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백인들이 생각하는 인종간의 위계도
게시물ID : humordata_1814753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대양거황
추천 : 18
조회수 : 7458회
댓글수 : 44개
등록시간 : 2019/05/12 20:28:03
옵션
  • 펌글

유럽애들이 남미 가서 인디언들 통치하려고 했더니, 소수로 몇십, 몇백배, 아니 몇십만배의 인디언들을 통치해야 되잖아요. 인종 카스트 시스템을 만들었습니다. 최상부에 자신들을 위치시키고, 자기들이 강간하거나 결혼해서 낳은 자식들을 그 밑에 위치시키고, 다시 걔네들이 인디언들과 결혼해서 낳은 자식들은 백인의 피가 흐려졌으니 더 밑에 위치시키고 이런 식으로 카스트 제도를 구축했습니다.

 

멕시코에서 있던 16단계 인종 카스트 분류법입니다.


다운로드.jpg

브라질 버전도 똑같습니다. 

저 그림을 설명하자면 아래의 표에 대응한다고 볼 수 있는 데요. 

보통 그냥 혼혈을 메스티조 라고 하지만, 이게 사실 메스티조, 카스티조, 모리스코, 알비노, 로보....각기 명칭이 있고 복잡합니다. 아래 표를 보면 잘 설명되어 있습니다.


다운로드 (1).jpg

근데 얘들이 이걸 남미에서만 한 게 아니라,

동남아 와서도 똑같이 카스트 시스템을 구축해놓고 갔습니다. 스페인이 만들어 놓은 필리핀의 9단계 카스트 시스템입니다. 남미의 9단계 카스트 시스템과 기본적으로 동일합니다. 차이점이라면 흑인 혼혈 대신에 중국 혼혈이 등장하고, 남미 인디안 대신에 동남아 원주민(오스트로네시안)으로 대체되었죠.


다운로드 (2).jpg

이 카스트 제도가 자생적으로 자라난 게 아닙니다. 

피라미드 보시면 스페인 본토 출신 백인을 최고로 쳐주고, 식민지에서 태어난 순혈 백인은 그보다 아래 계급입니다. 식민 통치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 조직한 거라서, 백인 간에도 유럽 백인이 식민지 출생 백인보다 우월하다고 배치해 둔 거죠. 단순히 피부의 하얀 정도(whiteness)가 문제가 아니었죠.


다운로드 (3).jpg

저게 식민지 시절이고, 그럼 오늘날 현대는 어떠한가.

대략 이렇습니다.

백인 > 갈색 피부 > 인디안 > 흑인 순으로 4단계 카스트인데, 갈색 피부안에 혼혈들을 다 뭉뚱그려 두었습니다. 


다운로드 (4).jpg

한편, 미국의 그것은 이것과 또 다른데, 미국은 인디언들 쓸어내 버린 다음에 백인들이 지들끼리 서열을 다퉜습니다. 그래서 아래와 같은 그림이 나왔습니다.

그림에서 "Line of Whiteness" 가 보이십니까? ㅋㅋㅋ


다운로드 (5).jpg

아이리쉬는 백인으로 안쳤습니다. Line of whiteness 밑에 있죠.  ^^;;  

전에 제가 프차에 글 쓴 적 있었습니다만, Irish들을 white negro라고 부르며 조롱하던 거라서요, 미국 건국이래 수백년간 유색인종 취급받다가 1950년대 이후 그 족쇄가 풀린 거죠. 

왜 Irish들만 차별대우했는가. 유럽에서 잉글랜드 애들이 아일랜드를 정복한 후 열등 민족이라고 퍼트리고 핍박하던 게 건너온 거죠.

(우리나라가 일본에게 계속 점령당하고 있었으면 저 꼴 당하지 않았을까 싶어요. 조센징이라고 조롱하며 열등민족이라고 일본이 전 세계에 열심히 알렸겠죠)

 

 

제가 전에 빨강머리 앤은 인종차별에 항거하는 소설이라고 설명드렸었지요. 빨강머리에 주근깨는 아이리쉬인의 인종적 특징이고, 그 소설이 쓰여지던 1910년대에는 아직 백인으로 인정못받고 white negro 라고 조롱받던 시절이었습니다. 그래서 앤은 자신의 주근깨와 빨강 머리를 싫어했죠. 그 열등감을 극복하고 자신이 아이리쉬임을 인정하는 과정이 그려진 소설이었고, 앤을 받아들인 매튜 아저씨는 인종차별에 저항하는 참된 선각자 캐릭터였죠. 

 

 

여하튼 본래 얘기로 돌아가 60년대의 JFK를 기점으로 Irish들은 미국에서 이제 완벽히 백인으로 대우받게 되었는 데, 그 다음 문제는 러시아계 슬라브족이었습니다. 슬라브족은 원래 유럽에서 문화후진국, 야만스럽다고 조롱받고 같은 백인으로 안쳐주던 게 있어서, 미국 건너와서도 백인으로 안쳐주는 경향이 있었죠.

 

잠깐 여기서 짚고 넘어갈 게, 코카시안 인종(코카서노이드)라고 그러면 유럽 백인들과 함께, 중동의 셈족이라거나 러시아 & 동유럽의 슬라브 족들이 다 들어가는 데, 백인들 사이에서는​ 보통 백인이라고 말하면 유럽 백인들만을 지칭합니다. 그래서 whites 다음에 European이라고 말을 부언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구글에다가 Caucasian이라고 쳐보세요.

 

adj 1. white-skinned; of European origin.

    2. relating to the Caucasus.

n. 1. a white person; a person of European origin.

     2. a person from the Caucasus.

슬라브족이나 중동인들과 혼동하지 말라고, of European origin이라고 딱 적어놓았죠.

이게 백인애들 생각입니다.

슬라브는 자신들을 유라시아 거주 민족이라고 말하는 데, 유럽애들은 유라시아를 백인 영역으로 안칩니다. 중앙아시아 제 민족들이 있어서... 

아랍 셈족을 백인으로 안 치는 것처럼, 유라시아쪽도 백인으로 안칩니다. 

 

이게 유전학적으로 코카서노이드에 아랍 셈족과 러시아 슬라브족이 들어간다고 해서, 피부 색깔 하얗다고 해서 백인으로 쳐주는 게 아니라, 문화적, 지리적 요소가 결부된 것이거든요. 유럽 문화가 아니고, 유럽이라는 땅덩어리에서 살지 않았다는 거죠.

 

다시 미국내에서의 인종 위계질서로 돌아가서, 아이리쉬 이후 슬라브 족들을 백인으로 쳐주는 과정이 1960~80년대 사이였다고 보는 데, 이게 스리슬쩍 해결되게 된 계기중 하나는 80년대 히스패닉들의 대거 유입이라고 봅니다. 히스패닉에 비하자면, 슬라브족은 백인으로 수용가능한 범위라는 거지요.

 

꽤 재밌는 글을 최근에 하나 보았는 데, 이런 거였습니다.


다운로드 (6).jpg

미국에 와 있는 필리핀 여자애가, 자기가 보는 인종 위계질서를 그린 겁니다.

백인을 상위 계급으로 그리고, 한, 중, 일본을 "명예 백인"이라고 중간 계급으로 그려놓고, 그 밑에 캄보디아, 라오스, 몽족, 아프리카 출신 등을 하층 계급으로 그려놓았습니다. 

이 필리핀 여자애는 피부 하얗고 미국 사회에 동화된 히스패닉은 백인 계급에 속한다고 보고, 피부색깔 중간 정도 히스패닉은 중간계급에 속한다고 보고, 피부 까만 히스패닉(도미니카인, 프에르토리코인)은 하층계급이라고 분류했습니다.

 

한마디로 피부색깔의 whiteness가 곧 상류계층 정도라고 인식하였죠. 

 

미 본토인들의 분류와는 뭔가 좀 다른 데, 왜 이렇게 인식하게 되었느냐 하면,

필리핀 여자들이 식모로 전세계에 많이 나가잖아요. 

 

레바논에 식모로 많이들 가는 데, 거기 가면 레바논인들이 자신들이 더 피부가 하얗고 부유하니까 자기들을 상위 인종으로 여기고, 필리핀 식모들을 깔본다고 합니다. 하지만 동시에 필리핀 식모는 스리랑카나 에티오피아인처럼 피부가 까맣지는 않으니까, 애들이 무서워하지 않는다며 식모로써 적격이라고 여긴다는군요. 

레바논 > 필리핀 식모 > 스리랑카인 순인 거지요.

그런데 만약 레바논 남자가 필리핀 식모를 좋아하게 되면, 한 랭크 아래로 왜 내려가려 하냐고, loser라고 조롱받는다고 합니다. 

 

이 필리핀 여자애는 이 구도를 미국에서도 발견하였는 데, 백인 여자가 동양인 남자를 좋아하고 결혼하려고 하면 왜 한 랭크 아래로 내려가려 하냐고 꺼리는 문화적 시선을 발견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한, 중, 일, 필리핀인 같은 동양인 남자들은 미국 문화에서 거세되는 경향이 있다고 보았습니다. 

 

이거 뭔가 주관적이고, 엉성하고, 또 일부는 명백히 틀렸으면서도, 통렬하게 꿰뚫는 면이 있는 관찰이더군요.


P.S. 남미에 백인-인디언들 혼혈이 있는 것은 알겠는 데 왜 뜬금없이 흑인들, 흑인 혼혈들이 있는가.

서양애들이 노예 노동력으로 사와서 퍼트려 놓아서 그렇습니다. 

 

카리브해에는 타이노 족이라고 기원전 4천년전부터 살던 남미 인디안 종족이 있었는 데, 콜롬부스 이후 백인들이 와서 학살하고 노예로 부리다 멸족시켜 버렸고, 지금 거기가 흑인 국가가 되어버린 게 아프리카에서 끌고온 흑인 노예들이 대신 들어앉아 사는 것이거든요.

 

남미만 그런게 아니라 북미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카리브해 자체가 그렇게해서 원주민들은 멸족하고 흑인 국가로 탈바꿈한 게 부지기수 거든요.  

 

 

카리브해의 슬픈 영가- 사탕수수밭 흑인노예 후손의 눈물(한국경제신문, 2010. 1. 22)

"아이티 대지진 참사 직후 아프리카 압둘라예 웨이드 세네갈 대통령은 "아이티 이재민에게 무상으로 땅을 주겠다"며 "자신의 뿌리를 찾아오겠다면 제한없이 환영한다"고 밝혔다. 아이티 이재민들의 조상이 자신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이스파뇰라섬으로 끌려갔던 만큼 조상들의 땅으로 귀국하겠다는 권리를 인정하겠다는 게 세네갈 정부의 설명이었다.  

이런 발언의 연원은 유럽의 식민지배와 노예제 플랜테이션의 역사로 거슬러 올라간다. 15세기 말 콜럼버스가 이스파뇰라 섬에 왔을 당시에는 '타이노'족이라는 원주민이 살고 있었다. 하지만 스페인 식민지배자들의 가혹한 노동을 견뎌내지 못하고 원주민은 거의 멸종되다시피 했다. 당시 스페인 식민지배의 잔혹상을 전한 라스카사스 신부의 증언을 보면 "스페인인들은 원주민을 어린이,임산부 가릴 것 없이 도살장에서 양을 잡는 것처럼 갈가리 찢거나 산 채로 태워버렸다"고 전하고 있다. 
부족한 노동력을 보충하기 위해 아프리카 흑인들이 노예로 수입됐고 이들은 오늘날 카리브해 도서에 널리 퍼진 물라토(흑인과 백인 간 혼혈)의 선조가 됐다. " 

 

 

"어린 아이, 임산부 할 것 없이 갈가리 찢거나 산 채로 태워버렸다."

...한마디로 깽판을 칠 수 있는 한도 끝까지 쳤다는 이야기죠.  

 

우리 조상들이 정보도 없는 상태에서 뭣도 모르고 홍모귀라고 해서 서양인들을 야만족, 인륜 도덕 없는 종족으로 비하해서 쇄국정책 주장했었는데, 사실은 그게 맞기는 했어요. 쟤네들이 저지르고 다니는 짓 알았으면... 빼도 박도 못하고 그 말 나왔죠.  =_=;

만만해 보이면 못하는 짓이 없고, 그나마 중세 왕국 수준이라도 만들어놓고 저항했으니 중국, 한국, 일본이 그 정도 침략당한 수준에서 나라를 지킨 거죠. 

 

P.S. 2 

저는 개인적인 호기심으로 정말 궁금했던 게, 애플의 스티브 잡스 있잖아요.

친부가 아랍인인 걸 알았을 때 본인의 충격도 컸을 테지만,

아랍인은 백인으로 안 치는 걸 아니까, 미국 백인들의 반응이 어떻게 나올지 흥미 진진했거든요.

 

스티브 잡스 기사 밑에,

잡스 아버지가 아랍인이지만, white couple 밑에서 자랐으니 괜찮아.  라든가

양모가 그래도 아르메니안이었잖아. Christian이었으니 괜찮아 라는 반응 등이 있는 데, 그거 보면서 웃었었습니다. 

정말 뿌리깊어요. 이 미국 백인들의 정서 속에 박혀있는 그거.

출처 https://dvdprime.com/g2/bbs/board.php?bo_table=comm&wr_id=9586802&sca=&sfl=mb_id%2C1&stx=gandhika&spt=-841232&page=6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