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저희는 단원고등학교 2학년 학생입니다>
게시물ID : bestofbest_167138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행복자판기
추천 : 342
조회수 : 19597회
댓글수 : 37개
베오베 등록시간 : 2014/06/26 10:41:30
원본글 작성시간 : 2014/06/25 20:22:00
<저희는 단원고등학교 2학년 학생입니다>
저희는 단원고 2학년 학생들입니다. 오늘 저희는 우리 모두의 뜻을 전하기 위하여 이 자리에 섰습니다. 모두가 부푼 기대로 떠났던 수학여행이 돌이킬 수 없는 사고로 물거품이 되어버렸습니다. 저희는 4월 16일 사고 직후 진도에서 안산으로 오게 되었고 6월25일인 오늘 등교를 하게 되었습니다.

사고가 난 후 탈출을 한 학생들은 팽목항과 서가차도로 옮겨졌습니다. 친구들의 생사마저 알 수 없었던 저희들은 지역 주민들의 도움을 받고 기다릴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이게 됐습니다. 하지만 빨리 친구들과 선생님 부모님을 만나고 싶다는 기대와는 달리 기자들이 우리를 둘러싸 사진을 찍고 질문을 했습니다. 아이들이 그런 사진을 찍을 수도, 질문에 답할 상황이 아님을 앎에도 불구하고 자신들의 욕심을 채우기 바빴습니다.

아직도 기자라는 말 만들어도 공포에 떠는 친구들이 많습니다. 기자들의 카메라 렌즈가 저희에겐 다신 지울 수 없는 상처로 다가왔습니다.

팽목항으로 이동하여 버스를 타기 전까지도 많은 기자들이 사진을 강제로 찍었습니다. 싫다고, 하지 말라고 했지만 신경도 쓰지 않은 채 촬영을 강행했습니다. 저는 아직도 카메라 뒤로 보이던 한 기자의 웃는 얼굴을 기억하고 있습니다.

팽목항에서 진도체육관으로 이동해서도 저희에게는 불안과 공포의 연속이었습니다. 많은 기자들을 차단하지도 않고 저희들을 방치했습니다. 한시도 쉬지 않고 많은 기자들이 인터뷰를 권유했고 그 역시 친구들에게는 상처로 다가왔습니다.

친구들의 생사 여부도 확인하지 못하고 있는 우리에게 사리사욕을 채우고자 사진을 찍고 인터뷰를 했습니다. 진도 체육관에서도 저희들을 몇 시간 동안이나 어떠한 조치도 이루어지지 않다가 겨우 안산 고려대학병원으로 이송되어졌습니다.

사고로 인한 많은 기사들이 있었습니다. 그중에는 와전되어 오보되는 기사가 많았습니다. 특히 정치인들이 선거 공약으로 내세웠던 내용들이 마치 생존자 학생들과 가족들이 사고를 어떤 기회로 삼으려는 듯이 기사 내용에 표현되었고, 그런 기사를 접한 사람들은 우리 모두를 비난했습니다. 그 비난은 또 다른 상처로 저희들에게 고스란히 남아 있습니다.

저희는 아직도 수많은 트라우마를 겪고 있습니다. 처음엔 샤워를 하지도, 잠을 자지도 못할 만큼의 공포에 시달려야만 했습니다. 고려대학병원과 중소기업연수원에서 많은 의사 선생님들과 다양한 ‘치유 프로그램’ 선생님들, 그리고 도움을 주시는 상담 박사님과 교수님들의 아낌없는 지원으로 지금은 모두가 회복되어가는 과정을 겪고 있습니다.

물론 지금의 단계에 오기까지 힘든 시간을 겪어야 했습니다. 다양한 치유 프로그램에 적응하지 못하는 친구들이 있었고 많은 치유 프로그램 선생님들을 만나는 것 자체가 힘들었던 친구들도 있었습니다. 그런 프로그램을 하면 할수록 잊고 싶던 사고의 기억을 억지로 회상해야 했습니다. 치유 프로그램을 하는 것에 있어 저희들의 의사는 존중되어 지지 않았습니다.

우리들의 정서적 치료에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들임을 저희들에게 먼저 설명해 주시고 그 필요성을 먼저 설명해주시기를 저희들을 바라고 있었습니다.

다신 지울 수 없는 상처가 가슴 깊이 새겨진 저희를 위로하고 격려해주시는 많은 분들이었습니다. 안부를 물으시는 분도, 유감을 표하시는 분들도 있었습니다. 그에 반면,사고를 회상시키는 질문을 하고 탈출 과정을 묻기도 하며 SNS와 메신저를 통해 불쾌한 메시지를 보내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심지어 너만 살아 나와서 좋으냐. 친구들을 어떻게 배신하느냐와 같은 말로 저희들에게 비수를 꽂는 분들도 있습니다. 그런 말들을 들을 때마다 가슴이 찢어지듯 아파 오고 친구들에 대한 죄책감과 미안함이 복받쳐 눈물을 흘리기도, 끔찍한 상상을 하기도 합니다. 좋은 관심이든 나쁜 관심이든 이제는 그만해 주시길 바랍니다.

이러한 관심에 너무도 지쳐있는 저희들입니다. 저희 모두는 이제 사고 이전으로, 원래의 생활로 돌아오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습니다. 그저 평범한 18세 소년·소녀로 대해 주시길 바랍니다. 저희는 요즘 많은 감정에 휩싸일 때가 많습니다. 슬픔을 이기지 못해 하염없이 울 때도 멈추지 못할 만큼 웃음이 나올때도, 아무일도 못할 만큼 무력해질 때도 있습니다. 그런 저희를 이해 안된다는 시선이나 안쓰러운 시선으로 보지 말아주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저희에게는 애타게 불러보아도 다신 만날 수 없게 된 친구들과 선생님이 있습니다. 이 자리에 모두 모일 수도 아니 어쩌면 이런 자리가 없었을 수도 있었지만, 책임을 회피하는 어른들, 이기심이 가득한 어른들 때문에 우리 곁을 떠나야만 했던, 그런 친구들과 선생님들이 저희에겐 있었습니다.

과거형으로 말할 수밖에 없음에 가슴이 시리게 아파오고 또다시 눈물이 납니다. 주의 어른들은 항상 잊고 힘내라고 말하십니다. 하지만, 저희들은 그들을 기억하며 추억하게 될 것입니다. 그들을 잊지 않는 것이 저희가 할 수 있는 최선임을 알기 때문입니다.

그들과의 추억은 죄책감의 기억이 될 수도, 계속 함께하지 못함에 대한 미안함의 기억이 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우리가 그들을 기억하듯 국민 여러분들도 잊지 말아주시길 바랍니다.

저희는 나라를 이끄는 모든 어른들이 철저한 진상 규명을 통해 책임자를 엄벌해주길 바라고 있습니다. 우리 친구들과 선생님들이 왜 희생되어야만 했고, 왜 구조작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더 많은 희생자가 생겨야만 했는지에 대해 확실한 조사를 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앞으로는 이번 사고와 같은 끔찍한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보다 안전한 나라가 되기 위한 노력을 해주시실 바랍니다.

사람이 진짜 죽을 때는, 잊혀질 때라고 합니다. 다시한번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2014년 4월16일. 세월호를 잊지 말아 주세요.

잊히는 순간 정말 모든 게 끝난다는 걸 기억해 주시길 바랍니다. 희생된 친구들과 선생님들, 그리고 세월호를 부디 잊지 말아주시길 바랍니다.

2014년 6월25일

단원고등학생 생존 학생 일동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