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유아인의 말투에 대한 반응을 보고, 문학산업의 발전방향을 깨달았어요
게시물ID : freeboard_1668807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건전한인간
추천 : 4
조회수 : 349회
댓글수 : 2개
등록시간 : 2017/11/27 09:40:35
1. 유아인의 트위터를 보고 '말이 참 문학적이다' 라는 것을 느꼈어요. 
   말이 문학적이라는 것은 자신의 뜻을, 비유해서 표현하는 것을 말하죠. 
   
   일상투 : 너 지금 무슨 말을 하냐? 
   
   일상투는 묻는 것이긴 하지만, 글로 표현할 경우 딱딱한 느낌을 주죠. 
   또한 의미도 여러가지로 해석될 수 있구요. 때문에 '뒷문장을 수식절' 처럼 
   사용해야만 의미가 확연해져요. 

   일상투 : 너 지금 무슨 말을 하냐? 알아듣지도 못하겠네    : 못 알아들음 
   일상투 : 너 지금 무슨 말을 하냐? 진짜 그런 일이 있었어?  : 의미 확인용
   일상투 : 너 지금 무슨 말을 하냐? 일단 앉아봐 새끼야      : 조폭들이 하는 용도 
   일상투 : 너 지금 무슨 말을 하냐? 내가 LA에 있을 때는     : 훅 치고 들어옴 
 
   그러나 문화적인 말투를 사용한다면 느낌이 달라지고, 말하고자 하는 바가
   명확해지죠.  

   문화투 : 네 말은 귓가에 맴돌다 사라지는 것 같아 

   라는 식으로, 의미를 전달하고 보다 글로 표현했을 때 감성이 느껴지죠. 
   
2. 유아인의 트위터는 상당히 문학적인 표현이 많아요.
   그런데 여기에 한국인들의 반응이 나타나죠. 

   1) 메갈 : 어휴! 중 2 병 돋구요. 
   2) 정상인 1 : 문학적인 글귀가 너무 좋아요.
   3) 정상인 2 : 좋기는 한데, 저걸 말로 한다고 생각하면 쫌...

   메갈을 제외한 정상인들의 반응도 둘로 나뉘고 있죠. 
   여기서 문학이 사양산업임을 느끼게 됐어요. 
  
   우리나라 사람들은 말을 할 때, 비유적인 표현을 쓰는 걸 꺼려해요. 
   대부분 비유적인 표현은 장난칠 때, 혹은 비아냥 거릴때 표현할 뿐.
   일상적인 대화나, 연인들과의 대화에서 쓴다고 하면 오글거린다고 하죠. 

3. 과거 우리나라 조상들은 어떠했을까요? 
   문학이 발달했던 조선후기에는 일반 백성들도 연극을 통해 비유를 
   표현했고, 일상생활에서도 많은 것을 나타냈죠.
  
   김삿갓도 비유적인 표현을 사용하여 시구를 나타냈는데,
   김삿갓의 시구에 나오는 일반인들도 시구처럼 표현을 할 정도로
   
   제법 문학적인 말투를 사용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문학이 발달한 국가에서는 일상에서 문학적인 표현을 
   많이 사용하죠. 이에 대한 반응도 지극히 '평범' 하다 하구요.  

   유럽에서는 
   이탈리아 사람들이 '너의 눈은 보석같아' 를 자주 쓰고
   프랑스 사람들이 '우리 빵은 천연감미료를 갈아넣은 보석이지' 라고 하고
   영국 사람들이 '우리의 문화는 기차가 지나가기전 깔려둔 철도와 같다' 고 하죠.
   
   미국에서는 
   인종차별을 비판할 때 '우리는 모두 하나에서 태어난 사람들이야'라고 하고 
   어린아이를 보호하며 '아이들이 꿈을 먹고 자랄 수 있도록 도와야죠'라고 하고 
   상대방을 칭찬할 때 '인생에서 너같은 사람을 만나 진짜 기뻐' 라고 해요 
   
   일본에서도 우리는 다소 중 2병 돋는다고 하지만, 이런 식의 문학적인 표현을
   많이 사용하고, 노래에서도 자주 사용되죠. 
   어떤 사람들은 일부러 어려운 걸 넣어서 지적이게 보이려고 한다고 비판하는데
   J-POP의 대부분이 간단한 문구보다는 문학적인 표현을 사용하는걸 알 수 있죠. 

4. 우리나라에서도 문학산업이 발전하려면 먼저 
   '문학은 글에서만 볼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현실에서도 일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라는 인식을 심어주면 될 것 같아요. 

   많은 사람들이 문학적인 표현을 일상투로 사용한다면, 사람들은 더이상
   문학을 꺼리지 않을 거에요. 동시에 거리감을 좁히고, 다른 사람들의 표현을 
   과감없이 받아들일 수 있어요 

   또한, 문학산업이 발전할 길도 보일 것 같아요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