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K222] 복정역 출사
게시물ID : travel_16501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156번
추천 : 2
조회수 : 975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6/01/21 18:15:27
옵션
  • 창작글

[111][U111] 회룡역

[222] 강남역

[333] 약수역

[444] 산본역
[P555] 마천역

[K111] 이촌역




안녕하세요? 156번입니다.

제가 닷새 전에 K222번 복정역에 갔다 왔었죠

이 역이 서울 송파구와 성남시에 걸쳐져 있어서 좀 멀더군요.

뭔가 주변이 좀 느낌이 특이했습니다. 한적한 것 같기도 하고 번화한 것 같기도 하고 조용한 것 같기도 하고 시끄러운 것 같기도 하고...

아무튼 세쌍둥이 출사의 일곱번째 역인 K222번 복정역을 소개합니다.




20160116_153311.jpg

우선 역명판입니다. 사실 이 역명판은 제가 온 승강장의 반대편에 있는 역명판이죠.

이전 역은 수서, 다음 역은 가천대역입니다.

역번호인 K222이 상당히 눈에 띄네요.

부역명은 동서울대학입니다. 사실 1km 떨어져 있습니다만...

사실, 저도 대학교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제 곧 고2거든요. 수시를 생각하고 있긴 한데...

근데 복정역은 왜 복정역일까요?

옛날에 여기에 복우물이라는 곳이 있었답니다. 복우물을 한자로 하면 福井. 즉 복정입니다.

로마자로 하면 Bokjeong station, 한자로 하면 福井驛, ボクゾン駅입니다.

보시다시피 섬식 승강장입니다. 섬식 승강장은 승강장이 한 가운데에 있고 그 양옆에 선로가 나 있는 승강장이죠.




20160116_153325.jpg
스크린도어입니다. 지하역답게 밀폐형이죠. 보시다시피 아래부터 위까지 다 막혀있는 스크린도어를 의미하죠.



20160116_153347.jpg'

승강장입니다. 다홍색의 거대한 기둥이 특징이죠.

저기 올라가는 계단이 보이네요.




20160116_153359.jpg

여기로 올라갑시다. 왜 8호선 갈아타는 곳 표지판이 있는진 모르겠지만...

그나저나 노란 이정표를 기대하신 건 아니시겠죠? 여긴 엄연히 코레일 소속입니다. 코레일은 파랑이를 좋아하죠.




20160116_153419.jpg

제가 사진을 잘못 올렸나보군요. 승강장이에요.

... 네, 사실 올라왔더니 승강장이 또 나왔습니다. 8호선 승강장이 나온 거죠.

정말 특이합니다.




20160116_153423.jpg

여기 계단 뒤쪽으로 갑시다.

아, 참고로 여긴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소속이에요.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는 5,6,7,8호선 전 구간을 운영중이죠.

반면, 서울메트로는 2호선 전 구간과 1,3,4호선 일부 구간만을 운영중이고요.




20160116_153438.jpg

역 안내도입니다. 3층으로 이루어진 직선 형태의 역사죠.

분당선 이용객 입장에선 좀 불편할 수 있겠군요. 왜냐하면 중간에 8호선 승강장을 거쳐야 하거든요.




20160116_153442.jpg

주변 지도입니다. 오른쪽이 북쪽이죠.

북쪽과 서쪽을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가 감싸고 있습니다. 그 서쪽 너머엔 송파구자원순환공원과 동부간선도로, 탄천과 대곡교가 있죠.

바로 동쪽엔 장지치안센터와 복정역 환승주차장이 있고, 남쪽엔 마을이 하나 있습니다. 그건 북쪽도 마찬가지죠.

복정역은 송파대로와 헌릉로에 있습니다.




20160116_153446.jpg

아무튼, 대합실로 올라갑시다. 이정표 디자인이 아까와 다르죠?

아까 그건 코레일 이정표였고, 이건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이정표거든요.




20160116_153505.jpg
올라왔습니다. 뒤엔 무슨 사무실인지 뭔지가 있었고요, (자세히 보진 않았습니다.)



20160116_153526.jpg
이쪽으로 가면 출구 네개가 다 나온답니다.



20160116_153535.jpg
이 개찰구로 나갑시다. 플랩식이군요.

보시다시피 개찰구에 작은 문이 달려있죠. 카드를 찍지 않고 그냥 지나가려고 하면 저게 닫힙니다.

좀 오래된 건 삼발이 개찰구라고 불립니다. 마치 카메라 삼각대를 옆으로 눕혀 놓은 듯한 장치가 달려있고, 그걸 밀면서 지나가는 거죠. 카드를 찍지 않으면 아무리 애를 써도 안 열립니다.

슬라이딩 개찰구라는 것도 있는데, 좀 새로운 형태의 개찰구입니다. 그 개찰구는 유리로 된 큰 문이 달려있는데, 카드를 찍으면 그 문이 열립니다.




20160116_154825.jpg
대합실입니다. 앞엔 출구로 향하는 길 같은 게 있고, 오른쪽엔 세븐일레븐, 왼쪽엔 노선도와 보증금 환급기, 그리고 여긴 안 찍혔지만 현금 인출기도 있습니다.



20160116_154844.jpg
정면엔 이렇게 갈림길이 있습니다.



20160116_154853.jpg
오른쪽엔 1번 출구와 2번 출구가 있습니다.



20160116_154903.jpg
왼쪽엔 3번 출구와 4번 출구가 있죠.



20160116_154919.jpg
전 오른쪽으로 가겠습니다. 작은 계단이 있군요.



20160116_154937.jpg
그 계단을 오르면 갈림길이 나옵니다. 전 왼쪽으로 가도록 하죠.



20160116_154944.jpg

거의 바로 계단이 나옵니다. 그럼 전 장지동, 잠실 방면으로 가실 수 있는 1번 출구로 가실 수 있는 1번 출구로 나가겠습니다.




20160116_155013.jpg
나왔습니다. 왼쪽엔 송파대로, 정면엔 서울외곽순환도로, 오른쪽엔 공사장이 있습니다.



20160116_155020.jpg

폴싸인입니다. 제가 '9호선식'이라 부르는 형태죠.

여기엔 ボクチョン駅이라 써있고, 제가 소개한 건 ボクゾン駅이었죠.

음... 이게 정식이긴 한데... 사실 국립국어원 외국어 표기가 좀 많이 괴상하다는 말이 있어서...

가나엔 왜 ㅓ가 없을까요?



20160116_155026.jpg
송파대로 북쪽입니다. 이 송파대로는 이 쪽으로 쭉 가다가 서울외곽순환도로 아래를 지나고 8호선 위를 지나면서 가락시장 옆을 지나고 석촌호수 가운데와 롯데월드 옆을 지나다 잠실역에서 8호선과 헤어지고(ASKY) 잠실대교를 통해 한강을 건너다 잠실대교 북단에서 자양로로 변하면서 끝납니다.



20160116_155032.jpg

그리고 이 쪽은 송파대로 남쪽입니다. 이 송파대로는 이쪽으로 쭉 가다 바로 눈 앞에서 성남대로로 변하면서 끝나죠.

즉, 여러분이 보고 계시는 이 곳이 송파대로의 남쪽 끝입니다.

오른쪽엔 SK 주유소가 보이는군요.

그나저나 여긴 뭔 차가 이렇게 많을까요?

여기가 서울과 성남을 잇는 중요한 곳이긴 한데... 그래도 주말 치곤 꽤 많네요.




20160116_155040.jpg
이건 1번 출구의 모습입니다. 보시다시피 지붕이 없죠.

비라도 한번 거하게 오면 참 볼만 하겠네요.




20160116_155105.jpg
이 쪽으로 갑시다. 출구 뒤쪽이죠.



20160116_155115.jpg

이 쪽은 헌릉로 동쪽입니다.

이 헌릉로는 이쪽으로 쭉 가다가 산성역을 만나고 거기서 끝납니다.




20160116_155119.jpg

그리고 이건 헌릉로 서쪽이죠. 저기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가 보이네요.

이 헌릉로는 이쪽으로 쭉 가다가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아래를 지나고 탄천 위를 지나다 용인서울고속도로의 종점과 만나고 언주로와도 만나고 서울 어린이 병원 옆을 지나다 여의천과 경부고속도로 옆에서 강남대로로 변하며 끝납니다.




20160116_155124.jpg

저기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가 보입니다.

우리나라 고속도로는 저렇게 땅을 높여서 짓더라고요. 다른 나라는 잘 모르겠지만.

바로 앞에 4번 출구가 보입니다.




20160116_155140.jpg
저 멀리 위례동이 보이는군요.



20160116_155238.jpg

전 여기로 건널 겁니다.

앞에 교통섬이 보이네요.

교통섬은 옛날에 1vs100에도 나왔죠.




20160116_155309.jpg
20160116_155311.jpg

찍을 게 없어서 이것저것 찍어봤습니다.

여긴 지금 위례 신도시 건설이 한창이죠.




20160116_155322.jpg
음... 저건 뭘까요? 고속도로 타고 다가 보면 가끔 보이는데...



20160116_155436.jpg

건너왔습니다.

타이머가 무려 42초더군요. 삶, 우주, 그리고 모든 것에 대한 답이죠.

근데 차들이 막 신호 위반을 해서 건너기가 좀 무서웠습니다. 바로 옆의 경찰차는 그냥 구경만 하더군요.



20160116_155440.jpg

여긴 복정역 교차로입니다. 정면에 SK 주유소가 보이네요.

지금 경기도 버스가 보이긴 한데, 여긴 서울입니다. 단지 성남과 가까울 뿐이죠.




20160116_155448.jpg
전 이쪽으로 갈 겁니다. 성남대로 남쪽이죠.

이 성남대로는 이쪽으로 쭉 가다가 동서울대학교 옆을 지나고 가천대학교 글로벌캠퍼스 옆을 지나다 성남시청 옆을 지나고 여수천 위를 지나고 성남 아트센터 앞을 지나다 분당선과 헤어지고 (얘도 ASKY) 분당구청 앞을 지나다 탄천을 건너자마자 다시 분당선과 합류하고 (SKY!) 동막천을 건너고 성남농수산물 종합유통센터 옆을 지나자마자 용구대로로 변하며 끝납니다.




20160116_155505.jpg
5초도 안 돼서 2번 출구가 나왔습니다. 이번엔 유리로 된 지붕이 있네요.



20160116_155515.jpg
음... 이 건물은 뭘까요? 나중에 여기가 환승센터라는 걸 알았지만, 이 땐 그걸 몰랐죠.



20160116_155548.jpg
전 이곳을 보고 대체 여기가 뭐하는 덴가 하고 궁금해했습니다. 터미널같지는 않고...



20160116_155619.jpg
2번 출구의 모습입니다. 아까 1번 출구에 비하면 더 나아보이네요. 옆에 폴싸인도 찍혔습니다.



20160116_155638.jpg

K222번... 눈에 띕니다. 아, 222번 강남역과 헷갈리시면 안 돼요.

강남역은 여기서 직선 거리로 9.1km나 떨어져있어요. 그리고 그 역은 2호선과 신분당선이죠. 여기는 8호선과 분당선이고요.




20160116_155645.jpg

아무튼, 여기로 내려갑시다.




20160116_155650.jpg
띠형 역간판을 찍었습니다. 잘 안 찍혔지만요.



20160116_155738.jpg
동서울대학교, 서울국제학교, 복정동, 복정역환승주차장 방면에서 내려왔더니 긴 통로가 나왔군요.



20160116_155903.jpg
그 통로를 지나고 왼쪽으로 꺾었습니다.



20160116_155918.jpg
반대편인 3,4번 출구 쪽으로 갑시다.



20160116_160036.jpg
1,2번 출구와 마찬가지로 작은 계단이 나옵니다.



20160116_160106.jpg
왼쪽으로 꺾으면 곧바로 3번 출구가 나옵니다. 가다가 왼쪽으로 살짝 꺾이는 특이한 형태의 계단이군요.

그럼 전 세곡동, 양재 방면으로 가실 수 있는 3번 출구로 나가겠습니다.




20160116_160154.jpg
나왔습니다. 그랬더니 헌릉로 서쪽과 폴싸인이 나오는군요. 저쪽엔 서울외곽순환도로가 있고요.



20160116_160207.jpg
복정역 3번 출구 폴싸인입니다. 1,2번 출구 폴싸인과 동일한 형태죠.



20160116_160214.jpg
복정역 교차로입니다. 정면에 2번 출구와 환승 주차장이 있고요, 장지치안센터도 보입니다.



20160116_160218.jpg

3번 출구입니다. 조금은 초라하네요. 1번 출구와 같은 형태입니다.

근데 출구 지붕을 없앤 건 좀 아닌 것 같아요.




20160116_160222.jpg

3번 출구는 특이하게도 바로 옆에 SK 주유소가 있습니다. 완불 주유소군요. 특이한 이름이네요.

하긴 인천엔 수정 주유소도 있으니까...




20160116_160248.jpg
이건 송파대로 북쪽이죠. 저쪽엔 4번 출구가 있습니다. 꽤나 가깝네요.



20160116_160254.jpg

저기 기중기가 열하나 보입니다. 신도시 건설 현장이죠.

여긴 차가 참 많네요. 전 출사 글 올릴 때마다 얼굴이랑 번호판은 꼭 가리는데, 번호판 다 가리느라 힘들었습니다.

아까도 말했지만, 여기가 서울과 성남을 잇는 중요한 곳이죠. 게다가 지금 이렇게 신도시까지 건설 중이니...

그나저나 이 신도시에 노면전차가 생긴다던데...




20160116_160304.jpg
주유소 너머로 서울외곽순환도로가 보입니다.



20160116_160312.jpg
전 바로 앞에 있는 4번 출구로 갈 겁니다.



20160116_160343.jpg

바로 앞에 폴싸인이 보입니다.

믿기진 않겠지만, 저 새까만 기둥이 폴싸인입니다.




20160116_160352.jpg
배경이 고속도로인 폴싸인은 그리 흔치는 않죠.



20160116_160402.jpg
뒤돌아보자마자 놀랐습니다. 여긴 유일하게 경사로가 있거든요.




20160116_160413.jpg
전 여기로 내려갈 겁니다.



20160116_160433.jpg

내려가자마자 갈림길이 나옵니다. 정면엔 3번 출구가, 왼쪽엔 대합실이 있죠.

전 대합실로 내려갈 겁니다.




20160116_160729.jpg

여기가 어딘지 아시겠나요?

여긴 2번 출구입니다. 저 쪽으로 가면 뭔가 있을 것 같아서요.

왜냐면 전 지금 뭔갈 먹고 싶기 때문이죠.




20160116_160757.jpg
음... 저건 판자촌일까요?



20160116_160820.jpg
'ㅓ망의 새시대'로 찍힌 건 고의가 아닙니다.



20160116_160931.jpg
여기 어느 하천이 있군요. 하천 이름이 뭔진 모르겠지만.



20160116_160948.jpg

○○에 □□을 심자.

어떤 한자인 지 아시는 분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어느 새가 있는 조형물이 놓여있습니다.




20160116_160953.jpg

여기 공사장이 바로 보이네요.

근데... 저 하천 수질은 괜찮은 걸까요?

제가 마시는 물일 수도 있는데...



20160116_160956.jpg

저긴 위례 신도시일까요? 아니면 산성동?

'저건 산성동이다'에 저 하천 물 한 컵을 겁니다.




20160116_161010.jpg

여기 뭔가 써있습니다.

시 즈 탑

본 탑은 성남청년회ㅢ   창림 제 14주년,

세계인의 축제인 제24회 서울올림픽 기간중

하키와 레슬링 경기가 누리고장에서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기넘하기 위하여 세웠으며 탑위의

막 비상하려는 까치상은 만가움과 은혜를 뜻 하는

성남시민의 사랑을 반고있는 시조로시 싱남시를

방문하는 이들을 환영하며 이제 안정된기반 ㅣ에서

성남시민 모두가 서로 힙럭하여 이곳에 고향을 심고

무긍히 발전힐 수 있음을 상징ㅎ  있디.

1988녀10윌12일

성남청년회의소회원 일농


번역하면


시 조 탑

본 탑은 성남청년회의소 창립 제 14주년과

세계인의 축제인 제24회 서울올림픽 기간중

하키와 레슬링 경기가 우리고장에서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기념하기 위하여 세웠으며 탑위의

막 비상하려는 까치상은 반가움과 은혜를 뜻 하는

성남시민의 사랑을 받고있는 시조로서 성남시를

방문하는 이들을 환영하며 이제 안정된기반 위에서

성남시민 모두가 서로 협력하여 이곳에 고향을 심고

무궁히 발전할 수 있음을 상징하고 있다.

1988년10윌12일

성남청년회의소회원 일동

이렇게 써 있습니다.
그러니까, 서울올림픽 하키와 레슬링이 성남에서 개최됐다는 의미죠.




20160116_161026.jpg

○국의 미래 □□의 책임

한자를 아시는 분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그나저나 저 새가 까치였군요.




20160116_161039.jpg
저기에도 SK 주유소가 있군요.

같은 회사의 주유소가 왜 같은 곳에 두개나 있을까요?




20160116_161130.jpg
드디어 마을이 나왔군요.



20160116_161220.jpg
건넜습니다. 지금 정면의 이 길은 성남대로 1542번길이죠.



20160116_161228.jpg
오른쪽으로 꺾었습니다. 이 쪽으로 가보도록 하죠.



20160116_161354.jpg

절반정도 걸었습니다.

아직까진 별건 없어보이네요... 그냥 평범한 마을입니다.




20160116_161409.jpg
큰 길 쪽엔 오일뱅크가 있습니다.



20160116_161542.jpg
한 5시간은 걸어왔습니다. 왼쪽을 본 모습이죠.



20160116_161545.jpg

정면엔 웬 공원이 있습니다. 나중에 지도를 보니 상당히 길더군요.

인천 중앙공원과 비슷하지 않나 싶은데...




20160116_161548.jpg
아무튼, 큰 길 쪽으로 나옵시다.



20160116_161602.jpg
음 저기 길 건너편에 기와말이라고 써 있군요. 그 밑에 작게 복정동이라 써 있고요.

기와말이 뭘까요?




20160116_161630.jpg여긴 마을이라 그런지 고속도로에 방음벽이 설치돼있습니다.



20160116_162658.jpg
제가 오늘 먹은 겁니다. 짬뽕이죠. 면발이 '이건 수타면이다'라는 것을 매우 강력하게 알리고 있더군요.



20160116_164711.jpg
가게 이름이 특이합니다. '뿅의 전설'...




20160116_164734.jpg
전 2번 출구로 돌아갈 겁니다.



20160116_165038.jpg

여러분은 지금 서울-성남 시계를 보고 계십니다.

이 시계는 시간을 측정하는 기계가 아닌, 도시간의 경계를 의미합니다.




20160116_165042.jpg
아까 그 다리입니다. 저기 공사장이 보이네요.



20160116_165315.jpg

들어갑시다.

아까 박원순 시장과 닮은 사람이 나왔더군요.

역삼역에서 데프콘 닮은 사람도 봤습니다.




20160116_165528.jpg
대합실입니다. 아까 처음에 있었던 곳이죠.



20160116_165558.jpg
개찰구입니다. 여기로 지나갑시다.



20160116_165653.jpg
여기로 내려갑시다. 승강장으로 내려가는 길이죠.



20160116_165712.jpg
8호선 승강장입니다. 좀 전에도 봤었죠.



20160116_165718.jpg

8호선 복정역의 스크린도어입니다. 이전 역은 장지, 다음 역은 산성역입니다.

참고로 복정역은 8호선도 섬식이에요.




20160116_165746.jpg

이건 역명판이죠. 뭔가 색이 많이 연하네요.

이전 역인 장지역은 없습니다.




20160116_165755.jpg
여기로 내려갑시다. 분당선 승강장으로 내려가는 곳이죠. 옆에 환승띠가 보이네요.



20160116_165921.jpg
전 이 열차를 타고 집으로 돌아갑니다.





이건 신도림역에서 찍은 영상입니다.

하나 더 찍었는데, 거기 사람 얼굴이 찍히는 바람에...

같은 이유로 못 올리는 동영상은 총 다섯개입니다. 오류동역에서 하나, 약수역에서 하나, 산본역에서 하나, 이촌역에서 하나, 그리고 이곳 신도림역에서 하나.




오늘 출사는 여기까지입니다.

이것으로 K222번 복정역 출사를 마칩니다.

이 출사는 2016년 첫 출사입니다.

다음 출사이자 세쌍둥이 출사의 마지막 출사인 I111번 귤현역을 기대해주시기 바랍니다.


여정 시작 시각 - 13시 15분으로 추정

출사 시작 시각 - 15시 30분

출사 종료 시각 - 16시 59분

여정 종료 시각 - ??시 55분으로 추정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