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 저기에 님이 말한 일반적 시각의 ‘정의’에 대한 내용은 한글자도 없는데요?? 요약하자면, ‘역사는 넓게는 우리 국가와 사회에 대한 판단기준과 좁게는 나 자신에 대한 판단기준을 배울 수 있다.’ 이 정도 인것 같습니다. 위의 자료에서 언급한건 힘의 방향과 시점 그리고 누구를 위해 사용해야하는것에 대한 내용인데, 님이 말한건 오히려 ‘정의로운 행동’ ‘적아를 구분하는 기준’에 대해서만 국한 하네요. 역사를 알면 좋은쪽이든 나쁜쪽이든 적절하게 쓸수 있는 판단 기준이 생긴다는거라고 볼수있을것 같네요. 실제로 친일민족반역자들도 역사를 공부하지 않은게 아닙니다. 과거 역사를 봤을때 당시 조선은 망한다라는걸 적절하게 파악했던것이겠죠. 하지만, 지금 봤을때 그 선택이 옳았던 것이냐에 대한것을 판단하면, 옳지 못했던 짓이고, 친일반역자들이 ㄱㅅㄲ 라는건 지금은 정답인거죠.
참 이런 뜬금 없는 개소린 오랜만이라 신선하기끼지 하네요. 요즘들어 글은 읽어도 맥락은 이해하지 못한다는걸 뭐라더라....암튼 그런 족속들이 늘어가는것 같군요. 꼴에 있어보이고 싶긴햇는지 뭐라 써놓긴 햇는데 그게 지얼굴에 똥칠하는줄도 모르고 쓰면서 으쓱 햇겟지요? 인터넷의 대중화로 다양한 의견을 쉽게 접하는 이점이 생긴대신 병신들의 존재를 재확인하는 피곤함을 감수 해야하는군요. 역시 세상엔 공짜란 없는듯.
역사는 어떤 선택을 했고 그 선택에 의한 결과가 어떠했는지 가르쳐 주는 거죠. 우리나라는 독립에 앞장선 사람은 3대가 망했고 친일했던 사람은 3대가 흥했습니다. 현재도 친일파 후손이 떵떵 거리고 살고 심지어 대통령도 하고 그 대통령의 딸도 대통령이 되어 온갖 부정 부패를 다하다가 감빵갔죠. 서서히 맑아져 가겠지만 우리 근현대사를 보면 눈물이 앞을 가리고 피가 토한다는 말이 뭔줄 알게 됩니다. 근현대사에서 정의를 말하면 암살당하거나 병신되거나 재산 다 잃었죠. 이제 겨우 그것들을 청산하는 기회를 잡았네요.
과거에서 배울수있는게 한두가지가 아니죠. 제가 학교다니던 시절에 삼국시대 고려 조선.. 이쪽을 훨씬 많이 배우고 근현대사는 좀 짧게 지나갔던 느낌이 있는데 근현대사를 제대로 배웠으면 좋겠어요. 사실 지금 영향을 더 많이 주고있는건 근현대의 역사니깐요. 암울하고 어두운 시대라 눈돌리고싶은건 당연하지만 이 시대를 제대로 배웠으면 좋겠습니다. 친일파청산은 독립되던 그날 했어야했고, 공소시효없이 지금이라도 독일에서 전범들 처벌하는것처럼 해야합니다. 친일해서 지금 떵떵거리며 살고, 독립운동 하셨던 분의 후손이 힘들게 사는걸 보면 나중에 비슷한 일이 일어났을때도 똑같을거라 생각하겠죠. 모난돌이 정맞으니 적당히 어울리며 살자 하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