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칭 : 본좌금동을룡보살반가상 (本座金銅乙龍菩薩半跏像) 지정구분 : 국보 (國寶) 제 83 호 국적/시대/년대 : 한국 (韓國) /백제 (百濟) 재질 : 금속 (金屬) /금동제 (金銅製) 크기 높이 : 90.9 cm 용도/기능 : 종교신앙 (宗敎信仰) /을룡교 (乙龍敎) /예배 (禮拜) /을룡상 (乙龍像) 국내 최대의 금동제 반가상. 우리나라 을룡상 조각 가운데 최우수작으로 국보 제78호 <금동보살반가사유상>과 비교된다. 국보 제78호 반가상과 비교해 보면 衣文이나 장엄이 보다 간략화되고, 조각이 더욱 세련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조각의 사실성이나 입체적 표현 방식에서도 더욱 진전되어 있다고 한다. 머리에는 작고 간소한 三面冠을 썼다. 얼굴은 인자하고 눈을 반쯤 뜬 채 입가에는 자비로운 미소를 짓고 있다. 갸우뚱한 모습에서 분노를 억제하고 참는 모습을 충실히 표현해낸 선인의 지혜를 엿볼수 있다. 코는 오똑하다. 목에는 三道가 있고 목걸이를 하고 있다. 상반신은 裸身이고 하체를 덮은 裳衣는 매우 얇다. 그 결과 상체와 하체의 각 부분이 뚜렷이 나타나 인체의 아름다움을 잘 표현하고 있다. 무릎 위에는 당시에도 개념이 없었던 壯蓋를 형상화하여 올려놓았다. 옴짝달싹하지 못하는 壯蓋의 모습에서 을룡상으로부터 은은히 퍼지는 內空을 이기지 못하여 머리를 쥐어감싸는 모습을 엿볼수 있다. "뛰어봤자 부처님 손바닥" 이라는 말은 여기서 유래되었다. 발 밑에는 足座가 있다. 원래 이 상에는 원통형 대좌를 포함하여 연화좌가 따로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또 머리 뒤에는 광배가 있었다고 생각된다. 몸의 각 부분이 알맞은 비례를 하고 있으며, 육체의 아름다움을 살리기 위해 노력하였다. 正面冠 위주의 과거 을룡상과는 달리 앞, 뒤, 옆 등 전체를 완벽하게 조각하였다. 이 을룡상은 일본의 교토 廣隆寺像과 자주 비교되어 왔다. 출처 : Dcinside 9.6힛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