하지만, 그래도 재미있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그럼 지금부터 시작하겠습니다.




2015-12-27 20;04;38.jpg

1.

4호선의 수리산역은 애시당초 계획에 없는 역이었으나 산본신도시 지역에서 교통이 불편했던 4, 5단지 주민들

의 요구로 2003년 7월에 만들어진 역이다. 그리고 수리산역의 원래 역이름은 도장역이었는데 바뀐이유는 인근에

있는 산인 수리산의 이름을 빌려서 지금의 수리산역이 된것이다.




DSC04445.jpg

2.

4호선 초지역은 2012년 6월까지 공단역이었으나 이후 초지역으로 바뀌였다. 그리고 그 동시에 송도-오이도를

잇는 수인선이 개통되었다.






f461b4e1635c09f7006843cefcc027b7.jpg


3.

2호선은 외선과 내선으로 나누어지는데 외선이 48.961km, 내선이 48.947km로 외선이 내선보다 14m 더 길다.




b0053005_20454367.gif

4.

 6호선 개통하기전인 90년대초 당시 삼각지 로터리에는 거대한 옛 '고가입체교차로' 가 있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자 이 다리는 1994년 7월에 철거되었고 2001년에 6호선이 개통되면서 지금의 모습이 되었다.




2015-12-27 20;07;02.jpg

5. 1호선 인천역은 1899년 9월 18일, 경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역이다. 그리고 수도권 전철에서 가장 오래된 종점역이기도 한다.




113.png114.png

6.

 상록수역과 반월역 사이에는 지상터널을 세번통과하는데 그중에 터널 한개를 통과하면(오이도행 전철기준으로) 다리 아래에 큰 고속도로가 나오는데, 그곳이 바로 서해안 고속도로이고 4호선철교 위에는 또 다른 철로가 있는데 그곳은 KTX가 지나가는 선로이다.






%B4޿%F9%BF%AA-gt36cw.jpg


%B4޿%F9%BF%AAǥ%C1%F6%C6%C7-gt36cw.jpg

7.

수인선 달월역에는 또 하나의 수인선 달월역 있는데 그곳은 1965년 5월 1일에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

하였으나, 1994년 9월 1일에 수인선의 운행 중지와 더불어 폐역되었다. 그리고 2012년 수인선이 개통된이후 2년뒤인

2014년 12월 27일 마침내 달월역이 새로 재개통되었다.


 (그러고보니 개통한지 정확히 1년이 되는 날이었네?)





%C1%F8%C1%A2%BC%B1%BA%B9%BC%B1%C0%FCö.jpg

8.

자꾸 4호선 얘기를 해서 죄송하지만.. 당고개-진접을 잇는 진접선복선전철 공사를하여 4호선을 연장한다는 계

획이 있었다. 그리고 2015년 12월 현재 공사에 착수된상태이며 2020년에 개통될 예정이다.





9.

실제로 지하철역마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계기는 2003년 6월 어느 한 노숙자가 중년여성을 전동차에 밀어버

린 사건으로 시작되었다고 한다. 자세한내용은 http://www.coowool.com/bbs/n_society01/5117428158693376






2015-12-27 19;43;25.jpg

 10.

1호선 금천구청역은 원래 시흥역이었다.

이유는 그 당시 경기도의 남부에 많은 시들과 서울 서남부 지역이 전부 시흥이었기 때문이다. 그 이후 서울의 교외화현상으로 서울 주변지역은 엄청난 인구증가를 맞게 되고 주거지역의 개발로 위성도시화 되면서 시흥의 땅은 점점 쪼개지면서, 결국 시흥역이 위치한 "시흥군 동면 시흥리" 일대가 서울 금천구에 속하면서 지금의 상태가 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2009년에 시흥역을 금천구청으로 신 역명이 탄생하게 되었다.




수도권 시리즈는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지금까지 "수도권 지하철 전철의 사실들" 을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__)


출처 사진 - 나무위키

수도권 시리즈
[1탄] http://todayhumor.com/?bestofbest_223138 (dbsgh2003님)
[2탄] http://todayhumor.com/?humordata_1637149 (너도밤꽃나무님)
[3탄] http://todayhumor.com/?humordata_1637292 (너도밤꽃나무님)
[4탄] http://todayhumor.com/?humordata_1638181 (너도밤꽃나무님)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